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ydong77.tistory.com/20355?category=1002051

 

주역(周易) 11. 지천태(地天泰)

11_지천태(地天泰) 泰小往大來(태소왕대래) : 태는 작은 것이 가고, 큰 것이 오는 것이니 吉亨(길형) : 길하여 형통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泰小往大來吉亨(태소왕대래길형) : '태소왕

kydong77.tistory.com

 ( 泰-클 태)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태(泰)는 ‘크다’. ‘크게 통한다’. ‘태평하다’라는 뜻이다. 땅의 기운은 하늘로 올라가고 하늘의 기운은 땅으로 내려와 서로 조화를 이룬다.

서로 크게 통한다는 의미로 태(泰)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56?category=1002051

 

주역(周易) 12.천지비(天地否)

12_천지비(天地否) 否之匪人(부지비인) : 비는 사람의 도리가 거부된 것이라 不利君子貞(불리군자정) : 군자의 바름도 이롭지 못하니, 大往小來(대왕소래) : 큰 것이 가고 작은 것이 오느니라.

kydong77.tistory.com

(否-막힐 비)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땅[地]이다. 비(否)는 ‘막히다’. ‘답답하다’라는 뜻이다. 하늘은 하늘대로 위에 있고, 땅은 땅대로 아래에 있다.

천지 화합이 일어나지 않아 막혀 있는 상태다. 답답하다는 뜻으로 비(否)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57?category=1002051

 

주역(周易) 13. 천화동인(天火同人)

13_천화동인(天火同人) 同人于野亨(동인우야형) : 사람을 같이 하는 것을 들에서 하면 형통하리니, 利涉大川(리섭대천) :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로우며, 利君子貞(리군자정) : 군자의 바름이 이

kydong77.tistory.com

( 同人-한가지 동. 사람인)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동인(同人)은 ‘뜻을 같이 한다’.

‘협력’이라는 뜻이다. 어두운 하늘 아래 불이 타오르며 세상을 밝히는 상이다.

즉 어두운 밤길에 등불을 얻은 상이다.

세상을 밝히는 일은 여러 사람이 힘을 합쳐야 하므로 동인(同人)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58?category=1002051

 

주역(周易) 14. 화천대유(火天大有)

14_화천대유(火天大有) 大有(대유) : 대유는 元亨(원형) : 크게 형통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大有(대유) : 대유는 柔得尊位大中(유득존위대중) : 부드러운 것이 존귀한 위를 얻고 크게

kydong77.tistory.com

(大有-큰 대. 있을 유)

위는 불[火]이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대유(大有)는 ‘크게 만족하여 즐거워하는 상태’를 말한다. 하늘의 불인 태양이 온 천하를 비추는 상이다.

즉 해가 중천에 떠 빛나는 상이니, 천하를 소유한다는 의미의 대유(大有)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59?category=1002051

 

주역(周易) 15. 지산겸(地山謙)

15_지산겸(地山謙) 謙亨(겸형) : 겸손하면 형통하리니 君子有終(군자유종) : 군자는 유종의 미를 거두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謙亨(겸형) : ‘겸형’은 天道下濟而光明(천도하제이광명

kydong77.tistory.com

( 謙-겸손할 겸)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산[山]이다.

겸(謙)은 ‘겸손’. ‘겸양’으로 자기보다 부족한 사람을 이끌어주고 도와준다는 뜻이다.

높은 산이 땅 밑에 파묻힌 모습이다.

벼가 익어 고개를 숙이는 상이므로 겸손하다는 의미에서 겸(謙)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60?category=1002051

 

주역(周易) 16.뇌지예(雷地豫)

16_뇌지예(雷地豫) 豫(예) : 예는 利建侯行師(이건후행사) : 제후를 세우며 군사를 행함이 이롭다. 彖曰(단왈) : 단에 이르되, 豫剛應而志行(예강응이지행) : 예는 강이 응하여 뜻이 행하고 順以

kydong77.tistory.com

( 豫-미리 예)

위는 우뢰 천둥[雷]이고, 아래는 땅[地]이다. 예(豫)는 ‘예측한다’라는 뜻이다.

