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ydong77.tistory.com/22035

 

원효불기(元曉不羈)/설총 이두, 향가25수;삼국유사 14수, 균여전 보현행원품11수 재록

https://kydong77.tistory.com/21082 원효불기(元曉不羈)/설총 이두, 향가25수;삼국유사 14수, 균여전 보현행원품11수 https://kydong77.tistory.com/21606 마명보살,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한문 번역, 용성당 진종 백

kydong77.tistory.com

 
 
 

설총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아버지는 원효대사 설서당(薛誓幢)이며 어머니는 태종 무열왕의 딸 요석공주이다. 자(字)는 총지(聰智)이며 경주 설씨 시조 호진(虎珍)의 후손으로, 설총은 경주 설씨의 중시조이다. 한글 이전 고대 한국어의 표기법인 이두(吏讀)를 집대성했으며, 신라에 유교를 확립시킨 뛰어난 유학자로 당대에 함께 활동했던 강수(强首), 후대의 최치원(崔致遠)과 함께 신라 삼현으로 추앙받았다.

아버지 원효대사가 승려 출신[1]인 것은 여러모로 유명하지만 설총은 아버지와 달리 유학자였다. 단, 비슷한 시대의 또다른 대표적 유학자 강수가 불교를 세속을 도외시했다고 비판하며 유교를 강조하는 입장이었던 것과 달리 설총은 아버지 원효의 영향을 받았다.

2. 범상치 않은 탄생

설총의 탄생에 대해서는 삼국유사에서 기록하고 있는데 그의 아버지는 고승 원효(본명 설서당)[2]라고 한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원효가 해골물을 먹고 당나라 유학을 포기한 뒤에 노래를 지어 불법을 전했는데 갑자기 그가 "누가 자루 빠진 도끼를 줄 것인가 내가 하늘을 받치는 기둥을 지을 텐데"라는 노래를 부르고 다녔다고 한다. 아무도 원효가 부르는 노래의 의미를 알지 못하던 중, 태종 무열왕이 이를 듣고서는 "원효가 자기한테 여자를 주면 뛰어난 현자를 낳게 하겠다라는 거로구나"라고 하고선 원효를 자신의 과부된 딸[3]인 요석공주와 맺어주면 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관리를 보내 원효를 데려오게 했는데 문천교라는 다리를 지나던 원효가 일부러 발을 헛디뎌서 물에 빠져버렸다. 관리는 원효를 요석궁으로 데려가서 옷을 말리게 했는데, 옷이 마르기를 기다리다가 요석궁에 있던 요석공주와 하룻밤을 보냈고 그래서 나온 아들이 바로 설총이라는 것이다. 따지고 보면 설총은 무열왕의 외손자가 되는 셈이다.

재록
https://kydong77.tistory.com/21086

 

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 14수 모음

https://namu.wiki/w/%EC%84%A4%EC%B4%9D 설총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kydong77.tistory.com

 

 

삼국유사 소재 향가 14수 모음

[교재1]p.33

향가 연구의 문제와 연구서들

http://kydong77.tistory.com/7998

 

향가연구의 문제와 연구서들

향가연구의 문제와 연구서들 ◇향가연구의 제문제 1.語釋:신라어 재구에 어려움. 󰋬몽고어(김선기), 터어키어(강길운), 일본어, 만주어. 󰋬원칙:의미부(訓借), 형태부(音借) 󰋬어학적 문제:해독

kydong77.tistory.com


 

4. 향가의 작가와 작품

1.孝昭往代 竹旨郞 39.2-76: 慕竹旨郞歌. 初得烏谷 慕郞而作歌曰,

모죽지랑가

http://kydong77.tistory.com/8005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 득오실(得烏失) 作

[은자주]삼국유사 소재 향가 14수 중 와 를 끝으로 유사 소재 향가 부분 고찰을 마치려 한다. 전자는 죽지랑이 남의 농장 부역에 매인 몸인 걸 보면 삼국통일 후 50년이 지나면서 화랑의 역할이 감

kydong77.tistory.com

 

