제18편 군석편(君奭篇)(1)

   군(君)은 존칭이고 석(奭)은 소공(召公)의 이름이다. 이 편에서 기록된 것은 모두 주공(周公)이 소공(召

   公)에게 준글인데, 첫 머리에 군석(君奭)이라는 두 글자가 나오기 때문에 이와 같은 편명이 붙게된 것이

   다. <사기(史記)>에서는 소공(召公)이 섭정(攝政)이 된 주공의 마음을 의심하였기 때문에, 이편이 작성

   된 것 이라고 하였는데, 사실상 그와 같은 구절을 찾아 볼 수가 없다. 다만 주공이 소공에게 함께 성왕을

   보좌하자고 당부를 하는 격려의 말을 담고 있을 뿐이다. 이편 역시 <금문상서>와 <위고문상서>에 모두

   수록되어 있는 작품이다. 

 

 

[1] 천명이 쉽지 않아 하늘을 알기 어렵다.  

 

   周公若曰(주공약왈)

   주공이 이와 같이 말하였다.

   君奭(군석) 弗吊天降喪于殷(불조천강우은)

   "군석이여! 불행하게도 하늘은 은나라에 멸망의 화를 내려서,

   殷旣墜厥命(은기추궐명) 我有周旣受(아유주기수)

   은나라는 이미 하늘의 명을 상실하고, 우리 주나라가 그 명을 이어 받았소.

   我不敢知曰(아불감지왈)

   나는 감히 안다고 말할 수 없소.

   厥基永孚于休(궐기영부우휴) 若天棐忱(약천비침)

   우리의 기업이 영원히 길(吉)함에 부합하고, 하늘이 성심껏 도울 것인지를.

   我亦不敢知曰(아역불감지왈)

   나는 또 감히 안다고 말할 수 없소.

   其終出于不祥(기종출우불상)

   우리가 끝내 상서롭지 못한 길을 가게 될 것인지를.

   嗚呼(오호) (군)

   아아! 군(君)이여!

   已曰時我(이왈시아)

   모든 일이 나에게 달려 있다고 하였소.

   我亦不敢寧上帝命(아역불감녕상제명)

   나 역시 감히 편안하게 상제의 명을 누리고 있을 수 없으며,

   弗永遠念天威越我民(불영원념천위월아민)

   하늘의 위엄이 우리 백성들을 언제나 생각하지 않을 수 없소.

   罔尤違惟人(망우위유인)

   이리하면 백성들 간에 원망하는 이가 없을 것이오.

   在我後嗣子孫(재아후사자손) 大弗克恭上下(대불극공상하)

   우리 후대의 자손들이, 크게 하늘과 백성들을 공경하지 못하여,

   遏佚前人光在家(알일전인광재가)

   우리 선조들의 빛을 단절시키고 잃어 버리면

   집에 있어 알지 못했다고 하겠는가?

   不知天命不易天難諶(부지천명줄역천난심)

   천명이 쉽지 않은지라 하늘을 믿기가 어려우니,

   乃其墜命(내기추명)

   그 명을 실추하게 되면,

   弗克經歷嗣前人恭明德(불극경력사전인공명덕)

   선조들의 공손하고 밝은 덕을 장구히 이어가지 못하기 때문이오.

   在今予小子旦(재금여소자단) 非克有正(비극유정)

   오늘 이 부족한 사람 단이, 바르고 훌륭하다는 것이 아니라,

   迪惟前人光(적유전인광) 施于我沖子(시우아충자)

   다만 앞선 선조들의 빛을, 우리의 젊은 임금에게 베풀자는 것이오"

 

   又曰(우왈) : 주공은 또 말하였다.

   天不可信(천불가신)

   "하늘은 가히 믿을 수 없으나,

   我道惟寧王德延(아도유녕왕덕연)

   우리들은 다만 문왕의 덕을 이어 나가면,

   天不庸釋于文王受命(천불용석우문왕수명)

   문왕이 이어받은 명을 하늘이 버리지 않게 될 것이오"

 

     *주공은 조상들의 빛나는 업적으로, 은(殷) 대신 주(周 )나라가 하늘의 명을 받았으나, 영원히 하늘의

     명을 이어갈지는 의문이지만, 자신은 조상들의 업적을 지금의 임금인 성왕(成王)으로 하여금 계속 빛

     나게 하겠다는뜻을 소공에게 피력한 대목이다. 주공과 소공은 성왕의 팔다리와같은 신하들이었다. 이

     들 두 사람은 각각 동쪽과 서쪽의 천하를 다스림으로써 성왕을 크게 보좌하였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190?category=1425252

 

<서경>(173)주서(周書)(70)무일편(無逸篇)(4) 뒤를 잇는 자는 이를 거울로 삼으십시오.

