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thddudgh7/16534439?category=1425252

 

<서경>(73)상서(商書)(21)함유일덕편(咸有一德篇)(2) 하늘은 덕을 평가하여 재앙과 복을 내린다.

             <서경(書經)>(73) 상서(商書)(21)         상(商)나라 시대의 사적을 기록해둔 것이라고 하여 상서(商書)라 일컫게 되었는데, 상(商)은 성탕(成湯)   의 조상이 봉함을 받은 땅..

blog.daum.net

 

 

[2] 하늘은 덕을 평가하여 재앙과 복을 내린다.  

 

   非天私我有商(비천사아유상)

   "하늘이 우리 상나라에게 사사로움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惟天佑于一德(유천우우일덕)

   오로지 순일한 덕을 돌보신 것입니다.

   非商求于下民(비상구우하민)

   상나라에서 백성들에게 구한 것이 아니라,

   惟民歸于一德(유민귀우일덕)

   백성들이 순일한 덕에 귀의를 한 것입니다.

   德惟一(덕유일) 動罔不吉(동망불길)

   덕이 순일하면, 움직여서 길하지 않은 것이 없고,

   德二三(덕이삼) 動罔不凶(동망불흉)

   덕이 두셋으로 순일하지 못하면, 움직여서 흉하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惟吉凶不僭在人(유길흉불참재인)

   오직 길흉은 사람에 의해 좌우되지 않으며,

   惟天降災祥在德(유천강재상재덕)

   오직 하늘은 그 사람의 덕을 평가하여 재앙과 복을 내리는 것입니다. 

   今嗣王新服厥命(금사왕신복궐명)

   지금 뒤를 이은 왕께서는 새로이 하늘의 명을 행하게 되셨으니,

   惟新厥德(유신궐덕) 終始惟一(종시유일)

   오직 새로이 임금의 덕을 행하여, 마치고 시작함을 오직 하나로 하시면,

   時乃日新(시내일신)

   이때는 비로소 날로 새로워 지는 것입니다.

   任官惟賢材(임관유현재)

   관직에는 오직 어질고 재주있는 사람을 등용하시고,

   左右惟其人(좌우유기인)

   임금의 좌우에는 오직 그런 사람을 두어야 합니다.

   臣爲上爲德(신위상위덕)

   신하는 윗사람을 대신하여 덕을 행하고,

   爲下爲民(위하위민)

   아래로는 백성들을 위하여야 합니다.

   其難其愼(기난기신)

   이런 일은 어렵고 조심해야 하는 것이니,

   惟和惟一(유화유일)

   서로 화합하고 오직 덕을 순일하게 하도록 하소서"    

 

   *이운은 이 글에서 상의 탕왕이 순일한 덕을 닦고 지킴으로써 온 세상을 다스릴 수 있었던 것을 본받아,

    아랫사람들로 하여금 서로 화합하도록 하고 덕을 순일(純一)하게 하라고 태갑을 훈계하고 있다. 

 

 

m.blog.daum.net/thddudgh7/16534438?category=1425252

 

<서경>(72)상서(商書)(20)함유일덕편(咸有一德篇)(1) 이윤이 은퇴를 하면서 태갑에게 경계를 진언하

             <서경(書經)>(72) 상서(商書)(20)         상(商)나라 시대의 사적을 기록해둔 것이라고 하여 상서(商書)라 일컫게 되었는데, 상(商)은 성탕(成湯)   의 조상이 봉함을 받은 땅..

blog.daum.net

 

 

<서경(書經)>(72) 상서(商書)(20)       

   상(商)나라 시대의 사적을 기록해둔 것이라고 하여 상서(商書)라 일컫게 되었는데, 상(商)은 성탕(成湯)

   의 조상이 봉함을 받은 땅의 이름이었다. 성탕이 무도한 하(夏)의 걸왕(桀王)을 쳐서 멸망시키고 국호를

   상(商)이라고 한 것이다. 상왕조(商王朝)는 기원전 1751~1111년까지 영화를 누리며 충국 대륙을 통치해

   온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왕조는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지는데, 성탕으로부터 그후 360여년간을

