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paran.com/sphh/41330252

 

 

增內(아내에게) - 樂天 백거이



生爲同室親  死爲同穴塵 

[생위동실친 사위동혈진]

他人尙想勉  而況我與君

[타인상상면  [이황아여군]

살아서는 한 방에서 사랑하고
죽어서는 한 무덤에 묻히리라
다른 사람도 부부의 도를 지키는데
하물며 그대와 나는 더 할 나위 있겠는가?


黔婁固窮士  妻賢忘其貧

[검루고궁사  처현망기빈]

沂缺一農夫  妻敬儼如賓

[기결일농부 처경엄여빈]

검루는 가난한 선비였으나
현명한 처는 가난을 잊었고
기결은 한낱 농부였으나
처는 그를 귀빈처럼 공경했고


陶潛不營生 [도잠불영생]
翟氏自찬薪 [적씨자찬신]
梁鴻不肯仕 [양홍불긍사]
孟光甘布裙 [맹광감포군]

 

도연명은 생계를 못 꾸렸으나
부인 적씨는 스스로 살림 꾸렸고
양흥은 벼슬살이 물리쳤으나
그의 처 맹광은 베옷에 만족했네


君雖不讀書 [군수불독서]
此事耳亦聞 [차사이역문]
至此千載後 [지차천재후]
傳是何如人 [전시하여인]

 

그대 비록 책은 읽지 못했어도
귀로는 들어 알고 있으리라
천년이 지난 오늘에
그들이 어떠한 사람이라 전하는가를


人生未死間  不能忘其身

[인생미사간  불능망기신]

所須者衣食  不過飽與溫 

[소수자의식 불과포여온]

사람으로 태어나 살아있는 동안은
육신의 존재를 잊을 수는 없어
배를 채우고 몸을 가리기 위해
먹고 입어야 하지만


蔬食足充饑  何必膏梁珍

[소식족충기 하필고량진]

繒絮足禦寒  何必錦繡文

[증서족어한 하필금수문]

배 고픔은 나물로 때우면 그만이지
어찌 기름진 음식만 필요하며,
거친 솜옷으로 추위만 막으면 되지
어찌 비단 옷에 무늬가 필요하겠는가


君家有貽訓  淸白遺子孫 

[군가유이훈 청백유자손]

我亦貞苦士  與君新結婚

[아역정고사  여군신결혼]

그대 집에 내려오는 가르침에도
청렴결백을 자손에게 전하라 하였으니
나 또한 고지식한 선비로서
그대와 부부가 된 이상에는


庶保貧與素  偕老同欣欣

[서보빈여소 해로동흔흔]

모쪼록 가난과 소박함을 지키어
기쁜 마음으로 부부 해로하리라


http://blog.paran.com/hereiam321/4900420

조조(曹操) - 단가행(短歌行)

http://blog.naver.com/rjsung/30020697286


단가행(短歌行)

對酒當歌, 人生幾何? 술잔을 대하면 노래를 불러라. 인생이 얼마나 되더냐?

대주당가, 인생기하?

譬如朝露, 去日苦多. 아침이슬 같으리니, 지난날의 많은 고통.

비여조로, 거일고다.

慨當以慷, 憂思難忘. 슬퍼하며 탄식해도, 근심 잊기 어렵구나.

개당이강, 우사난망.

何以解憂, 唯有杜康. 무엇으로 근심 풀까? 그건 오직 술뿐일세.

하이해우, 유유두강.

靑靑子衿, 悠悠我心. 푸르고 푸른 그대 옷깃, 내 마음 아득하기만 하네.

청청자금, 유유아심.

但爲君故, 沈吟至今. 다만 그대 때문에 이제껏 깊은 시름에 잠겼었네.

단위군고, 침음지금.

呦呦鹿鳴, 食野之苹. 우우하고 우는 사슴의 무리, 들에서 햇쑥을 뜯는다.

유유록명, 식야지평.

我有嘉賓, 鼓瑟吹笙. 내게도 좋은 손님 오셨으니, 비파 타고 피리도 불리.

