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MnPLhzZmovk 

 

 

https://www.youtube.com/watch?v=SDOyFrYP8zk&t=201s 

 

 

향수

- 정지용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뷔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벼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 빛이 그리워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려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전설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하늘에는 석근 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흐릿한 불빛에 돌아앉아 도란도란거리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1927년>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A7%80%EC%9A%A9

 

정지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지용(鄭芝溶, 1902년 6월 20일 (음력 5월 15일)[1] ~ 1950년 9월 25일)은 대한민국의 대표적 서정시인이다. 아명은 지룡(池龍)이다.[2] 대한민국에서는 납북 여부와 사인이 모호하여 한때 이름이 '정X용

ko.wikipedia.org

 

작품

  • 〈향수〉(鄕愁)
  • 유리창
  • 〈바다9〉
  • 〈비〉
  • 〈장수산〉(長壽山)
  • 소설 〈삼인〉(三人)
  • <춘설>
  • <고향>

 

시집

 

https://kydong77.tistory.com/20806

 

정지용 - 고향, 향수, 별, 유리창, 백록담, 鴨川(압천)/ 생가와 기념관

향수 ㅡ 정지용(1902-1950)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백이[1] 황소[2]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질화로에

kydong77.tistory.com

 

'얼룩백이 황소'

https://ko.wikipedia.org/wiki/%EC%B9%A1%EC%86%8C

 

칡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칡소란 한우 품종의 하나이다. 칡덩굴 같이 짙은 갈색과 검은색 무늬를 가진것이 특징이다. 옛날에는 얼룩소라고도 불렀다. 3000여 마리밖에 남지 않아 여러 지자체에서 육성 노력을 하고있다.[1]

ko.wikipedia.org

칡소란 한우 품종의 하나이다. 칡덩굴 같이 짙은 갈색과 검은색 무늬를 가진것이 특징이다. 옛날에는 얼룩소라고도 불렀다. 

 

 

https://ko.wikipedia.org/wiki/%ED%99%A9%EA%B5%AD%EC%8B%A0%EB%AF%BC%EC%84%9C%EC%82%AC

 

황국신민서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국신민서사(皇國臣民誓詞, 일본어: 皇国臣民ノ誓詞 ‘황국 신민의 서사(맹세)’[*])[1][2]는 황국 신민화 정책으로 일본 제국이 1937년에 만들어내 조선인들에게 외우게 한 맹세이다. 학교를 비

ko.wikipedia.org

[아동용]

한국어 번역

  1. 우리들은 대일본 제국의 신민(臣民)입니다.
  2. 우리들은 마음을 합하여 천황 폐하에게 충의를 다하겠습니다.
  3. 우리들은 인고단련(忍苦鍛鍊)하여 훌륭하고 강한 국민이 되겠습니다.

[성인용]

한국어 번역

  1. 우리는 황국신민(皇國臣民)이다. 충성으로써 군국(君國)에 보답하련다.
  2. 우리 황국신민은 신애협력(信愛協力)하여 단결을 굳게 하련다.
  3. 우리 황국신민은 인고단련(忍苦鍛鍊)하여 힘을 길러 황도(皇道)를 선양하련다.

 

*'황국신민화시대'에 출생한 정지용에게 있어 '고향'이란 곧 조국(祖國) 모국(母國), 고국(故國)의 동의어이다.

조국(祖國)은 조상 때부터 대대로 살던 나라 또는 자기의 국적이 속하여 있는 나라를 일컫는 말이다.[1] 자기가 태어난 나라는 모국(母國)이라 일컫는다.[2] 타국에 머물고 있는 사람은 자기 나라를 "모국"이라 일컫거나 자신의 조상 조상 때부터 살던 나라를 고국(故國)이라 부르기도 한다.[2][3] 

한국에서는 흔히 '우리나라'라고 부른다.[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우리 사회주의조국을 정답게 이르는 의미로 '어머니조국'이라는 말로도 쓰인다.

 

 

12세 결혼

휘문고보졸업, 1929년 (27세) 도시샤대학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귀국 후 모교 영어교사로 활동함.