   전기로 보고, 제17대 임금 반경(盤庚)에 이르러 은(殷)땅으로 천도한 기원전 1384년 부터 상(商)의 멸망

   까지를 후기로 본다. 반경은 즉위한 지 15년 째 되던 해에 천도를 하였으며, 이후 상(商)을 은(殷)이라고

   도 부르게 되었는데, 이는 지금 알려져 있는 상대(商代)의 기록과 역사적인 자료및 기타 문물이 모두 이

   시대에 남겨진 것들이기 때문이다. 상서 가운데 남은 기록은 <금문상서>의 탕서(湯誓),반경(盤庚),고종

   융일(高宗肜日), 서백감려(西伯勘黎), 미자(微子)의 5편과, <위고문상서>에만 수록되어 있는, 중훼지고

   (仲虺之誥), 탕고(湯誥), 이훈(伊訓), 태갑(太甲), 함유일덕(咸有一德), 열명(說命)의 6편인데,이 작품들

   가운데 상중하로 나뉘어진 것이 있어서 총 17편에 이른다.

 

    제8편 함유일덕(咸有一德)(1)                                

   이편 역시 이윤의 교훈을 기록한 것이다. 함유일덕(咸有一德)이란 ‘모두 다함께 같은 덕을 지녀야 한다’

   는 뜻으로, 윗자리에 있는 군주나 군주를 보필하는 신하가 다함께, 올바를 도리에서 조금도 흔들림이 없

   어야 하는 순정불이(純正不二)의 덕(德)을 말하는 것이다. 이윤이 태갑을 맞이하여 복위를 시킨후에, 태

   갑은 많이 뉘우치기는 하였으나, 아직도 군왕 으로서의 덕이 부족하여 흠들리는 점이 많았다고 한다. 이

   에 이윤은 노년에 접어 들어 은퇴를 하기 직전에, 태갑에게 이 순정불의 덕을 교훈한 것이라 한다. 이 편

   역시 앞의 몇 편과 함께 <위고문상서>에 수록이 되어 있다. 사마천(司馬遷)은 <사기(史記)>에서, 이 한

   편은 이윤이 탕왕에게 훈계한 것으로, 탕고편 바로 뒷편에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 이윤이 은퇴를 하면서 태갑에게 경계를 진언하다.  

 

   伊尹旣復政厥辟(이윤기복정궐벽) 將告歸(장고귀)

   이윤은 왕에게 정사를 되돌려 준 뒤에, 고향으로 은퇴하려고 할 때에,

   乃陳戒于德(내진계우덕) 曰(왈)

   덕에 대하여 경계할 것을 진언하여, 이렇게 말했다.

   嗚呼(오호) 天難諶(천난심) 命靡常(명미상)

   "아아!, 하늘은 헤아리기가 어려우며, 그 명은 항상 같지 않습니다.

   常厥德(상궐덕) 保厥位(보궐위)

   항상 덕을 닦으면, 그 자리를 보전할 수 있으나,

   厥德匪常(궐덕비상) 九有以亡(구유이망)

   항상 그 덕을 닦지 않으면, 9주(九州)는 그 때문에 망하게 되는 것입니다.

   夏王弗克庸德(하왕불극용덕)

   하(夏)나라 왕은 늘 덕을 닦지 않았으며,

   慢神虐民(만신학민)

   신을 가볍게 여기고 백성들을 학대하였습니다.

   皇天弗保(황천불보) 監于萬方(감우만방)

   이에 황천은 그를 보우하지 않았고, 만방을 살피어,

   啓迪有命(계적유명) 

   천명을 받을 사람에게 길을 열어 주셨으며,

   眷求一德(권구일덕)

   순일한 덕을 지닌 사람을 두루 구하여,

   俾作神主(비작신주)

   신(神)을 받드는 주(主)가 되게 하였습니다.

