詞腦歌 證釋 題詞 其二

其二

題詞 제2

 

大界茫茫衆星行

망망한 대우주(大宇宙)에 운행하는 저 뭇 별들,

望之無極孰經營

바라봐 끝없으니 뉘 경영하나?‘ 해도,

獨有分度森不忒

전문가의 보는 눈엔 한 , , 어김 없어

手捫九天日未仄

구천을 다 만져도 해도 아니 기우네.

君於古歌略似此

그대의 고가 풀이 바로 이와 비슷커니,

笑他游蜂讚窓紙

우습다, 붕붕 벌들은 창호지를 뚫는구나!

 

蠢編塚刻收惟謹

좀 먹은 책, 金石을 빠짐없이 다 거두고

山謳野曲無不採

산노래 들노래를 모조리 수집하여,

始也叢雜若無取

처음엔 풀포긴 양 되는 대로 섞였더니

終焉條貫各有待

나중엔 조목조목 서로 맞춰 꿰어냈네.

陰翕陽移自此準

어두워 소리 막힌 것, 환해서 울리는 것,

古訛今變自此稽

고금의 변화를 모조리 상고할 제,

循以達之莫余防

순리(順理)로 풀어가니 뉘라서 막아내리?

五寸渠盡天下方

다섯 치 정규(正規)하나로 천하의 모난 것 다 재었네.

 

鳴鳩乳燕白日麗

지금은 비둘기 구구, 제비 젖 먹이는 대낮인데

曾是荊刺如人忘

바로 전엔 가싯덤불 찾을 이도 없었던 곳,

十二琴弦仙乎下

가얏고 열두 줄이 시르릉 둥당 울려내리니,

舊譜無恙吟鳳凰.

옛 악보 바로 그대로 봉황을 읊는구나.

 

[해설]

벽두 大界茫茫은 어떠한 聲勢, 5 · 6가 또 어떤 謹嚴· 破顔이뇨. 詩法· 辭意가 모두 絶調. 鄙業績에 대한 讚揚이나, 나로선 미상불 點頭되는 아는 이의 말’.

游蜂은 구구한 群小學者, 당시 日人 學者 某를 가리킴인가.

叢雜 · 條貫*學的 方法論, ‘陰弇陽侈史學的 炯眼, 五寸榘 盡天下方爲學原理모두 斯學에 대한 그의 드높은 見識을 드러낸 것으로 字字兼金, 句句千鉤.

[條貫*]

若夫條貫乎叢雜, 得魚而忘筌, 則又有竢乎後來之君子云.’

<鄙著 自題語結辭>이 실로 이에 의했음.

'고전문학 > 향가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詞腦歌 證釋 題詞 其四  (0) 2017.07.18
詞腦歌 證釋 題詞 其三  (2) 2017.07.18
詞腦歌 證釋 題詞 其一  (0) 2017.07.18
梁柱東, 정인보의 詞腦歌 證釋 題詞 5首 注譯  (0) 2017.07.18
양지 - 풍요/향가  (0) 2014.03.22

詞腦歌 證釋 題詞 其一

其一

題詞 제1

閼川川水淸且綠

알천의 냇물은 맑고 또 푸른데

東原送唱花滿谷

새내벌 건네는 노래, 골 안에 꽃이 활짝.

長短與仁性宜

그 노래 장단이 어진 성품에 절로 맞아

不屑爲變調相續

변조로 뒤를 잇기를 굳이 마다했더니라.

 

一從玄文燒殘後

역대(歷代)의 병화(兵火)로 옛 문적 다 타버린 뒤

篇籍寥寥寄蠋

노래 적은 책이 겨우 자취뿐 남았으나,

吏讀借寫已詰屈

이두로 적혔으니 풀기 사뭇 어려웠고

又兼古言殊今讀

게다가 옛말이 지금과는 아주 달라,

有如玉笛過嶺啞

마치 피리가 [영마루] 지나면 벙어리 되듯,

矕引無人發宮角

본래의 그 옛가락을 낼 사람이 없더니,

 

誰與健者梁柱東* [*운영자주:梁柱東>吾賢友-조선고가연구(朝鮮古歌硏究)]

어와, 건장(健壯)할손, 제 누군고? 양주동!

雙瞳的的不移矚

또렷한 두 눈동자, 까딱 않는 그 눈초리_

謋然一夕四解

포정(庖丁)이 소가르듯 하룻밤에 홱 갈라내니

繁音雅奏隨所觸

번화한 소리, 아담한 곡조가 손가는 대로 울려낫네.

爲君起作如意舞

지화자, 내 일어나 如意춤을 추노니,

言之歎之俱未足.

말로나 감탄으로나 이 기쁨 다 못펴네!