아유가빈, 고슬취생.

明明如月, 何時可掇? 밝기는 달과 같은데, 어느 때나 그것을 딸 수 있으랴.

명명여월, 하시가철?

憂從中來, 不可斷絶. 마음속에서 우러나는 근심, 참으로 끊어버릴 수 없구나.

우종중내, 불가단절.

越陌度阡, 枉用相存. 논둑과 밭둑을 누비면서, 헛되게 서로 생각하는가.

월맥도천, 왕용상존.

契瀾談嘗, 心念舊恩. 마음이 통하여 즐겨 이야기를 나누고, 마음속으로 옛 은혜를 생각하네.

계란담상, 심념구은.

月明星稀, 鳥鵲南飛. 달 밝고 별을 드문데, 까막까치가 남쪽으로 날아간다.

월명성희, 조작남비.

繞樹三匝, 何枝可依. 나무를 서너 차례 빙빙 맴돈들, 어느 가지에 의지할 수 있을꼬?

요수삼잡, 하지가의.

山不厭高, 海不厭深. 산 높음을 싫어하지 않고, 바다 깊음을 싫어하지 않네.

산불염고, 해불염심.

周公吐哺, 天下歸心. 주공처럼 어진 선비를 환영한다면, 천하는 모두 진심으로 돌아가리!

주공토포, 천하귀심.

對酒當歌, 人生幾何? 술잔을 대하면 노래를 불러라. 인생이 얼마나 되더냐?

대주당가, 인생기하?

譬如朝露, 去日苦多. 아침이슬 같으리니, 지난날의 많은 고통.

비여조로, 거일고다.

慨當以慷, 憂思難忘. 슬퍼하며 탄식해도, 근심 잊기 어렵구나.

개당이강, 우사난망.

何以解憂, 唯有杜康. 무엇으로 근심 풀까? 그건 오직 술뿐일세.

하이해우, 유유두강.

靑靑子衿, 悠悠我心. 푸르고 푸른 그대 옷깃, 내 마음 아득하기만 하네.

청청자금, 유유아심.

月明星稀, 鳥鵲南飛. 달 밝고 별을 드문데, 까막까치가 남쪽으로 날아간다.

월명성희, 조작남비.

繞樹三匝, 何枝可依. 나무를 서너 차례 빙빙 맴돈들, 어느 가지에 의지할 수 있을꼬?

요수삼잡, 하지가의.

山不厭高, 海不厭深. 산 높음을 싫어하지 않고, 바다 깊음을 싫어하지 않네.

산불염고, 해불염심.

周公吐哺, 天下歸心. 공처럼 어진 선비를 환영한다면, 천하는 모두 진심으로 돌아가리!

주공토포, 천하귀심.

[참고]

靑靑子衿이여 悠悠我心이로다

[정풍 제17편 자금3장(子衿三章)]

靑靑子衿이여 悠悠我心이로다 縱我不往이나 子寧不嗣音고

(청청자금이여 유유아심이로다 종아불왕이나 자녕불사음고 賦也ㅣ라)
푸르고 푸른 그대의 옷깃이여, 아득하도다, 내 마음. 비록 내가 가지 못하나 그대는 어찌 소식을 전하지 않는고.

○賦也ㅣ라 靑靑은 純緣之色이니 具父母면 衣純以靑이라 子는 男子也ㅣ라 衿은 領也ㅣ라 悠悠는 思之長也ㅣ라 我는 女子自我也ㅣ라 嗣音은 繼續其聲問也ㅣ라 此亦淫奔之詩라

○부라. 청청은 옷깃에 선을 두르는 순수한 색이니, 부모가 다 살아계시면 옷에 푸른 빛으로써 선을 두름이라. 자는 남자라. 금은 옷깃이라. 유유는 생각함이 길음이라. 아는 여자 스스로(를 말함)이라. 사음은 그 소리의 물음을 계속함(소식을 계속하여 물음)이라. 이 또한 음분한 시라.