2.水路夫人 41.2-78: 獻花歌. 老人獻花歌曰,

헌화가

구성 http://kydong77.tistory.com/8619

 

수로부인,그녀는 예뻤다

[사진1]강화도 고려산 진달래 군락[펌] [사진2] 강화도 길상면 온수리의 강남고교 교정의 벚꽃 꽃구름. [사진3]강남고등학교 홈피에서 퍼옴. [은자주]08년도에 어림짐작으로 갔을 땐 찐달래가 졌다

kydong77.tistory.com

http://kydong77.tistory.com/8620

 

그녀는 예뻤다

[사진]강화도 고려산 진달래 군락[펌]. 무거운 사진기 메고 나도 이런 사진 찍고 시퍼! [사진2] 강화도 길상면 온수리의 강남고교 교정의 벚꽃이 꽃구름을 이루었네요. 어제는 아차산을 산행했다.

kydong77.tistory.com

 

3.景德王 忠談師 表訓大德 43.2-79: 安民歌曰,

안민가

http://kydong77.tistory.com/8017

 

안민가 -충담사

3.안민가 -충담사安民歌景德王 忠談師․表訓大德 [註,누락부분.[삼국사기 신라본기 제9 孝成王 二年(738) 夏四月. 唐使臣邢瓙以老子道德經等文書獻于王.]4월에 당사 형숙이 노자도덕경 등 문서를

kydong77.tistory.com

 

4.讚耆婆郞[詞腦]歌曰,

찬기파랑가

http://kydong77.tistory.com/8018

 

찬기파랑가 -충담사

4.찬기파랑가 -충담사讚耆婆郞歌景德王 忠談師 表訓大德 -삼국유사 紀異 제2 [은자주]지철로왕 때도 얘기한 바이지만 향가 설화 화자들은 왕의 음경 길이를 애기하는 걸 예사로 여겼던 듯하다.

kydong77.tistory.com

 

5.處容郞 望海寺 50.2-88: 處容歌. 乃唱歌 作舞而退 歌曰,

처용가

http://kydong77.tistory.com/5625

 

2.처용가

2.處容歌 鶴․蓮花臺․處容舞 合設, 樂學軌範 권5. 1.[前腔] 新羅盛代 昭盛代 2. 天下太平 羅候德 3. 處容아바 4. 以是人生애 相不語하시란대 5. 以是人生애 相不語하시란대 6.[附葉] 三災八難

kydong77.tistory.com

 

6.武王 57.2-98: 薯童謠. 乃作謠 誘群童而唱之云,

서동요

http://kydong77.tistory.com/8016

 

익산 미륵사지 석탑(益山 彌勒寺址 石塔)/ 서동요(薯童謠)

https://kydong77.tistory.com/21190 익산 미륵사지 석탑(益山 彌勒寺址 石塔), 국보 제11호 https://ko.wikipedia.org/wiki/%EC%9D%B5%EC%82%B0_%EB%AF%B8%EB%A5%B5%EC%82%AC%EC%A7%80_%EC%84%9D%ED%83%91 익산 미륵사지 석탑 - 위키백과,

kydong77.tistory.com

 

7.芬皇寺 千手大悲 盲兒得眼 84.4-158: 禱千手觀音歌. 令兒(5세)作歌 禱之. 遂得明 其詞曰,

도천수관음가

http://kydong77.tistory.com/8004

 

도천수관음가 -희명

7.도천수관음가 禱千手觀音歌 분황사 천수대비 맹아득안 芬皇寺 千手大悲 盲兒得眼 景德王代 漢歧里女希明之兒 경덕왕 때에 한기리에 희명이란 여자 아이가 살았다. 生五稔而忽盲. 그녀는 태

kydong77.tistory.com

 

8.良志使錫 99.5-187: 風謠. 風謠云,

풍요

http://kydong77.tistory.com/8021

 

양지사석 -풍요/良志使錫

8.양지사석 良志使錫 -삼국유사 義解 제4 [은자주]향가 작품 가운데는 시가 못지 않게 기술물이 탁월한 작품도 있다. 이 설화에는 오토매틱 스틱이 등장한다. 양지 스님의 신통력을 표현하기 위

kydong77.tistory.com

 

