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홍범의 아홉번째인 오복(五福)과 육극(六極)은 이와 같습니다

 

   五福

  (구 오복)   "홍범의 아홉번째로, 다섯 가지의 복인 오복(五福)으로, 

   一曰壽(일왈수) 二曰富(이왈부)

   그 첫째를 장수(長壽)인 수(壽)이며, 둘째는 부유한 부(富)이고,

   三曰康寧(삼왈강녕)

   셋째는 건강과 평안인 강녕(康寧)이며,

   四曰攸好德(사왈유호덕)

   넷째는 덕을 지키는 것을 낙으로 삼는 유호덕(攸好德)이며, 

   五曰考終命

   (오왈고종명) 다섯째는 늙어서 목숨을 다하는 고종명(考終命)입니다.

   六極

    (육극) 그리고 여섯 가지의 곤액(困厄)은,

   一曰 凶短折

    (일왈 흉단절) 첫째는 횡사(橫死)와 요절(夭折)이고,

   二曰

   (이왈질) 둘째는 질병(疾)이며,

   三曰憂

   (삼왈우) 셋째는 근심인 우(憂)이고, 

   四曰貧

    (사왈빈) 넷째는 가난한 빈곤(貧)이며,

   五曰惡

    (오왈악) 다섯째는 죄악을 짓는 악(惡)이며,

   六曰弱

  (육왈약) 여섯째는 몸이 쇠약한 약(弱)입니다"       

 * 이 절에서는 다섯 가지 복여섯 가지의 곤액을 열거하고 있는,

임금은 백성들이 다섯 가지를 누리도록 힘써야 하며, 

여섯가지 곤액을 겪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옛 사람들은 수명을 다 누리지 못하는 것과 병고에 시달리는 것도 임금의 다스림에 그릇된 점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질병을 천제께서 이 세상의 임금에게 내리는 경고로 여겼던 것이다.

이 홍범편은 <금문상서>와<위고문상서>에 모두 다 실려 있는 글이다. 서서(書序)에 의하면,

무왕이 은을 멸하고 주왕(紂王)을 주륙(誅戮)한 뒤에, 그의 아들인 무경(武庚)으로 하여금,

은(殷)나라의 제사를 받들게 하였으며, 기자와 함께 주나라의 도읍으로 돌아가서 이 글을 주었다고 한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042?category=1425252

 

<서경>(128)주서(周書)(25)홍범편(洪範篇)(10) 홍범의 여덟째인 서징(庶徵)은 이와 같습니다

             <서경(書經)>(128) 주서(周書)(25)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10] 홍범의 여덟째인 서징(庶徵)은 이와 같습니다 

 

   八(팔) 庶徵(서징)

   "홍범의 여덟째는, 여러 징조라는 서징(庶徵)으로, 

   曰雨(왈우) 曰暘(왈양) 

   비가 온다는 우(雨)와, 날이 화창하다는 양(暘)과

   曰燠(왈욱) 曰寒(왈한)

   날이 뜨겁다는 욱(懊)과, 날이 차갑다는 한(寒)과,

   曰風(왈풍) 曰時(왈시)

   바람이 분다는 풍(風)과 절후가 맞는 때인 시(時)를 말합니다.

   五者來備(오자래비) 各以其敍(각이기서)

   이 다섯 가지 모두가 갖추어 지고, 차례로 각기 행하여 지면,

   庶草蕃廡(서초번무)

   여러 초목들이 무성해질 것입니다.

   一極備凶(일극비흉)

   이 가운데 한 가지라도 지나치게 갖추어 지면 흉하게 되고,

   一極無凶(일극무흉)

   이 가운데 한 가지라도 지나치게 부족하면 흉하게 됩니다.

   曰休徵(왈휴징)

   훌륭한 징조를 말씀드린다면,

   曰肅(왈숙) 時雨若(시우약)

   천자가 엄숙하면, 때에 맞게 비가 내리게 되고,

   曰乂(왈예) 時暘若(시양약)

   천자가 잘 다스리면, 때에 맞게 날씨가 뜨거워 지고,

   曰晢(왈석) 時燠若(시욱약)

   천자가 똑똑하고 슬기로우면, 때에 맞게 더위가 오고,

   曰謀(왈모) 時寒若(시한약)

   천자가 계획을 잘 세우면, 때에 맞게 추위가 오고,

   曰聖(왈성) 時風若(시풍약)

   천자께서 성스러우시면, 때에 맞게 바람이 불게 됩니다.