   惟尹躬曁湯(유이기탕) 咸有一德(함유일덕)

   이윤은 몸소 탕왕과 함께, 임금과 신하 모두가 한가지 덕을 닦아,

   克享天心(극향천심) 受天明命(수천명명)

   능히 천심을 받들 수가 있었고, 이리하여 하늘의 밝은 명을 받아,

   以有九有之師(이유구유지사)

   구주(九州)의 백성들을 다스릴 수 있었으며,

   爰革夏正(원혁하정)

   끝내는 하나라의 정월(正月)을 개혁하기에 이르렀던 것입니다"     

 

 

   *이 글에서도 이윤이 은퇴를 하기 위해 정권을 돌려주는 복정(復政)을 하고 태갑에게 경계의 말을 진언

    (陳言)하고 있다. 하늘은 항상 덕을닦는 사람에게 천하를 다스리도록 하였는데, 하(夏)의 걸왕(桀王)은

    덕을 닦지 않았기 때문에 덕을닦은 탕왕을 천하의 임금으로 선택하였다는 것과, 이윤자신은 탕왕과 함

    께 순정불이(純正不二)의 덕으로 하늘을 받들어 천하를 통치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말해 주고 있다. 이

    편에서는 태갑이 임금된 도리를 지키지 못해서 훈계한 것이라기 보다는 더욱 훌륭한 임금이 되라고 올

    린 진언으로 보인다. <사기>에서는 이편이 탕고의 바로 뒤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 편이

    <위고문상서>에 실려 있는 것과 그 내용을 돌아볼 때, 전혀 수긍이 가지않는 부분이다. 아마도 사마천

    은 <고문상서>나 <금문상서>의 함유일덕편을 두고 그와 같은 논평을 한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문

    상서>와 <금문상서>의 글이 일부가 망실(망실)되었으므로 정확한 사정을 알 수는 없다. 

 

 

m.blog.daum.net/thddudgh7/16534437?category=1425252

 

<서경>(71)상서(商書)(19)태갑하편(太甲下篇)(2) 끝이 좋기를 바란다면 처음부터 신중하십시오.

             <서경(書經)>(71) 상서(商書)(19)         상(商)나라 시대의 사적을 기록해둔 것이라고 하여 상서(商書)라 일컫게 되었는데, 상(商)은 성탕(成湯)   의 조상이 봉함을 받은 땅..

blog.daum.net

 

 

[2] 끝이 좋기를 바란다면 처음부터 신중하십시오.

  

   若升高(약승고) 必自下(필자하)

   "높은 곳을 오를 때에는, 반드시 아래서부터 시작을 하고,

   若陟遐(약척하) 必自邇(필자이)

   먼 곳으로 갈 때에는, 반드시 가까운 곳에서부터 출발하듯 하십시오.

   無輕民事惟難(무경민사유난)

   백성들의 일을 가볍게 여기지 마시고 어렵게 여길 것이며,

   無安厥位惟危(무안궐위유위)

   임금의 자리를 편안하다 여기지 마시고 위태롭다 생각하시고,

   愼終于始(신종우시)

   끝이 좋기를 바란다면 처음부터 신중해야 합니다.

   有言逆于汝心(유언역우여심)

   어떤 말이 당신의 마음에 못마땅하면,

   必求諸道(필구제도)

   반드시 그것이 도에 맞는지 어떤지를 생각해 보시고,

   有言遜于汝志(유언손우여지)

   어떤 말이 당신의 뜻에 맞으면,

   必求諸非道(필구제비도)

   반드시 그것이 도에 어긋나지 않을까를 생각해 보소서.

   嗚呼(오호) 弗慮胡獲(불려호획)

   아아!, 잘 생각하지 않고 행한다면 무엇을 얻을 수가 있겠습니까?

   弗爲胡成(불위호성)

   무엇이든 시작하지 않으면 반성할 수가 없습니다.

   一人元良(일인원량) 萬邦以貞(만방이정)

   한 사람이 크게 어질면, 만방이 이로써 바르게 될 것입니다.