9.廣德 嚴莊 116.7-219: 願往生歌. 嘗有歌云,

원왕생가

http://kydong77.tistory.com/8022

 

원왕생가 -광덕의 처

9. 願往生歌 -광덕의 처광덕과 엄장 廣德 嚴莊 -삼국유사 感通 第七 [은자주] 앞 꼭지의 노힐부득 달달박박의 이야기와 동궤[同軌]의 설화이다. “노힐부득:달달박박:낭자”의 캐릭터는 “광덕:

kydong77.tistory.com

 

10.月明寺 兜率歌 119.7-222: 兜率歌. 明乃作兜率歌賦之 其詞曰,

도솔가

http://kydong77.tistory.com/8019

 

도솔가 -월명사

10.월명사 도솔가月明寺 兜率歌 -삼국유사 감통 제7 景德王十九年庚子四月朔 二日竝現 경덕왕 19년 경자(760) 4월 초 하루에 두 해가 나란히 나타나서挾(註,當作浹)旬不滅.열흘이 지나도록 사라지

kydong77.tistory.com

 

11.祭亡妹歌. 作鄕歌祭之...歌曰,

제망매가

http://kydong77.tistory.com/8020

 

제망매가 -월명사

제망매가 -월명사-삼국유사 ‘월명사 도솔가’ 감통 제7.[은자주]나는 신라인들의 상상력 또는 문학적 표현을 설명할 때 수로부인의 미, 양지 스님의 자동 지팡이와 함께 이 설화에 나오는, 운행

kydong77.tistory.com

 

12.融天師 彗星歌 眞平王代 122.7-228: 彗星歌. 時天師作歌 歌之...歌曰,

혜성가

http://kydong77.tistory.com/8011

 

혜성가 -융천사

12.彗星歌 -융천사 융천사 혜성가 진평왕대 融天師 彗星歌 眞平王代 [은자주]세 화랑의 인격은 해와 같아서 달 아래 떠가는 혜성 따위야 문제될 게 없다는 화랑 찬양의 노래다. 와 동궤의 작품이

kydong77.tistory.com

 

13.信忠掛冠 127.8-232: 怨歌. 忠怨而作歌 帖於栢樹...乃召之 賜爵祿 栢樹乃蘇 歌曰,

원가

http://kydong77.tistory.com/8013

 

원가 -신충

13.怨歌- 信忠 신충괘관 信忠掛冠 -신충이 속세를 떠나다 -삼국유사 '피은' [은자주]삼국유사 ‘피은’에는 신충과 영재가 말년에 머리를 깎고 중이 된 이야기가 실려 있다. 신충괘관과 영재우적

kydong77.tistory.com

 

14.永才遇賊 129.8-235: 遇賊歌. 乃命□□□作歌 其辭曰,

우적가

http://kydong77.tistory.com/8012

 

우적가 -영재

14.遇賊歌 -영재 영재우적 永才遇賊-삼국유사 피은 釋永才性滑稽 不累於物 善鄕歌. 스님 영재는 천성이 익살스럽고 재물에 구애되지 않았으며 향가를 잘했다. 暮歲將隱于南岳 至大峴嶺 遇賊六

kydong77.tistory.com

 

*작품수는 모두 25수이나 ( ) 속의 숫자는 보현십원가 11수를 1수로 처리하여 15수를 대상으로 함.

형식: 10행체 19(9)수, 4행체 4수, 8행체 2수.

작가: 승려 18(8)수, 화랑 3수, 여류 1수, 민요 2수, 失名 1수.

내용: 불교 18(8)수, 君臣관계 2수, 남녀관계 2수, 붕우관계 2수, 기타 1수

 

균여전 11수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3615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고려 광종 연간에 균여(均如)가 지은 향가. 보현십종원왕가(普賢十種願往歌)·원왕가(願往歌)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원왕가(願王歌)’만이 ≪균여전≫의 문헌 명칭이고, 나머지는 ≪균여전≫의 ‘보현십종원왕에 의거하여 노래 11장을 지었다(依普賢十種願王 著歌十一章)’는 기록에 의한 후대의 명명이다.