注:생략

[해설]

新羅歌謠淵源 特質 由來略述하고 千年만에 再構鄙解를 찬양한 것. 通編佳吟이나, 특히 有如玉笛云云의 제9 · 10구가 絶調.

다음 鄙姓名은 내게 준 草稿吾賢友’. 改本直截, 原草가 은근.

 

'고전문학 > 향가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詞腦歌 證釋 題詞 其三  (2) 2017.07.18
詞腦歌 證釋 題詞 其二  (0) 2017.07.18
梁柱東, 정인보의 詞腦歌 證釋 題詞 5首 注譯  (0) 2017.07.18
양지 - 풍요/향가  (0) 2014.03.22
보현십원가 11수 모음  (0) 2009.09.15

무애 양주동(1903년 6월 24일, 경기도 개성 - 1977년 2월 4일 ) 선생님께서 향가연구서인 《고가연구》를 출간하자 위당 정인보(1893∼1950) 선생님이 그 위업을 고시 5수로 찬양했다. 그 고시가 <詞腦歌 證釋 題詞> 인데 무애 선생은 이를 번역하고 해설하여 수필집 등에 등재한 글들이다. 그 글이 아래의 논문이다.

이 블로그에서는 注譯 중 전문성을 요하는 注는 생략하고 번역시만 옮겨 보고자 한다. 주석 부분이 필요한 분들은 아래 논문집을 참고하기 바란다.

[출처]梁柱東,詞腦歌 證釋 題詞 注譯,동악어문학 8,동악어문학회,1972.

pp.23-32.

*운영자<詞腦歌 證釋 題詞> 2차 번역은

 

이병주,한국한시의 이해,민음사,pp.228-232에도 있음.

[11장 조선시대의 선가시]

 

[참고1]梁柱東<古歌硏究>출간 사항-

운영자

양주동,『조선고가연구(朝鮮古歌硏究)』(박문서관, 1942) 초간본.

양주동, 增訂 古歌硏究,일조각,1965.3.15. 초판 발행.

양주동, 增訂 古歌硏究,일조각,1968.3.15. 재판.

 

*<연구의 回憶> 은  위책 pp.889-898에 발문으로 수록함.

 

[참고2] <향가연구의 회억> 발표 사항-영자

1.양주동,국학연구론고(을유문화사,1962)를 참고하면

'약간의 자랑과 감회'란 부제가 붙은

<향가연구의 회억>(위책,pp.343-353.) 첫 발표는 1958년이다.

 

 2.<연구의 回憶>  이라는 글은 《文酒半生記》에도

<硏北論-'鄕歌'연구에의 發心>(신태양사,1960, pp. 286-297)이란 제목으로

탑재했는데 서두부분엔 다소 차이가 있다.

 

3.<연구의 回憶>   增訂 古歌硏究,일조각,1965.3.15. 초판, pp.889-898에도

발문으로 수록함. 완성본.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6684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詞腦歌 證釋 題詞 注譯

- 梁柱東

鄭爲堂(寅普)自筆 存稿 漢詩文集 <薝園文錄>이 얼마 전에 간행되었다.(1967.11. 延世大學校出版部 景印,866)

集中 심상한 銘碣 · 詩文 외에 와의 文交 · 學緣* 읊은 2, 

西京別曲 [文錄四]

題梁柱東鄕歌證釋卷首[文錄六] 

收錄되어 있는 바, 이 다 國文學界에 전할 만한 이요, 특히 後者는 그의 詩文 最古苦心力作으로, 古歌에 대한 그의 摯意, 民族的 意義宣揚 및 그 硏究 方法奧義까지를 道破한 귀중한 文子이나, 原詩爲堂流筆法대로 자못 詰屈하여 後學이 좀체로 그 微旨를 터득키 어렵겠기, 原詞에 간단한 注解 譯詞를 붙인다.

 

[學緣*]:1938년경 日帝 포학의 極期 중 내가 平壤上京하여 落山陋屋에서 詞腦歌 解讀畢生心血을 기울일 때 그 學的 勞苦를 알아준 이는 실로 爲堂이었다. 내가 硏鑽의 겨를에 가끔 그를 찾아 學的 述懷를 거듭했던 것을 기억한다. 194010[庚辰 小春] 證釋草稿가 완성되자 내가 그 사연을 그에게 고하고, 弁卷一文을 청했더니, 그가 대신 題詞 長詩 5을 손수 淨書하여 내게 주었다. 그로서도 累日苦吟과 몇 번의 推敲를 겪은 平生力作이요, 그의 많은 詩文 중에서도 특히 후세에 전할 만한 名作이었다. 그러나, 는 그 內容 관계로 日治下 간행된 鄙著[1942]題詞로 싣지 못했었고, 解放 겨우 鄙文 <鄕歌硏究回憶>[<國學硏究論攷> 所收] 중에 引用 著錄했고, 그 뒤 <고가연구> 訂補[1965] 鄙跋文 중에 비로소 附見되었다.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172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운영자 주]

양주동,국학연구론고(을유문화사,1962)를 참고하면

'약간의 자랑과 감회'란 부제가 붙은

<향가연구의 회억>(위책,pp.343-353.) 첫 발표는 1958년이다.