<향수> 22세 지음. 1927년 발표

 

 

https://ko.wikisource.org/wiki/%EC%A0%95%EC%A7%80%EC%9A%A9_%EC%8B%9C%EC%A7%91

 

정지용 시집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이 저작물은 저자가 사망한 지 50년이 넘었으므로, 저자가 사망한 후 50년(또는 그 이하)이 지나면 저작권이 소멸하는 국가에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1926년에서 1977년 사이에 출판되었다면 미국

ko.wikisource.org

1935년 시문학사(詩文學社)에서 간행하였고, 1946년에 건설출판사(建設出版社)에서 재판하였다. 작자의 첫 시집으로 모두 5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총 87편의 시와 2편의 산문이 수록되어 있다. 시집의 맨 뒤에 박용철(朴龍喆)의 발문이 붙어 있다.

1부

2부

3부

4부

5부

발문(跋文)-박용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2094

 

백록담(白鹿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B6판. 136면. 1941년 문장사(文章社)에서 간행하였고, 1946년 백양당(白楊堂)에서 다시 나왔다. 작자의 제2시집으로, 모두 5부로 되어 있으며 1∼4부에 25편의 시와 5부에 8편의 산문이 수록되어 있다. 1

encykorea.aks.ac.kr

B6판. 136면. 1941년 문장사(文章社)에서 간행하였고, 1946년 백양당(白楊堂)에서 다시 나왔다. 작자의 제2시집으로, 모두 5부로 되어 있으며 1∼4부에 25편의 시와 5부에 8편의 산문이 수록되어 있다.

1부는 「장수산(長壽山) 1」·「백록담」·「비로봉(毘盧峰)」 등 18편, 2부는 「선취(船醉)」·「유선애상(流線哀傷)」의 2편, 3부는 「춘설(春雪)」·「소곡(小曲)」의 2편, 4부는 「파라솔」·「슬픈 우상」·「별」의 3편, 그리고 5부는 「노인과 꽃」·「꾀꼬리와 국화」 등 산문 8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백록담(白鹿潭))]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A7%80%EC%9A%A9

 

정지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지용(鄭芝溶, 1902년 6월 20일 (음력 5월 15일)[1] ~ 1950년 9월 25일)은 대한민국의 대표적 서정시인이다. 아명은 지룡(池龍)이다.[2] 대한민국에서는 납북 여부와 사인이 모호하여 한때 이름이 '정X용

ko.wikipedia.org

이력

  • 1902년 (0세) 6월 20일(음력 5월 15일) 옥천군옥천면수북리238번지일원 정태국과 정미하의 장남으로 태어남.
  • 1909년 옥천군옥천면하계리 40번지로 이주해서 정착생활
  • 1910년 (8세) 옥천공립보통학교(현재 죽향초등학교)에 들어감.
  • 1913년 (11세) 동갑인 송재숙과 결혼
  • 1914년 (12세) 옥천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함.
  • 1918년 (16세)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함. 학교성적은 우수하고 집안이 어려워서 교비생(校費生)으로 학교를 다녔음.
  • 1922년 (20세)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함.마포 하류 현석리에서 첫 시작품인 〈풍랑몽〉을 씀.
  • 1923년 (21세) 일본 교토시의 도시샤 대학 영문과에 입학함.
  • 1924년 (22세) 시 〈석류〉· 〈민요풍 시편〉을 씀.
  • 1925년 (23세) 〈새빨간 기관차〉· 〈바다〉등을 씀.
  • 1926년 (24세) 《학조》 창간호에 〈카페 프란스〉등 9편의 시, 《신민》· 《문에시대》에 〈Dahlia〉· 〈홍춘〉 등 3편의 시를 발표하며 문단활동을 시작.
  • 1927년 (25세) 〈뻣나무 열매〉· 〈갈매기〉 등 7편의 시를 교토와 옥천을 오가며 씀. 《신민》· 《문에시대》· 《조선지광》· 《청소년》 · 《학조》 지에 〈갑판우〉· 〈향수〉등 30여편의 시를 발표함.
  • 1928년 (26세) 장남 정구관 출생(음력 2월). 《동지사문학》 3호에 일어시 〈馬1· 2〉를 발표함.
  • 1929년 (27세) 도시샤대학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귀국함. 12월에 시 〈유리창〉을 씀.
  • 1950년 (48세)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정치보위부로 끌려가 구금됨. 정인택, 김기림. 박영희 등과 서대문형무소에 수용되었다가 평양 감옥으로 이관되는 도중 또는 이관된 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사인은 밝혀지지 않음.