작품은 고려대장경 보판(補板) ≪석화엄교분기원통초 釋華嚴敎分記圓通抄≫ 권10 끝에 부록으로 실린 <대화엄수좌원통양중대사균여전병서 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並序>의 제7 가행화세분(歌行化世分)에 향찰로 표기되어 전한다.

창작연대는 963∼967년 사이로 여러 설이 있다. 균여는 ≪균여전≫에 인용된 글에서 ≪화엄경≫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의 어려운 종취(宗趣)를 향가를 빌려 중생을 교화하고자 한다고 창작동기를 밝히고 있다. 전체 11수로 되어 있으며, 각 수 모두가 11분절로 띄어져 있다. 

 

체재는 ≪화엄경≫ 보현행원품에 기초하여, 그 10행원의 순서를 그대로 하고, 제목은 ‘○○○○품’을 ‘○○○○가’로 고치고 그 밖의 다른 글자는 거의 그대로 쓰면서 10수의 향가를 창작한 다음에, <총결무진가 總結无盡歌>를 더하여, 전체 11수로 짜고 있다.

전체 내용은 보현보살이 제시한 열 가지 원을 작자 스스로 행하고자 다짐하는 것이다. <보현십원가>의 각 작품별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예경제불가 禮敬諸佛歌>는 모든 부처님을 공경하고 예배하겠다는 내용의 노래이다.

<예경제불가>의 원문, 해독, 현대어 풀이는 다음과 같다.

 

① 원문

心未筆留/

慕呂白乎隱佛體前衣/

拜內乎隱身萬隱/

法界毛叱所只至去良/

塵塵馬洛佛體叱刹亦/

刹刹每如邀/里白乎隱/

法界滿賜隱佛體/

九世盡良禮爲白齊/

歎曰 身語意業无疲厭/

此良夫作沙毛叱等耶

② 해독

ᄆᆞᅀᆞᄆᆡ 부드로/

그리ᄉᆞᆯᄫᅩᆫ 부텨 알ᄑᆡ/

저ᄂᆞ온 모마ᄂᆞᆫ

法界 업ᄃᆞ록 니르거라

塵塵마락 부텻 刹이역/刹刹마다 모리ᄉᆞᆯᄫᅩᆫ

法界 ᄎᆞ신 부텨/九世 다ᄋᆞ라 절ᄒᆞᄉᆞᆲ져

아야, 身語意業无疲厭/

이렁 ᄆᆞᄅᆞ 지ᅀᅡ못ᄃᆞ야

(김완진 해독)

③ 현대어 풀이

마음의 붓으로/

그리온 부처 앞에/

절하는 몸은/

法界 없어지도록 이르거라/

티끌마다 부첫 절이며/

절마다 뫼셔 놓은/

法界 차신 부처/

九世 내내 절하옵저/

아아, 身語意業无疲厭/

이리 宗旨 지어 있노라 (김완진 현대역)

<칭찬여래가 稱讚如來歌>는 여래불의 공덕을 칭송하는 노래로, 칭송자의 혀에 무한한 능력이 함께 하기를 기원하고 있다. <광수공양가 廣修供養歌>는 넓게 여러 가지 공양을 모두 행하겠다는 내용으로, 그 많은 공양 중에서도 물질공양이 아닌 몸으로 하는 법공양이 으뜸임을 강조한다.

<참회업장가 懺悔業障歌>는 유일하게 보현행원품의 참제업장(懺除業障)이라는 제목을 고친 노래로, 그 내용은 오늘의 참회로부터 다시는 죄를 짓지 않겠다는 다짐이다. <수희공덕가 隨喜功德歌>는 어느 누구의 공덕이라도 이는 곧 나의 공덕이 되니, 그 모든 공덕을 따라 기뻐하겠다고 한 노래이다.