   君罔以辯言亂舊政(군망이변언란구정)

   임금은 교묘한 말에 미혹되어 조상의 정치를 어지럽게 하지 않으며,

   臣罔以寵利居成功(신망이총리거성공)

   신하는 임금의 총애와 이익에 끌려서 자신이 이룬 공적에 안주하지 않는다면,

   邦其永孚于休(방기영부우휴)

   당신의 나라는 그 영광을 길이 보전하실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윤이 태갑에게 왕으로서 해야 할 일들과 알아야 할 일들을 당부하고 있다. 그 내용을 요

    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모든 일을 그 기초부터 다녀 나가야할 것과, 임금된 자는 백성들의 생업을 존중

    하여 함부로 백성들의 힘을 동원하지 말 것과, 임금의 위치를 어렵게 여길것과,  진실한 말인지 아첨하

    는 말인지를 잘 구별할 것과, 모든일에 노력을 기울일 것이며, 임금은 입으로만 옛 성왕들의 덕치를 말

    하여 어지럽히지 말아야 할 것이며, 신하는 공을 세우고는 물러가야 한다는 것 등이다. 이와 같은 이윤

    의 훈계로 태갑은 어진 임금이 되도록 노력하였다고 하며, 이윤은 태갑의 아들대(代)에 죽었다고 한다.

 

   *이윤(伊尹)은, 이름은 '이(伊)'이고 '윤(尹)'은 관직의 이름이다. 일설에는 지(摯)라는 이름도 있다. 가

    노(家奴) 출신으로 원래는 유신씨(有薪氏)의 딸이 시집갈때 딸려간 몸종이었다고 전해진다. 이후 은나

    라의 탕왕(湯王)에게 불려가서 재상이되어 하(夏)의 걸왕(桀王)을 토벌함으로써 은이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했다. 나중에 탕왕을 뒤이은 외병(外丙)·중임(中壬) 두왕에게서도 벼슬을 했으며, 그뒤 태갑(太

    甲)의 재상이 되었다. 그러나 태갑이 포학하여 탕왕의 법을 어기면서 동궁(桐宮)으로 추방하고 이윤이

    직접 정치를 했다. 3년 뒤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태갑에게 되돌려주고 그를 보좌했으며, 뒤이

    어 태갑의 아들 옥정(沃丁) 밑에서도 벼슬을 했다. 일설에는 중임이 죽은 뒤  태갑이 뒤를 이었는데, 이

    윤이 왕위를 찬탈하고 태갑을 내쫓았다가, 7년 뒤 태갑이 비밀리에 돌아와 그를 죽였다고도 한다. 후세

    에 주공(周公), 제(齊)의 관중(管仲) 등과 함께 명신(名臣)으로 불렸으나, 전국시대에는 여러가지 전설

    이 덧붙여져 변질되어 확실한 얘기는 알 수 없다. 다만 그에 관한 기록이 갑골문자(甲骨文字)에서도 보

    이므로, 은나라와의 관계가 매우 오래되었음을 알수 있다. 또 그는 비와 곡식의 풍흉(豊凶)을 꿰뚫어보

    는 힘이 있었으며, 왕에게 재앙을 내리거나 병을 일으킬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탕왕과 함

    께 제사를 행하고 있는 점을 생각한다면, 이미 은나라 때부터 은의 왕실과 관계가 깊은 신격(神格)이었

    을 것이다.

 

 

m.blog.daum.net/thddudgh7/16534436?category=1425252

 

<서경>(70)상서(商書)(18)태갑하편(太甲下篇)(1) 귀신은 어느 한사람의 대접을 받지 않는다.