靑靑子佩여 悠悠我思ㅣ로다 縱我不往이나 子寧不來오

(청청자패여 유유아사ㅣ로다 종아불왕이나 자녕불래오 賦也ㅣ라)
푸르고 푸른 그대의 패옥이여, 아득하도다, 나의 그리움. 비록 내가 가지는 못하나 그대는 어찌 찾아오지 않는고.

○賦也ㅣ라 靑靑은 組綬之色이오 佩는 佩玉也ㅣ라

○부라. 청청은 인끈의 색이고 패는 패옥이라.

組 : 끈 조 綬 : 인끈 수

挑兮達兮하니 在城闕兮로다 一日不見이 如三月兮로다

(도혜달혜하니 재성궐혜로다 일일불견이 여삼월혜로다 賦也ㅣ라)
경망하고 방자하니 성 궐문에 있도다. 하루를 보지 못함이 석 달과 같도다.

○賦也ㅣ라 挑는 輕儇跳躍之貌요 達은 放恣也ㅣ라 (子衿三章이라)

○부라. 도는 가볍고 빠르면서 뛰고 뛰는 모양이고, 달은 방자함이라. (자금3장이라)

儇 : 빠를 현, 날랠 현

子衿三章章四句

'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발(王勃), 등왕각시서(滕王閣詩序)  (0) 2010.11.15
백거이, 增內(아내에게)  (0) 2010.11.15
최치원, 접시꽃  (0) 2010.10.06
최치원,격황소서(檄黃巢書)  (0) 2010.09.17
근체시의 특성과 당시선  (0) 2010.09.15


95.

양봉래(楊蓬萊)의 선종암(仙鍾巖)에 제한 시는 다음과 같다.

鏡裏芙蓉三十六 경리부용삼십육

天邊螻䯻萬二千 천변루고만이천

中間一片滄洲石 중간일편창주석

可以言詩此百年 가이언시차백년

거울속 부용은 서른 여섯인데

하늘가에 바라뵈는 일만 이천 봉

그 가운데 한조각 창주석에는

한 백년 동안에 시라고 말할 수가 있다오

박 상공(朴相公)이 끝구절을 고쳐,

合著東來海客眠 합저동래해객면

동녘에 온 해객이 졸기에 합당하네

하자, 봉래가 온당하다고 하여 드디어 고치고 나중에 지천(芝川 황정욱(黃廷彧)의 호) 황 상공(黃相公)에게 말하니 상공이,

“이는 공의 시어(詩語)가 아니니 바른 대로 말하시오”

하므로 봉래가 지천의 식견에 크게 탄복했다. 지천은 봉래를 잘 알아보는 사람이라고 할 만하다.

박 상공(朴相公)의 이름은 순(淳), 자는 화숙(和叔), 호는 사암(思庵), 충주인(忠州人)이며 벼슬은 영의정이고 시호는 문혜(文惠)이다.

사암의 퇴계 선생이 남으로 돌아감을 전송하며[送退溪先生南還]라는 시는 다음과 같다.

鄕心不斷若連環 향심부단약연환

一騎今朝出漢關 일기금조출한관

寒勒嶺梅春未放 한륵영매춘미방

留花應待老仙還 유화응대노선환

고향생각 끊임없어 고리인 양 이어지니

한필 말로 오늘아침 한관 떠나네

추위에 고갯매화 봄인데도 못 피니

늦은꽃 응당 늙은 신선 돌아오길 기다리리

총병(總兵) 양조(楊照)의 사당에 제한 시는 다음과 같다.

鐵衣金劍已塵沙 철의금검이진사

廟間松杉噪夕鴉 묘간송삼조석아

惆悵漢家飛將死 추창한가비장사

胡笳頻度白狼河 호가빈도백낭하

철갑옷 금빛칼도 이미 흙이 되었고

사당집 소나무 전나무엔 저녁 까마귀 지저귀네

슬프다 중국 날센 장수 죽었으니

갈대 피리 소리만 백낭하 자주 넘네

청풍(淸風) 한벽루(寒碧樓) 시는 다음과 같다.