             <서경(書經)>(173) 주서(周書)(70)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4] 뒤를 잇는 자는 이를 거울로 삼으십시오.

 

   周公曰(주공왈) : 주공이 또 말하였다.

   嗚呼(오호) 我聞曰(아문왈)

   "아아! 내가 들은 말에 의하면,

   古之人猶胥訓告(고지인유서훈고) 胥保惠(서보혜)

   옛 사람들은 서로 타일러 깨우쳐 주고, 서로 보호를 하며,

   胥敎誨(서교회)

   서로 가르쳐 주었으므로,

   民無或胥譸張爲幻(민무혹서주장위환)

   백성들은 서로 속이거나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此厥不聽(차궐불청) 人乃訓之(인내훈지)

   이와 같은 일을 쫓지 않으면, 관리들은 곧 악습에 순응하게 되어,

   乃變亂先王之正刑(내변란선왕지정형)

   선왕들의 정치를 변경시키고 형벌을 문란하게 하여,

   至于小大(지우소대)

   작고 큰 일이 모두 그렇게 되기에 이를 것입니다.

   民否則厥心違怨(민부즉궐심위원)

   그래서 백성들은 따르지 않고 그 마음속으로 증오하고 원한을 가지며, 

   否則厥□詛祝(부즉궐구저축)

   또한 그것을 입으로 저주를 하게 될 것입니다"

 

   周公曰(주공왈) : 주공은 또 다시 말하였다.

   嗚呼(오호) 自殷王中宗及高宗及(자은왕중종급고종급)

   "아아! 은나라 왕인 중종(中宗)과 고종(高宗)과,

   祖甲及我周文王(조갑급아주문왕) 玆四人迪哲(자사인적철)

   조갑(祖甲)과 우리 주나라의 문왕 등, 네 사람은 명철하였습니다.

   厥或告之曰(궐혹고지왈)

   혹 어떤 사람이 있어 말하기를,

   小人怨汝詈汝(소인원여리여)

   ‘백성들이 당신을 원망하고 그대에게 욕을 하고 있습니다’라고 하면,

   則皇自敬德(즉황자경덕)

   재빨리 자신의 행위를 근신하시고 덕을 쌓으셨습니다.

   厥愆(궐건) (왈)

   그들의 과실에 있어서, 그들은 말하기를,

   朕之愆允若時(짐지건윤약시)

   ‘짐의 과실은 참으로 이와 같구나!’라고,

   不啻不敢含怒(불시불감함노)

   말할 뿐 감히 노하지 않으셨습니다.

   此厥不聽(차궐불청)

   이와 같은 도리를 따르지 않는다면,

   人乃或譸張爲幻(인내혹주장위환)

   관리들은 곧 기만하게 되고 거짓말을 일삼게 됩니다.

   (왈) : 말하자면,

   小人怨汝詈汝(소인원여리여)

   ‘백성들이 당신을 원망하며 욕을 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하면, 

   則信之(즉신지) 則若時(즉약시)

   임금은 그 말을 믿게 됩니다. 이와 같을 때에는,

   不永念厥辟(불영념궐벽)

   그 법을 멀리까지 생각하지 않게 되고,

   不寬綽厥心(불관작궐심)

   그 마음을 관대하고 부드럽게 하지 못하여,

   亂罰無罰(난벌무벌) 殺無辜(살무고)

   죄없는 사람들을 함부로 벌하게 되고, 무고한 사람을 죽이게 될 것이니,

   怨有同(원유동) 是叢于厥身(시총우궐신)

   원망이 하나로 합쳐지게 되어, 그 몸에 모이게 될 것입니다"

 

   周公曰(주공왈) : 주공은 또 이렇게 말했다.