 

[아래는 위 사진에서 생략한 부분] * 기증자 밝히겠다고 시를 잘라 먹으서야 쓰겄냐.

내도 이가 아퍼서

고향 찾어 가오

배추꽃 노란 사월 바람을

기차는 간다고

악물며 악물며 달린다.

 

 

https://www.youtube.com/watch?v=-tL7P6FL3eU 

 

 

https://www.youtube.com/watch?v=kQlq64SUEwI 

 

 

https://www.youtube.com/watch?v=C5Kf77z0YkY 

 

 

양팔저울

 ㅡ  함민복

 

                1

                나는 나를 보태기도 하고 덜기도 하며

                당신을 읽어나갑니다

 

                나는 당신을 통해 나를 읽을 수 있기를 기다리며

                당신 쪽으로 기울었다가 내 쪽으로 기울기도 합니다

 

                상대를 향한 집중, 끝에, 평형,

                실제 던 짐은 없으나 서로 짐 덜어 가벼워지는

 

                2

                입과 항문

                구멍 뚫린

                접시 두 개

                먼 길

                누구나

                파란만장

                거기

                우리

                수평의 깊이

              [출처] 창비, '눈물을 자르는 눈꺼풀처럼'

 

https://www.youtube.com/watch?v=XkZrDgvLA1g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21/07/676138/?utm_source=dable 

 

관계의 수평은 영혼의 지혜다.

다른 사람을 이해한다는 것이 과연 가능한가. 우리는 이해하는 척하는 것 아닐까. 내가 너그러운 사람이라는 것을 알려 상대방이 나에 대한 친밀감을 느끼도록 유도하기 위해 우리는 환한 미소

www.mk.co.kr

다른 사람을 이해한다는 것이 과연 가능한가. 우리는 이해하는 척하는 것은 아닐까. 내가 너그러운 사람이라는 것을 알려 상대방이 나에 대한 친밀감을 느끼도록 유도하기 위해 우리는 환한 미소를 연출하며, 예쁜 말을 골라 마치 테이블을 장식하는 것처럼 현란한 언어를 장식하는지도 모른다.

우리는 사실 자신에 대해 모르는 것이 많다. 자기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모르고 그저 합리화된 자신을 옳다고 믿고 있는 경우가 많다.

나는 옳고 너는 틀렸다는 사고는 관계의 교통사고 중에서도 대형사고에 해당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PGWr0ew6yfw 

 

 

부부

ㅡ 함민복

 

긴 상이 있다

한 아름에 잡히지 않아 같이 들어야 한다.

좁은 문이 나타나면

한 사람은 등을 앞으로 하고 걸어야 한다

뒤로 걷는 사람은 앞으로 걷는 사람을 읽으며

걸음을 옮겨야 한다

잠시 허리를 펴거나 굽힐 때

서로 높이를 조절해야 한다

다 온 것 같다고

먼저 탕 하고 상을 내려놓아서도 안 된다

걸음의 속도도 맞추어야 한다

한 발

또 한 발

출처: https://poetryreader.tistory.com/entry/부부-함민복 [시 읽어주는 남자]

 

 

https://www.youtube.com/watch?v=syVkqZJUKFg 

 

 

https://www.youtube.com/watch?v=_cBMwdGCGsU 

 

눈물은 왜 짠가

ㅡ 함민복

 

지난 여름이었습니다.

가세가 기울어 갈 곳이 없어진 어머니를 고향 이모님 댁에 모셔다 드릴 때의 일입니다.

어머니는 차 시간도 있고 하니까 요기를 하고 가자시며 고깃국을 먹으러 가자고 하셨습니다.

 

어머니는 한평생 중이염을 앓아 고기만 드시면 귀에서 고름이 나오곤 했습니다.