<청전법륜가 請轉法輪歌>는 법륜(중생의 악을 부수는 설법)을 굴리도록 청하는 노래로, 그 내용은 부처님의 은혜로 중생이 깨달은 아름다운 세계를 보여 준다. <청불주세가 請佛住世歌>는 부처님이 비록 이 세상과 인연을 다하여 서방으로 가려고 할지라도 가지 말고 이 세상에 계속 머물면서 중생을 구제해 주도록 갈구하는 내용이다.

<상수불학가 常隨佛學歌>는 항상 부처님을 따라서 배우겠다는 노래로, 부처님이 닦으신 어렵고 괴로운 수행을 좇고자 하면서 스스로의 마음을 다짐한다.

<항순중생가 恒順衆生歌>는 항상 중생을 따르겠다는 내용으로, 부처님도 중생으로 뿌리를 삼으셨으니 자신도 그렇게 중생을 따르겠다고 노래하고 있으며,

<보개회향가 普皆廻向歌>는 자신이 닦은 모든 공덕의 선을 중생에게 돌려, 중생에도 미혹한 무리가 없게 하겠다고 다짐한다.

<총결무진가>는 앞의 10수를 묶어 결론짓는 노래로, 생계(生界) 다하면 자신이 바라는 바도 다할 날이 있으리니, 보현행원만을 열심히 행하겠다고 다짐하는 내용이다.

이 내용들은 작품별 유형으로 보면,

<예경제불가>·<칭찬여래가>·<광수공양가>·<참회업장가>·<수희공덕가> 등이 속하는 바람(1)↔바람(2)→맹서의 유형,

<청전법륜가>이 내용들은 작품별 유형으로 보면, <예경제불가><칭찬여래가><광수공양가><참회업장가><수희공덕가> 등이 속하는 바람(1)↔바람(2)→맹서의 유형,

<청전법륜가>·<청불주세가> 등이 속하는 맹서→바람(1)↔바람(2)의 유형,

<상수불학가>·<항순중생가>·<보개회향가> 등이 속하는 바람→맹서(1)↔맹서(2)의 유형,

<총결무진가>가 속하는 (바람→)맹서(1)→(바람→)맹서(2)→(바람→)맹서(3)의 유형 등으로 나뉜다.

 

https://kydong77.tistory.com/21084

 

均如大師,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t=4s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search/가테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위 주문(呪文)의 산스크리트어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토말 :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

kydong77.tistory.com

 

[균여전소재 11首]

普賢十願歌(均如大師)

◇普賢菩薩十種願王歌(原題)

 

(1)균여전의 구성(全九章)

①降誕靈驗分 ②出家請益分 ③姉妹齊賢分

④立義定宗分 ⑤解釋諸章分 ⑥感通神異分

歌行化世分 ⑧譯歌現德分 ⑨感應降魔分

 

(2)歌行化世分

-均如大師(923-973, 고려 太祖6- 고려 光宗24) 창작은 949-973년으로 추정.

◇普賢十願歌 11수

①禮敬諸佛歌 ②稱讚如來歌 ③廣修供養歌

④懺悔業障歌 ⑤隨喜功德歌 ⑥請轉法輪歌

⑦諸佛住世歌 ⑧常隨佛學歌 ⑨恒順衆生歌

⑩普皆廻向歌 ⑪總結無盡歌

 

(3)⑧譯歌現德分

-漢詩로 飜譯한 崔行歸의 序(983). 七言律詩.

 

(4)均如傳[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 고려 문종 29년(1075) 赫連挺 撰.

[참조]均如(俗姓은 邊氏, 黃州출신,923-973.고려 太祖6- 고려 光宗24)) 향가 11수는 고려시대의 작품. 광종(재위 949-975) 949-973년으로 추정.

 

[참고]

崔行歸의 序(983)에 나타난 보배로운 말씀들

[第七 歌行化世分者]

師之外學 尤閑於詞腦(意精於詞 故云腦也)

균여대사는 불교 외의 학문으로는 특히 사뇌(지은이의 뜻이 가사에 정밀하게 표현되므로 腦)라 한다)에 익숙하여

依普賢十種願王 著歌一十一章.