   曰咎徵(왈구징)

   흉악한 징조를 말씀드리자면,

   曰狂(왈광) 恒雨若(항우약)

   천자께서 미친 행위를 하시면, 오랫동안 비가 그치지 않고,

   曰僭(왈참) 恒暘若(항양약)

   천자께서 참람한 행위를 하시면, 오랫동안 가뭄이 들게 되고,

   曰豫(왈예) 恒燠若(항욱약)

   천자께서 머뭇거리시면, 오랫동안 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曰急(왈급) 恒寒若(항한약)

   천자께서 급히 하시면, 오랫동안 추위가 계속되고,

   曰蒙(왈몽) 恒風若(항풍약)

   천자께서 사물에 어두우면, 오랫동안 바람만 불게 됩니다.

   曰(왈) 王省惟歲(왕성유세)

   또 말씀드리자면, 천자는 해(歲)를 두고 살펴야 하며,

   卿士惟月(경사유월) 師尹惟日(사윤유일)

   경사들은 달을 두고 살피며, 낮은 관리들은 태양을 두고 살펴야 합니다.

   歲月日(세월일) 時無易(시무역)

   해와 달과 태양이, 사철의 운행이 상궤(常軌)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百穀用成(백곡용성) 乂用明(예용명)

   모든 곡식이 이로써 영글게 되고, 정치는 이로써 밝아지게 되며,

   俊民用章(준민용장)

   뛰어난 사람들은 이로써 세상에 알려지고,

   家用平康(가용평강)

   나라와 가정은 이로써 태평하고 편안해 질 것입니다.

   日月歲(일월세)

   태양과 달과 해(年)와,

   時旣易(시기역)

   사철의 운행이 상궤(常軌)에서 벗어나게 되면,

   百穀用不成(백곡용불성)

   모든 곡식들은 이로써 영글지 못하게 되고,

   乂用昏不明(예용혼불명)

   정치도 혼미해져서 밝지 못하게 될 것이며,

   俊民用微(준민용징)

   뛰어난 사람들도 이로써 세상에 드러나지 못하며,

   家用不寧(가용불녕)

   나라와 가정은 이로써 편안해 지지 못합니다.

   庶民惟星(서민유성) 星有好風(성유호풍)

   백성들의 상징은 별(星)인데, 별에는 바람을 좋아하는 것도 있고,

   星有好雨(성유호우)

   별에는 또한 비를 좋아하는 것도 있습니다.

   日月之行(일월지행) 則有冬有夏(즉유동유하)

   태양과 달의 운행은, 겨울을 있게 하고 여름을 있게 하며,

   月之從星(월지종성) 則以風雨(즉이풍우)

   달은 별을 따름으로써,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리게 됩니다"        

 

    *자연현상을 통치자의 치국(治國)과 불치(不治)와 관련지어서 임금이 한해동안 잘 다스리면 풍년이 들

     어 태평성대를 누리게 되지만, 그렇지 못한때에는 흉년이 들어서 모든 정세가 어지러워짐을 말하는 것

     이 이 대목의 요지인 것이다. 여러 징조인 서징(庶徵)을 살펴서 훌륭하고, 어진 임금이 될 것을 기자가

     무왕에게 당부하고 있는 것이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왈왕성유세(曰王省惟歲)’로 부터 시작되어 마지

     막의 ‘즉이풍우(則以風雨)’까지 무릇 87자가 위의글과 제대로 부합이 되지못한다는 점이다. 소동파(蘇

     東坡)의 <서전(書傳)>에 의하면, 문제의 이 구절들이 오기(五紀)를 논하는 ‘오왈역수(五曰曆數)’의 아

     래에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볼 때, 오기(五紀)에서 논하는 해(日)와 달(月)과 날

     (歲)과 별(星)은 곧 임금과 중신과 낮은 벼슬아치들, 그리고 백성들에게 비유를 하여 논증을 하고 있는

     것이다. 