그런 어머니가 나를 위해 고깃국을 먹으러 가자고 하시는 마음을 읽자

어머니 이마의 주름살이 더 깊게 보였습니다.

 

설렁탕 집에 들어가 물수건으로 이마에 흐르는 땀을 닦았습니다.  

"더운 때일수록 고기를 먹어야 더위를 안 먹는다,

고기를 먹어야 하는데...... 고깃국물이라도 되게 먹어둬라." 

 

설렁탕에 다대기를 풀어 한 댓 숟가락 국물을 떠먹었을 때였습니다.

어머니가 주인아저씨를 불렀습니다.

주인아저씨는 뭐 잘못된 게 있나 싶었던지 고개를 앞으로 빼고 의아해하며 다가왔습니다. 

어머니는 설렁탕에 소금을 너무 많이 풀어 짜서 그런다며 국물을 더 달라고 했습니다. 

주인 아저씨는 흔쾌히 국물을 더 갖다주었습니다. 

어머니는 주인아저씨가 안 보고 있다 싶어지자 내 투가리에 국물을 부어주셨습니다.

나는 당황하여 주인아저씨를 흘금거리며 국물을 더 받았습니다.

주인아저씨는 넌지시 우리 모자의 행동을 보고 애써 시선을 외면해 주는 게 역력했습니다.

 

나는 국물을 그만 따르시라고 내 투가리로 어머니 투가리를 툭, 부딪쳤습니다.

순간 투가리가 부딪히며 내는 소리가 왜 그렇게 서럽게 들리던지

나는 울컥 치받치는 감정을 억제하려고 설렁탕에 만 밥과 깍두기를 마구 씹어 댔습니다. 

 

그러자 주인아저씨는 우리 모자가 미안한 마음 안 느끼게 조심, 다가와

성냥갑만 한 깍두기 한 접시를 놓고 돌아서는 거였습니다.

일순, 나는 참고 있던 눈물을 찔끔 흘리고 말았습니다.

 

나는 얼른 이마에 흐른 땀을 훔쳐내려 눈물을 땀인 양 만들어 놓고 나서,

아주 천천히 물수건으로 눈동자에서 난 땀을 씻어 냈습니다.

그러면서 속으로 중얼거렸습니다.

 

눈물은 왜 짠가.

 

 

 

https://www.youtube.com/watch?v=bIAUt2FVZUM 

 

 

https://www.youtube.com/watch?v=LB8N9Tjpcis 

 

https://www.youtube.com/watch?v=CTlL0gxru8A 

 

 

 

https://www.youtube.com/watch?v=AisvqLxPpos 

 

 

 

https://imnews.imbc.com/news/2021/politics/article/6286455_34866.html

 

윤석열, 4개월 만에 20%대로 지지율 하락…이재명과 접전 [리얼미터]

야권 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지지율이 넉 달 만에 20%대로 내려앉아, 이재명 경기지사와의 격차가 오차범위 안으로 좁혀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imnews.imbc.com

 

  -50년대, 피난민 아이들로 떠들썩한 교실에는 노량해전을 앞두고 기도하는 이순신의 마지막 모습이 걸려 있었다. 

양달석 화백*이 그린 “최후의 기도”였다

 

 

최후의 기도

ㅡ 김창범 

 

1.

두 눈으로 공손히 하늘을 바라보며, 두 손을 겸손히 모아

하늘이시여, 하늘이시여, 이 목숨 거두시고 왜적을 섬멸시켜주소서.

이 가난한 백성을 구해주시고 이 가련한 아이들의 나라를 세워주소서.

 

2.

전쟁이 끝나고 빈곤과 아픔으로 힘들어하는 아이들에게  

그는 기도하는 이순신의 간절한 모습을 그려 주었다.

무너진 교실을 다시 세우자고 쓰러진 아이들을 일으켜 주었다.

 

눈물 가득한 아이들과 어릴 적 풀밭에도 달려갔다.

누렁이 황소와 함께 마음의 도화지를 펼치고 그는 천국을 그렸다.

배운 것 없이 머슴 노릇을 했어도, 숯덩이 하나만 쥐면

바위마다 쓱쓱 꿈많은 아이들의 천국을 펼쳤다.