보현보살의 열 가지 서원을 바탕으로 노래 11章을 지었다.

其序云

그 서문에 이르기를,

夫詞腦者 世人喜樂之具

“대저 詞腦라하는 것은 세상 사람들이 놀고 즐기는 데에 쓰는 도구요

願王者 卄卄(주,菩薩)修行之樞

願王이라 한 것은 보살 수행의 중추이다.

故得涉淺歸深

그러므로 얕은 데를 지나 깊은 데로 갈 수 있고,

從近至遠

가까운 곳으로부터 먼 곳에 이르는 것이니

不憑世道 無引劣根之由

세상의 도구에 의지하지 않고는 劣根을 가진 사람들을 인도할 단서가 없고,

非其陋言 莫現普因之路.

우리말이 아니면 큰 인연을 나타낼 길이 없다.”

 

[第八 譯歌現德分者] 漢詩를 飜譯한 崔行歸의 序(983).

然而詩搆唐辭 磨琢於五言七字

그러나 漢詩는 중국 글자로 였어서 五言, 七言으로 다듬고,

歌排鄕語 切磋於三句六名

향가는 우리말로 배열해서 三句六名으로 다듬는다.

(…중략…)

八九行之唐序 義廣文豊

8-9행의 한문으로 쓴 서문은 뜻이 넓고 문채가 풍부하며,

十一首之鄕歌 詞淸句麗

11수의 향찰로 쓴 노래는 그 가사가 맑고 곱다.

其爲作也 呼稱詞腦

창작된 것을 사내(詞腦, 東川의 뜻)라 부르니

可欺貞觀之詞

貞觀(唐太宗,627-649) 때의 시를 대단치 않게 생각할 만하고,

精若賦頭

정치(精緻)함은 賦 작품 중 으뜸인 것과 같아서

堪比惠明之賦

육조시대 晉의 惠帝(290-306), 東晉의 明帝(323-325) 때의 賦에 비길만하다.

而唐人見處 於序外以難詳

그러나 중국인이 보면 서문 외에는 자세히 알기 어렵고

鄕士聞時 就歌中而易誦

우리나라 선비들이 들을 적에는 노래에 참가하여 쉽사리 왼다.

皆沾半利 各漏全功.

양쪽 모두 반쪽 이익만 취하고 각기 온전한 성공은 놓친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7997?category=485793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보현행원품 도입부  (0)

kydong77.tistory.com/7996?category=485793

 

보현행원품 도입부

40권본 화엄경 보현행원품 이운허 역, 동국대학교역경원. 大方廣佛華嚴經卷第四十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kyoung/index_kyoung.asp?kyoungName=%B4%EB%B9%E6%B1%A4%BA%D2%C8%AD%BE%F6%B0%E640%B1%..

kydong77.tistory.com

 

1. 예경제불가

kydong77.tistory.com/7994?category=485793

 

1. 예경제불가

[은자주]중생제도를 위하여 아래 화엄경 <보현행원품> 의 禮敬諸佛의 내용을 우리말 노래 10구로 압축한 균여대사의 불심과 그 능력에 감복한다. 신앙생활은 신앙 대상을 예배하고 공경하는 데

kydong77.tistory.com

 

2.칭찬여래가 

kydong77.tistory.com/7993?category=485793

 

2.칭찬여래가

2. 칭찬여래가(稱讚如來歌) 今日部伊冬衣 南無佛也白孫舌良衣 無盡辯才叱海等 一念惡中涌出去良 塵塵虛物叱邀呂白乎隱 功德叱身乙對爲白惡只 際干萬隱德海肹 間王冬留讚伊白制 隔句 必只一

kydong77.tistory.com

 

3.광수공양가

kydong77.tistory.com/7992?category=485793

 

3.광수공양가

3. 廣修供養歌 -여러 가지로 공양하는 노래 *[은자주] 이 노래의 낙구(落句)에서, 아으 法供사 하나 아, 법공양(法供養)이야 많으나 이 어의바 最勝供이여 이것이야말로 가장 큰 공양이로다. 라 했

kydong77.tistory.com

 