客心孤廻自生愁 객심고회자생수

坐聽江聲不下樓 좌청강성불하누

明日又登官道去 명일우등관도거

白雲紅樹爲誰秋 백운홍수위수추

나그네 그리움 외로이 절로 시름 생기니

앉은 채 강물소리 듣노라 다락에서 내려올 줄 모르네

내일 또 벼슬길로 가버린다면

흰 구름에 단풍은 누구 위한 가을일꼬

견 상인(堅上人)에게 보내는 시는 다음과 같다.

久沐恩波役此心 구목은파역차심

曉鷄聲裏戴朝簪 효계성리대조잠

江南野屋今蕪沒 강남야옥금무몰

却倩山僧護竹林 각천산승호죽림

오랫동안 입은 은혜이기에 이 마음 궁리 많아

새벽 닭소리에 조회 나갈 비녀를 꽂네

강남 땅 들집은 하마 황폐했겠지

산승을 고용하여 대밭을 돌보게 했네

짧은 거문고에 제한 시는 다음과 같다.

嶧山誰採鳳凰枝 역산수채봉황지

雷斧餘痕斲更奇 뇌부여흔착갱기

休恨賞音人已逝 휴한상음인이서

照衿明月卽鍾期 조금명월즉종기

역산에서 그 누가 오동나무 잘랐는가

벼락친 자욱 있어 깎아보니 더욱 기이해

소리 알 이 이미 갔다 서러워 마라

옷깃 비추는 저 달이 바로 종자기라네

이양정(二養亭) 벽에 제한 시는 다음과 같다.

谷鳥時時聞一箇 곡조시시문일개

匡床寂寞散群書 광상적막산군서

可憐白鶴臺前水 가련백학대전수

纔出山門便帶淤 재출산문편대어

산새 소리 어쩌다 외마디 들리고

침상은 쓸쓸해라 여러 책 흩어졌네

가엾어라 백학대 앞 저 물도

산문을 나서자 이내 진흙 머금으리니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식 外 /학산초담 98  (0) 2011.04.11
신광한 외 /학산초담 96-97  (0) 2011.04.11
허난설헌 /학산초담 94  (0) 2010.10.17
양사언 /학산초담 93  (0) 2010.10.17
김인후 /학산초담 92  (0) 2010.10.04


94.

내 누님의 보허사(步虛詞)는 다음과 같다.

乘鸞夜下蓬萊島 승난야하봉래도

閒碾麟車踏瑤草 한년인거답요초

海風吹折碧桃花 해풍취절벽도화

玉盤滿摘如瓜棗 옥반만적여과조

난새 타고 한밤 중 봉래도에 내려서

기린수레 한가로이 몰고 아름다운 풀 밟기도 하네

바닷바람은 벽도화를 불어 꺾어오고

옥소반엔 가득찬 외만한 대추

또 다음과 같이도 읊었다.

九華裙幅六銖衣 구화군폭육수의

鶴背冷風紫府歸 학배냉풍자부귀

瑤海月沈星漢落 요해월침성한락

玉簫聲裏霱雲飛 옥소성리휼운비

구화의 치마폭에 육수의 웃옷 입고

학의 등 싸늘바람 자부로 돌아왔네

비취 바다 달도 지고 은하수 기우는데

옥피리 소리 속에 상서구름 날리네

유몽득(劉夢得)을 본받았으나, 맑고 뛰어나긴 그보다 더하다.

유선사(遊仙詞) 백편은 모두 곽경순(郭景純 경순은 동진(東晋) 곽박(郭璞)의 자)의 남긴 뜻인데,

조요빈(曺堯賓) 따위로는 미치지 못한다.

나의 중형과 이익지가 모두 모방하여 지었으되, 마침내 그 울을 넘지 못했으니,

우리 누님은 천선(天仙)의 재주라 할 만하다.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광한 외 /학산초담 96-97  (0) 2011.04.11
양사언 /학산초담 95  (0) 2010.10.17
양사언 /학산초담 93  (0) 2010.10.17
김인후 /학산초담 92  (0) 2010.10.04
양사언 /학산초담 91  (0) 2010.10.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