   嗚呼(오호) 嗣王其監于玆(사왕기감우자)

   "아아! 뒤를 이은 왕은 이를 거울로 삼으십시오" 

 

   *주공은 이 글에서 임금이 된 자는 마땅히 관리들로 하여금 옛사람들의 서로 타이르고 고쳐주는 미덕을

    본받게 하라고 충고하고 있으며, 옛 은나라의 어진 임금이나 주나라의 선조인 문왕 역시 자신의 허물을

    솔직히 시인하여 고칠 줄 아는 분들이었음을 강조 하면서, 성왕에게 이를 본받으라고 당부를 하고 있는

    대목이다. 여기서 주공은 미덕의 실행에 더욱 힘써 백성들의 원망과 미움의 대상이 죄지 않도록 타이르

    고 있다. 주공은 문왕과 무왕의 뒤를 이어서 성왕을 보좌하는 등 큰 공을 세웠는데, 주나라의 왕업은 이

    한 사람에 의해서 더욱 튼튼해 졌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189?category=1425252

 

<서경>(172)주서(周書)(69)무일편(無逸篇)(3) 오늘은 실컷 즐기겠다 하지 마십시오.

             <서경(書經)>(172) 주서(周書)(69)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3] 오늘은 실컷 즐기겠다 하지 마십시오.

 

   周公曰(주공왈) : 주공은 이렇게 말했다.

   嗚呼(오호) 厥亦惟我周太王王季(궐역유아주태왕왕계)

   "아아! 우리 주나라의 태왕(太王)과 왕계(王季)께서는,

   克自抑畏(극자억외)

   스스로를 낮추었고,

   文王卑服卽康功田功(문왕비복즉강공전공)

   문왕(文王)은 허름한 옷차림으로 황량한 들일과 밭일을 몸소 하셨습니다.

   徽柔懿恭(휘유의공)

   그 분은 인자하고 관후하며 어질고 공손하셨으며,

   懷保小民(회보소민)

   백성들을 항상 보호해 주시고,

   惠鮮鰥寡(회선환과)

   외롭고 의지할 곳 없는 홀아비와 과부들을 돌보아 주셨으며,

   自朝至于日中昃(자조지우일중측)

   아침부터 정오까지 때로는 해가 기울 때까지,

   不遑暇食(불황가식) 用咸和萬民(용혹화만민)

   식사를 할 틈도 없이, 온 세상의 백성들과 늘 함께 하셨습니다.

   文王不敢盤于遊田(문왕불감반우유전)

   문왕께서는 감히 놀이나 사냥을 즐기지 않았으며,

   以庶邦惟正之供(이서방유정지공)

   백성들과 더불어 정사를 정성으로 돌보셨습니다.

   文王受命惟中身(문왕수명유중신)

   문왕께서는 중년에 명을 받고 왕위에 오르셨는데,

   厥享國五十年(궐향국오십년)

   50년이란 재위 기간을 누릴 수 있었습니다"

 

   周公曰(주공왈) : 주공이 다시 말하였다.

   嗚呼(오호) 繼自今嗣王(계자금사왕)

   "아아! 이제부터 뒤를 잇는 임금께서는,

   則其無淫于觀于逸于遊于田(즉기무음우관우일우유우전)

   지나친 놀이와 안일하거나 유람하거나 사냥을 즐기지 마시고,

   以萬民惟正之供(이만민유정지공)

   만 백성들과 더불어 오로지 정사에만 온 정성을 쏟아야 합니다.

   無皇曰(무황일)

   혹시라도 어느 날이라도,

   今日耽樂(금일탐락)

   ‘오늘은 실컷 즐겨야 겠다’고 말씀하지 마십시오.

   乃非民攸訓(내비민유훈)

   이와 같이 함은 결코 백성들이 순종하는 바가 아닐 뿐더러,

   非天攸若(비천유약) 時人丕則有愆(시인비즉유건)

   하늘이 순종하는 바도 아니고, 이와 같이 하게 되면 결국 허물이 됩니다.

   無若殷王受之迷亂(무약은왕수지미란)

   은나라 주왕(紂王)처럼 미혹하고 어두운 임금이 되지 마시고,

   酗于酒德哉(후우주덕재)

   지나친 음주를 삼가도록 하십시오!"

   

   *이 글에서는 주공이 주나라 왕업의 기틀을 이룩한 선조들을 예로 들면서, 임금에게 온세상의 백성들과

    일체가 되도록 정사에 온 정성을 쏟을 것을 당부하고 있는 대목이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188?category=1425252

 

<서경>(171)주서(周書)(68)무일편(無逸篇)(2) 향락에 빠진 자는 모두 단명했습니다.

             <서경(書經)>(171) 주서(周書)(68)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2] 향락에 빠진 자는 모두 단명했습니다. 

 

   周公曰(주공왈) : 주공은 이렇게 말하였다.