양주동, 增訂 古歌硏究,일조각,1965.3.15. 초판 수록분이 최종 완결본이다.

지금도 나는 各大壑 國文學科에서 新羅歌謠를 강의할 때면, 반드시 이 長詩를 먼저 풀이하고 읊는다. 國文學 내지 史學徒10古典, 100의 풀이책을 읽음보다 이 몇 吟味함으로써 더 古典貴重性과 그 안에 담긴 民族的 高貴情神’, 또 그 硏究 方法의 깊숙한 一端悟得함이 있으리라 믿기 때문이다. 字句典據略解하고 大意國譯(時調體)하나, 拙驛으론 原詩眞價를 방불치 못함이 이다.

 

詞腦歌 證釋 題詞 五首

- 爲堂 鄭寅普

 

*‘文錄題梁柱東鄕歌證釋卷首’,

鄙著 原題 詞腦歌箋注

詞腦歌周知하는 대로 새내놀애借字, 俗稱 鄕歌이나, 鄙著엔 이 俗稱을 일체 쓰지 않았음(<고가연구> 序說二)

*이 블로그에서는 이하에서 題詞 五首를 5꼭지로 나누어 爲堂 정인보님의 題詞, 무애 양주동님의 국역과 해설순으로 정리해 본다.

 

 

반야심경 다라니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揭帝揭帝 波羅揭帝 波羅僧揭帝 菩提娑婆訶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는

"건너가자 건너가자 피안으로 건너가자,

피안으로 온전히 건너가 깨달음을 성취하자!"

 

위의 주문 다라니는 양지 스님의 향가 <풍 요 (諷 謠) >를 연상케 한다.

산스크리트어 '아제' 는 '가다'의 뜻이다.

인도인들은 현실의 고통에서 벗어나 피안에 이르기를 소망했지만

신라의 경주 석장동 사람들은 삼태기에 흙을 담아 나르며

지상에 피안을 건설하며 공덕을 닦았다.

여기 사진은 석장사지 발굴시 출토된 전탑의 불상 탁본이다.

양지 스님의 솜씨일 수도 있겠기에  탑재한다.

 

<풍 요 (諷 謠) >

- 양지

來如來如來如

오다, 오다, 오다.

來如哀反多羅

오다 서럽더라.

哀反多矣徒良

서럽더라 우리네여

功德修叱如良來如

공덕 닦으러 오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0423

 

풍요(風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 노래는 영묘사의 장륙존상을 만들 때 성중의 남녀들이 부른 노래로, 내용은 공덕을 닦으러 오는 선남선녀의 행렬을 통해 한없는 열(列)을 상상할 수 있는 훌륭한 비유이다. ‘온다’는 말의

encykorea.aks.ac.kr

 

양지스님의 향가 <풍요>는 아래 포스터에서 소개함.

양지사석 -풍요

https://kydong77.tistory.com/17914

 

양지스님의 신통력 - 풍요(諷 謠) /良志使錫

錫杖 석장 양지스님이 지팡이 끝에 자루를 걸어 두면 시주를 해 오는 오토매틱스틱 (지팡이 머리에 여러 개의 고리가 달려 있어 소리를 내어 미물 살생조차 피하기 위한 장식) 시조창 사설시조

kydong77.tistory.com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0423

 

풍요(風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 노래는 영묘사의 장륙존상을 만들 때 성중의 남녀들이 부른 노래로, 내용은 공덕을 닦으러 오는 선남선녀의 행렬을 통해 한없는 열(列)을 상상할 수 있는 훌륭한 비유이다. ‘온다’는 말의

encykorea.aks.ac.kr

 

[원문/풀이]

오다 오다 오다오다 오다 오다

오다 서럽다라/ 오다 서럽더라!

서럽다 의내여/ 서럽다 우리들이여!

功德 닷가라 오다/ 공덕 닦으러 오다.

[운영자]방아타령으로도 불렀다 하니 4박자 노래여야 한다.그렇다면 아래 행 구분도 가능하다.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서럽다라 서럽다

의내여 功德 닷가라 오다

 

https://kydong77.tistory.com/17914

 

양지스님의 신통력 - 풍요(諷 謠) /良志使錫

錫杖 석장 양지스님이 지팡이 끝에 자루를 걸어 두면 시주를 해 오는 오토매틱스틱 (지팡이 머리에 여러 개의 고리가 달려 있어 소리를 내어 미물 살생조차 피하기 위한 장식) 시조창 사설시조

kydong77.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