 

http://chinesewiki.uos.ac.kr/wiki/index.php/%E7%A6%8F

 

福 - ChineseWiki

語源 갑골문에서 福은 두 손으로 제단에 술을 올려놓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축복을 빌면서 신에게 술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 ‘축복’의 의미를 가진다. 示(신주)가 생략되거나 또는

chinesewiki.uos.ac.kr

 

오복(五福)의 다섯 가지 복은 ①수(壽) ②부(富) ③강녕(康寧) ④유호덕(攸好德) ⑤고종명(考終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8267

 

오복(五福)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유교개념용어  『서경』 홍범편 등에서 인생의 바람직한 조건으로 제시한 수·부·강녕·유호덕·고종명의 5가지를 가리키는 일반용어.   

encykorea.aks.ac.kr

오복이 문헌상에 나타난 것은 『서경』「홍범편」이다. 그 뒤 여러 경전에 인간 오복에 대한 말이 나오고 시인들의 작품에도 많이 나타난다.
오복은 첫째가 수(壽)로, 인간의 소망이 무엇보다도 장수를 원하기 때문이다.
둘째가 부(富)로, 부유하고 풍족하게 살기를 바라는 간절한 소망인 것이며,
셋째가 강녕(康寧)으로, 일생 동안 건강하게 살고자 하는 욕망 또한 중요하기 때문이다.

넷째가 유호덕(攸好德)으로, 덕을 좋아한다는 뜻은 오래 살고 풍족하고 몸마저 건강하면 그 다음에는 이웃이나 다른 사람을 위하여 보람있는 봉사를 해보자는 것으로, 선을 권하고 악을 미워하는 선본(善本)사상의 발로라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고종명(考終命)은 죽음을 깨끗이 하자는 소망으로, 모든 사회적인 소망을 달성하고 남을 위하여 봉사한 뒤에는 객지가 아닌 자기집에서 편안히 일생을 마치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다.

이와 같은 다섯 가지 바람은 소망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정치가나 학자 또는 지도계층의 소망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민간에서 바라는 오복은 『통속편(通俗編)』에 나오는데 수·부·귀(貴)·강녕·자손중다(子孫衆多)로, 『서경』에 나오는 오복과 다소 차이가 있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041?category=1425252

 

<서경>(127)주서(周書)(24)홍범편(洪範篇)(9) 홍범의 일곱째인 계의(稽疑)는 이와 같습니다

             <서경(書經)>(127) 주서(周書)(24)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9] 홍범의 일곱째인 계의(稽疑)는 이와 같습니다

 

   (칠) 稽疑(계의)

   "홍범의 일곱째는, 의혹을 점쳐서 묻는 계의(稽疑)로, 

   擇建立卜筮人(택건립복서인)

   점치는 복서인(卜筮人)을 골라 세우는 것이며,

   乃命卜筮(내명복서)

   거북점과 시초점 즉 복서(卜筮)를 명하는 것입니다

   曰(왈우) 曰(왈제)

   비온다고 하는 우(雨)와, 날이 갠다는 제(霽)와,

   曰(왈몽) 曰(왈역)

   날이 어둡다는 몽(蒙)과, 엷은 구름이라는 역(驛)과,

   曰(왈극) 曰(왈정)

   서로 이긴다는 극(克)과 마음이 곧다는 정(貞)과,

  曰(왈회) 凡七(범칠)

   뉘우친다는 회(悔)로, 무릇 일곱 가지이며,

   卜五(복오)

   거북점에는 우(雨)·제(霽)·몽(蒙)·역(驛)·극(克)의 다섯 가지이며, 

   占用二(점용이)  

   시초점에는 정(貞)과 회(悔)의 2가지를 사용하며,

   愆忒(건특)

   이를 미루어 변화시킵니다.

   立時人作卜筮(입시인작복서)

   때에 맞춰 사람을 세워 거북점과 시초점을 치게 하고,

   三人占(삼인점) 則從二人之言(즉종이인지언)

   세 사람이 점을 친다면, 두 사람의 말을 따릅니다.