   嗚呼(오호) 我聞曰(아문왈)

   "아아! 내가 들은 말에 의하면,

   昔在殷王中宗(석재은왕중종)

   옛날 은나라 왕이었던 중종(中宗)은,

   嚴恭寅畏(엄공인외)

   정중하고 공손하고 근엄하고 남을 어려워 하였으며,

   天命自度(천명자도)

   천명을 스스로 헤아리고,

   治民祗懼(치민지구)

   백성들을 다스림에 있어서 공경하고 경계하였으며,

   不敢荒寧(불감황녕)

   감히 지나친 안일함을 누리지 않았다고 합니다.

   肆中宗之享國七十有五年(사중종지향국칠십유오년)

   그래서 중종은 75년 동안이나 나라를 다스렸다고 합니다.

   其在高宗時(기재고종시)

   또 고종(高宗) 시대에 이르러서,

   舊勞于外(구로우외)

   그는 실제로 오랫동안 백성들 사이에서 수고하였는데,

   爰曁小人(원기소인)

   이 때문에 백성들과 서로 친하게 지낼 수 있었습니다.

   作其卽位(작기즈구이) 乃或亮陰(내혹량음)

   그가 왕위에 올라서는, 참으로 말을 근신하고 조심하여,

   三年不言(삼년불언)

   3년 간이나 말을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其惟不言(기유불언) 言乃雍(언내옹)

   그가 말하지 않으면 모르지만, 말을 하게 되면 매우 온화하였고,

   不敢荒寧(불감황녕)

   감히 언사에 넘치거나 안일을 추구하지 않아, 

   嘉靖殷邦(가정은방)

   은나라를 훌륭하고 평온하게 다스렸다고 합니다.

   至于小大(지우소대)

   나이가 적거나 많은 사람을 막론하고,

   無時或怨(무시혹원)

   그를 때 없이 혹은 원망하지 않았으니,

   肆高宗之享國五十有九年(사고종지향국오십유구년)

   그래서 고종은 59년 동안이나 나라를 다스렸다고 합니다.

   其在祖甲(기재조갑) 不義惟王(불의유왕)

   조갑(祖甲)에 이르러서는, 그는 자신이 왕이 되는 것이 옳지 않다고 여겨,

   舊爲小人(구위소인) 作其卽位(작기즉위)

   오랫동안 평민으로 있다가, 왕위에 올라서는,

   爰知小人之依(원지소인지의) 能保惠于庶民(능보혜우서민)

   평민의 고충을 이해하였으며, 서민들을 보호하고 은혜를 베풀었으며,

   不敢侮鰥寡(불감모환과)

   감히 외롭고 의지할 곳 없는 홀아비나 과부들을 업신여기지 않았으니,

   肆祖甲之享國三十有三年(사조갑지향국삼십유삼년)

   그래서 조갑은 33년 동안이나 나라를 다스렸다고 합니다.

   自時厥後立王(자시궐후립왕) 生則逸(생즉일)

   그 이후부터는 즉위한 왕들이, 태어날 때부터 안일함을 누렸는데,

   生則逸(생즉일)

   태어날 때부터 안일함을 누렸기 때문에,

   不知稼穡之艱難(부지가색지간난)

   농사일의 어려움을 모르고 백성들의 힘들고 어려운 것을 몰라서,

   不聞小人之勞(불문소인지로) 惟耽樂之從(유탐락지종)

   백성들의 수고로움을 듣지 않고, 지나친 향락에만 빠져 들었습니다.

   自時厥後(자시궐후) 亦罔或克壽(역망혹극수)

   그 이후부터는, 역시 장수를 누리는 왕이 없었으므로,

   或十年(혹십년) 或七八年(혹칠팔년)

   혹은 10년, 혹은 7~8년,

   或五六年(혹오륙년) 或四三年(혹사삼년)

   또 어떤이는 5~6년, 어떤 이는 3~5년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공이 상나라의 어질었던 임금들을 예로 들면서 천명을 헤아려 백성들을 보살피는데 게

    을리 하지 않았던 임금들은 장수를 누렸고,  또한 오랫동안 왕업을 다스려 나갈 수 있었지만, 안일함에

    빠졌던 후대의 임금들은 고작해야 10년이며, 혹은 10년 미만의 짧은 기간에 물러나게 되엇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는 대목이다. 상나라의 어진 임금들을 예로 든 것은 곧 그 임금들처럼 오랜 기간 왕위에 있으

    면서 좋은 정치를 펼치도록 노력을 해야 한다고 하는 의미로 말한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