4.참회업장가

kydong77.tistory.com/7991?category=485793

 

4.참회업장가

4.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 顚倒逸耶 菩提向焉道乙迷波 造將來臥乎隱惡寸隱 法界餘音玉只出隱伊音叱如支 惡寸習落臥乎隱三業 淨戒叱主留卜以支乃遣只 今日部頓部叱懺悔 十方叱佛體閼遣只賜

kydong77.tistory.com

 

5.수희공덕가

kydong77.tistory.com/7990?category=485793

 

5.수희공덕가

5.수희공덕가 隨喜功德歌 (남의 공덕을 함께 기뻐하는 노래) 迷悟同體叱 緣起叱理良尋只見根 佛伊衆生毛叱所只 吾衣身不喩仁人音有叱下呂 修叱賜乙隱頓部叱吾衣修叱孫丁 得賜伊馬落人米無叱

kydong77.tistory.com

 

6.청전법륜가  

kydong77.tistory.com/7980?category=485793

 

6.청전법륜가

6.청전법륜가 請轉法輪歌 -설법해 주기를 청하는 노래 彼仍反隱 法界惡之叱佛會阿希 吾焉頓叱進良只 法界乙乞白乎叱等耶 無明土深以埋多 煩惱熱留煎將來出米 善芽毛冬將乙隱 衆生叱田乙潤只

kydong77.tistory.com

 

7.청불주세가  (0)

kydong77.tistory.com/7979?category=485793

 

7.청불주세가

7.청불주세가 請佛住世歌 皆佛體 必于化緣盡動賜隱乃 手乙寶非鳴良尒 世呂中止以友白乎等耶 曉留朝于萬夜未 向屋賜尸朋知良閪尸也 伊知皆矣爲米 道尸迷反群良哀呂舌 落句 吾里心音水淸等

kydong77.tistory.com

 

8.상수불학가

kydong77.tistory.com/7978?category=485793

 

8.상수불학가

8.상수불학가 常隨佛學歌 我佛體 皆往焉世呂修將來賜留隱 難行苦行叱願乙 吾焉頓部叱逐好友伊音叱多 身靡只碎良只塵伊去米 命乙施好尸歲史中置 然叱皆好尸卜下里 皆佛體置然叱爲賜隱伊留

kydong77.tistory.com

 

9.항순중생가(恒順衆生歌) 

kydong77.tistory.com/7977?category=485793

 

9.항순중생가(恒順衆生歌)

9.항순중생가 恒順衆生歌 覺樹王焉 迷火隱乙根中沙音賜焉逸良 大悲叱水留潤良只 不冬萎玉內乎留叱等耶 法界居得丘物叱丘物叱 爲乙吾置同生同死 念念相續無間斷 佛體爲尸如敬叱好叱等耶 打

kydong77.tistory.com

 

10.보개회향가

kydong77.tistory.com/7976?category=485793

 

10.보개회향가

10.보개회향가 普皆廻向歌 皆吾衣修孫 一切善陵頓部叱廻良只 衆生叱海惡中 迷反群無史悟內去霽 佛體叱海等成留焉日尸恨 懺爲如乎仁惡寸業置 法性叱宅阿叱寶良 舊留然叱爲事置耶 病吟 禮爲

kydong77.tistory.com

 

11.총결무진가 

kydong77.tistory.com/7975?category=485793

 

11.총결무진가

11.총결무진가 總結無盡歌 生界盡尸等隱 吾衣願盡尸日置仁伊而也 衆生叱邊衣于音毛 際毛冬留願海伊過 此如趣可伊羅行根 向乎仁所留善陵道也 伊波普賢行願 又都佛體叱事伊置耶 阿耶 普賢叱

kydong77.tistory.com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0461?category=485793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084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티스토리]

'고전문학 > 향가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지 - 풍요/향가  (0) 2014.03.22
보현십원가 11수 모음  (0) 2009.09.15
처용의 17상호  (0) 2009.02.12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 게송  (1) 2008.09.03
11.총결무진가  (0) 2008.09.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