   汝則有大疑(여즉유대의) 謀及乃心(모급내심)

   왕인 그대에게 큰 의문이 있다면, 그대의 마음을 헤아리고,

   謀及卿士(모급경사) 謀及庶人(모급서인)

   경사들에게 의논하며, 서민들에게 의논하고,

   謀及卜筮(모급복서)

   마지막으로 거북점과 시초점을 쳐 봅니다.

   汝則從(여즉종) 龜從(구종) 筮從(무종)

   그대가 따르고, 거북점이 따르며, 시초점이 따르고,

   卿士從(경사종) 庶民從(서민종)

   경사들이 따르며, 서민이 따르면,

   是之謂大同(시지위대동)

   이것을 일러 ‘크게 같다’는 대동(大同)이라 하고,

   身其康彊(신기강강)

   그대의 몸은 편안하고 강건하며,

   子孫其逢(자손기봉) (길)

   그대의 자손들은 흥성함을 만날 것이니, 곧 길한 것입니다.

   汝則從(여즉종) 龜從(구종) 筮從(서종)

   그대가 따르고, 거북점이 따르며, 시초점이 따르고,

   卿士逆(경사역) 庶民逆(서민역) (길)

   경사들은 반대하고, 서민이 반대하면, 곧 길한 것입니다.

   卿士從(경사종) 龜從(구종) 筮從(서종)

   경사들이 따르고, 거북점이 따르고, 시초점이 반대이며,

   汝則逆(여즉역) 庶民逆(서민역) (길)

   그대는 반대하며, 서민이 반대하면, 곧 길한 것입니다.

   庶民從(서민종) 龜從(구종) 筮從(서종)

   서민이 따르고, 거북점이 따르며, 시초점이 따르고,

   汝則逆(여즉역) 卿士逆(경사역) 吉(길)

   그대가 반대하고, 경사들이 반대하면, 곧 길한 것입니다.

   汝則從(여즉종) 龜從(구종) 筮逆(서종)

   그대가 따르고, 거북점이 따르고, 시초점이 반대하고,

   卿士逆(경사역) 庶民逆(서민역)

   경사들은 반대하고, 서민들이 반대하면,

   作內吉(작내길) 作外凶(작외흉)

   집안일에는 길하지만, 바깥일에는 흉하게 됩니다.

   龜筮共違于人(구서공위우인)

   거북점과 시초점의 괘가 모두 사람의 뜻과 어긋날 때에는,

   用靜吉(용정길) 用作凶(용작흉)

   가만히 있으면 길하고, 움직이면 흉하게 됩니다"         

 

    *복(卜)은 거북점을 가리키고 서(筮)는 시초점을 가리킨다.

     점(占)이라는 글자는 항아리에 담긴 점괘를 뽑는 행위를 나타내는 상형문자에서 변형된 글자가된다.

     거북점은 말린 거북의 등껍질을 불에 태워 치는 점으로서 복(卜)이라 하고, 

     시초점은 시초의 줄기를 꺾어 점가지로 점을 칠 때 나타나는 괘상(卦象)으로 길흉을 판단하는 것으로

     이를 서(筮)라고 한다.

     그리고<고문상서>에는 역(驛)은 역(圛)으로 되어 있는데, 

     그 뜻은 하늘의 반은 구름이 있고, 반은 구름이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고 하였다. 

     또한 건특(愆忒)은 추이(推移)하여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글에서는 점을 쳐서 의문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논하고 있다. 

     거북점에는, 다섯 가지 현상이 있고, 시초점에는 안과 밖의 두 가지 현상이 있는, 이것을 추

     이하고 변화를 시켜 길흉을 판단한다고 하였다. 옛날사람들은 점을 매우 중시하였다. 

    일반 서민에서부터 위로 왕실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일을 막론하고 점을 쳐서 가부를 결정하곤 하였다.

     특히 주나라 때에 이르러 괘점(卦占), 곧 역리(易理)를 크게 중요시하였는데, 

     이것에 대한 연구결과가 곧 <주역(周易)>이 된 것이다. 