 

어느 날, 작은 마을에 새벽 안개가 몰려들더니

나라가 무너졌단다. 만주로 간도로 저마다 살길 찾아 떠나고

누군가 누렁이마저 데려간 뒤, 그의 마음엔 하얀 도화지만 남았다.

 

3.

외로울 땐 산에 올라 한려수도 그 아름다운 바다며 섬들을 보았다.

불화살이 날아들고 조총소리 가득한 저 바다 거센 물길마다,

그의 도화지엔 한산대첩이며 명량대첩이며 하산도대첩이며 승전보가 가듯했으니,

이순신은 수백, 수천의 왜놈 병선(兵船)을 어떻게 쳐부수었을까?

 

새벽마다 누렁이 목을 안고 하루 일을 하늘에 부탁했듯이,

이순신도 뱃머리에 무릎 꿇고, 이 전쟁을 도와달라고, 이 백성을 구해달라고

노량해전 앞에 절치부심 기도했더니, 하늘에서 작전 지시를 내렸구나.*

아, 새벽 바다가 감동했구나. 하늘의 신인(神人)이 도우러 왔다.*

*행록이나 그 자신의 <난중일기>에도 여러 번 나타나듯이, 대전 작전에 백발노인, 또는 신인(神人)으로부터 자전지시를 예언적으로 받는다.> '수국단상(水國斷想,2010, 이기반저, 2010년),328쪽

 

4.

그는 간절한 기도, 최후의 기도를 도화지에 옮겼다.

불타는 하늘의 마음, 분노하는 얼굴이 나타날 때까지 그리고 또 그렸다.

 

죽어서도 성웅이 된 이순신을 보라, 무너지고 흩어진 조선이 일으켰다.

고개 넘고 바다 건너 파도처럼 울며 헤매는 백성들을 일어났다.

어쩌랴, 총탄으로, 이념으로, 증오로 갈라진 그 후손의 나라는 어쩌랴?

갑판을 치며 파도 앞에파도 앞에 부르짖는 이순신을 보라. 아직 최후의 기도는 남았다.

 

그는 알았다. 이순신의 기도에는 천국이 있다는 것을.

공의와 성실로 띠 삼아 통곡하는 기도에 저 하늘도 몰려오는 것을.

비로소 보았다. 그것은 소리치는 백성의 얼굴. 아, 황소처럼 분노하는 얼굴.

 

5.

무너진 나라에도 때가 왔다. 가련한 내 아이들아, 일어나자.

누렁이 황소가 드러눕고 아이들은 누렁이 등을 타고 노래하는

이 나라의 천국을 그려보자. 한려수도 저 아름다운 노량(露梁)의 밤바다에

목숨 던진 이순신의 마음, 이순신의 나라를 그려보자.

 

이제, 그대 마음에도 하얀 도화지를 펼쳐라.

이 나라의 도화지를 활짝 펼쳐라.

최후의 기도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2021년 7월 10일 지음)

 

 [참고]

*양달석(梁達錫, 1908-1984) : 서양화가, 호 여산(黎山), “최후의 기도”는 그의 작품이다.

 

**이기반 박사(余山 李基班, 1946- )의 ‘수국단상’(2010년, 추수루 간), 328쪽. <‘행록’이나 그 자신의 ‘난중일기’에서도 여러 번 나타나듯이, 대전 직전에 꿈속에서 백발노인, 또는 신인(神人)으로부터 작전 지시를 예언적으로 받는다.>

  

시인 소개 / 김창범 (1947- 현재) ; 1972년 계간 창작과비평 겨울호 시 발표로 등단, 시집 ‘봄의 소리’(1982), ‘소금창고에서’(2017), ‘노르웨이 연어’(2020), 등이 있다, 2021년 동국문학상 수상.

 

[참고] 아래는 작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 블로그 운영자가 추가한 것임.

화가는 [마태 27:46}의 아래 그림을 연상시키는 예수의 이미지를 전제한 것으로 추정됨. 그리하여 해당찬송가를 추가함.

 

https://www.youtube.com/watch?v=95rrLRqWsAQ 

 

 

[김창범, 최후의 기도] 완성본/ 총5련 번호 부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