             <서경(書經)>(70) 상서(商書)(18)         상(商)나라 시대의 사적을 기록해둔 것이라고 하여 상서(商書)라 일컫게 되었는데, 상(商)은 성탕(成湯)   의 조상이 봉함을 받은 땅..

blog.daum.net

 

 

제7편 태갑하(太甲下)(1)

   이편 역시 이윤이 탕왕의 손자인 태갑에게 훈계한 글이다. 태갑이 왕위에 올랐으나, 탕왕의 덕을 지키려

   하지 않고 행실이 극히 밝지못한 점이 많았다. 이때의 재상은 이윤이었는데, 누차 태갑을 훈계하였으나,

   태갑이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 이윤은 태갑이 탕왕의 덕을 그르친다고 하여 태갑을 동(桐)이란 곳, 즉

   지금의 하남성(河南省) 언사현(偃師縣) 서남쪽으로 내쫓고 스스로 섭정(攝政)을 하게되었다. 태갑이 자

   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이윤의 훈계를 받아 들여 근신 하기를 3년, 이윤은 태갑을 박으로 다시 맞아 들이

   고 정권을 넘겨주었다. 이윤은 다시 예전처럼 태갑을 보필하였으며, 태갑을 훈계하여 지은 것이 바로 이

   태갑인 상·중·하편이다. 태갑은 이후 조부(祖父)의 유덕(遺德)을 받드는데 힘써서 나라를 잘 다스렸다고

   한다. 그래서 후세의 사람들은 그를 "태종(太宗)"이라고 일컫게 되었다. 이 태갑 3편 역시 <위고문상서>

   에만 수록이 되어 있다.   

 

 

[1] 귀신은 어느 한사람의 대접을 받지 않는다.  

 

   伊尹申誥于王曰

(이윤신고우왕왈)    이윤은 거듭하여 태갑에게 타일렀다.

   嗚呼 惟天無親

(오호)(유천무친)    "아아! 하늘은 친할 수 없으나,

   克敬惟親

(극경유친)    능히 공경하는 자는 친할 수가 있으며,

   民罔常懷

(민망상회)    백성들은 어느 특정한 분을 우러러보지 않으나,

   懷于有仁

(회우유인)    인의를 갖춘 분이면 우러러 보며,

   鬼神無常享

(귀신무상향)   귀신은 어느 한 사람의 대접을 받지 않으나,

   享于克誠

(향우극성)   능히 정성으로 모시는 자에게서만 대접을 받고 복을 내리니,

   天位艱哉

(천위간재)   천자의 자리는 어려운 자리입니다. 

   德惟治

(덕유치)   덕이 있으면 천하는 다스려 지고,

   否德亂

(부덕란)   덕이 그렇지 않으면 어지러워 집니다.

   與治同道

(여치동도)   몸을 닦은 자를 관직에 임명하고 같이 도를 행하면,

   罔不興

(망불흥)   나라가 흥하지 않을 수 없으나, 

   與亂同事 罔不亡

(여란동사)(망불망)   어지러운 자와 같이 일을 하면, 망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終始愼厥與 惟明明后

(종시신궐여)(유명명후)   시종 함께할 자를 신중히 택하시면, 밝디 밝은 임금이 될 것입니다.

   先王惟時 懋敬厥德

(선왕유시)(무경궐덕)   선왕은 항시, 그 분과 함께 덕에 힘쓰시어,

   克配上帝

(극배상제)   능히 상제인 하느님과 어울릴 수 있습니다.

   今王嗣有令緖

(금왕사유령서)    이제 왕께서 훌륭한 유업을 이어 받으셨으니,

   尙監玆哉

(상감자재)    더욱 이를 살피옵소서"     

 

   *이 태갑의 하편은 태갑이 이전의 잘못을 뉘우치기는 하였으나, 아직도 왕으로서 갖추어야할 덕이나

러 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어서, 이윤이 태갑에게 보다 어진 임금이 되라고 훈계한 말이다.

이윤은 이글    에서 탕왕이 덕으로 백성들을 자스리자, 백성들이 그를 우러러보고 따랐다는 사실을들고,

백성들을 다    스림에 있어서 덕을 잃지 않으면 훌륭한 임금이 될 것이며,

따라서 탕왕이 힘써 덕을 쌓아 하늘과 어울릴 수 있었듯이 태갑도 항상 자기를 돌아보고 반성하라는 말을 하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