     <주역>은 64괘로 이루어 지는데, 처음 시작한 사람은 복희씨(伏羲氏)라고 한다. 

     론 하(夏)나라와 상(商)나라 시대에 괘점(卦占)이라는것이 있기는 했지만,

     하(夏)나라 시대는 ‘연산(連山)’이라 하였고, 상(商)나라 시대에는 ‘귀장(歸藏)’ 이라고 불렀다.

     물론 처음에는 완전한 내용을 담지 못하였으나, 

     주대(周代)에 이르러 오늘날과 같은 <주역>의 내용을 갖추게 된 것이다. 

 

[참고] 주역64괘 풀이

https://kydong77.tistory.com/21645

 

주역(周易) 64괘 해석, 괘사(卦辭) 64괘, 효사(爻辭) 384효/陰陽五行 원리

太極>兩儀> 四象>八卦 太極>兩儀> 四象>八卦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9705 팔괘(八卦)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팔괘는 자연계 구성의 기본이 되는 하늘·땅·못·불·지진·바람·물·산

kydong77.tistory.com

 

 

 

m.blog.daum.net/thddudgh7/16535040?category=1425252

 

<서경>(126)주서(周書)(23)홍범편(洪範篇)(8) 홍범의 여섯째인 삼덕(三德)은 이와 같습니다

             <서경(書經)>(126) 주서(周書)(23)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8] 홍범의 여섯째인 삼덕(三德)은 이와 같습니다 

 

   (육) 三德(삼덕)

   "홍범의 여섯째로, 세 가지의 덕이니, 

   一曰正直(일왕정직) 

   그 첫째는 바르고 곧은 정직(正直)이요,

   二曰剛克(이왈강극)

   둘째는 지나치게 굳센 강극(剛克)이며,

   三曰柔克(삼왈유극)

   세째는 지나치게 부드러운 유극(柔克)입니다.

   平康正直(평강정직)

   고르고 편안함((平康)은 정직(正直)이며,

   彊弗友剛克(강불우강극)

   굳세고 순하지 아니함(彊弗友)은 강극(剛克)이며,

   燮友柔克(섭우유극)

   온화하고 순함(燮友)는 유극(柔克)입니다.

   沈潛剛克(침잠강극)

   잠기고 가라앉음(沈潛)은 강극이며,

   高明柔克(고명유극)

   높아지고 밝음(高明)은 유극입니다.

   惟辟作福(유벽작복)

   오로지 왕만이 복(福)을 내릴 수 있고,

   惟辟作威(유벽작위)

   오로지 왕만이 위엄을 지니며,

   惟辟玉食(유벽옥식)

   오로지 임금만이 진귀한 음식을 먹을 수 있습니다.

   臣無有作福作威玉食(신무유작복작위옥식)

   신하가 복을 내리거나 위엄을 지니거나 진귀한 음식을 먹어서는 안됩니다.

   臣之有作福作威玉食(신지유작복작위옥식)

   신하가 복을 내리고 위엄을 지니고 진귀한 음식을 먹으면,

   其害于而家(기해우이가) 凶于而國(흉우이국)

   자신의 집에는 해롭게 되고, 그 나라는 흉하게 됩니다.

   人用側頗僻(인용측파벽)

   관리들이 기울어 지고 비뚤어 지고 치우친다면,

   民用僭忒(민용참특)

   백성들이 분수를 넘고 악한 짓을 하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세 가지 덕성에 관하여 논하고 있는데, 정직함과 굳건함과 부드러움 세 가지를 잘 조화시

     켜야 함을 강조한 대목이다. 곧 올바르고 곧아야 하며, 굳건 하면서도 부드러움을 지녀야 하고, 부드러

     우면서도 굳건함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임금과 관리와 백성들에게 각기의 책임이 있고 의무

     가 있음을 강조한 것이라 하겠다. 이를 요약해 보면 홍범구주의 내용으로, 삼덕(三德)에는 정직, 강극,

     유극을 들고 있는데, 왕과 신하와 관리와 백성들이 각각 지켜야 할 분수를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곧

     정직(正直)으로 강극(剛克)과 유극(柔克)을 조화(調和)시켜 어질게 시행하여야 하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