땅 위에서 천둥 번개가치면 비가 내리는 것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예(豫)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61?category=1002051

 

주역(周易) 17. 택뇌수(澤雷隨)

    17_택뇌수(澤雷隨) 隨元亨(수원형) : 수는 크게 형통하니 利貞无咎(이정무구) : 바름이 이로우니 허물이 없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隨剛來而下柔(수강래이하유) : 수는 <강이>

kydong77.tistory.com

 ( 隨-따를 수)

위는 연못[澤]이고, 아래는 우레 천둥[雷]이다. 수(隨)는 ‘따르다’. ‘순종한다’라는 뜻이다. 수동적이며 종속적인 의미다. 

하늘에서 진동해야 할 우레가 연못 아래 있으니, 꼼짝 못하고 연못의 뜻에 따를 수밖에 없어 수(隨)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62?category=1002051

 

주역(周易) 18. 산풍고(山風蠱)

    18_산풍고(山風蠱) 蠱元亨(고원형) : 고는 크게 형통하니, 利涉大(이섭대) :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로우니, 先甲三日(선갑삼일) : 갑으로 먼저 삼일하며 後甲三日(후갑삼일) : 갑으로 뒤에

kydong77.tistory.com

 ( 蠱-벌레 먹을 고)

위는 산[山]이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고(蠱)는 ‘벌레’. ‘벌레가 나뭇잎을 갉아먹는다’는 뜻이다.

어려운 일을 뜻한다. 산밑에 바람이 머물고 있으니, 공기가 혼탁하여 부패하기 쉽다.

더러운 벌레가 생기므로, 고(蠱)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63?category=1002051

 

주역(周易) 19. 지택임(地澤臨)

19_지택임(地澤臨) 臨元亨(임원형) : 임은 크게 형통하고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至于八月(지우팔월) : 8월에 이르러선 有凶(유흉) : 흉함이 있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되 臨

kydong77.tistory.com

( 臨-다다를 임)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못[澤]이다. 임(臨)은 ‘순서를 밟다’. ‘군림하다’라는 뜻이다.

땅속에 물이 가득하니 곧 새로운 시작에 임한다는 뜻에서 임(臨)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여러 사람 위에 있는 지도자 상이다.

 

kydong77.tistory.com/20364?category=1002051

 

주역(周易) 20. 풍지관(風地觀)

20_풍지관(風地觀) 觀盥而不薦(관관이부천) : <관>은 세수를 하고 제사를 올리지 아니하면, 有孚顒若(유부옹약) : 믿음을 두어서 우러러 보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大觀在上(대관재상)

kydong77.tistory.com

 ( 觀-볼 관)

위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땅[地]이다. 관(觀)은 ‘살핀다’라는 뜻이다. 땅위에 바람이 불어 새로운 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변화를 잘 관찰해야 한다는 뜻에서 관(觀)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blog.daum.net/yc012175/15945009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생활갤러리 주역64괘 풀이ㅣ 박사88 2012/03/27 13:51:27 http://mini.thinkpool.com/baksa88/1323732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乾 하늘 건) 두개의 소성괘들이 겹쳐서 모두 하늘을 상..

blog.daum.net

 

 

 

blog.daum.net/yc012175/15945009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생활갤러리 주역64괘 풀이ㅣ 박사88 2012/03/27 13:51:27 http://mini.thinkpool.com/baksa88/1323732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乾 하늘 건) 두개의 소성괘들이 겹쳐서 모두 하늘을 상..

blog.daum.net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괘는 복사가 불가능하여 총정리를 겸하여 이 블로그 정리분을 소개하고, 德田님의 설명을 추가했다.

 

kydong77.tistory.com/20345?category=1002051

 

주역(周易) 01.건위천(乾爲天)

01_건위천(乾爲天) 元享利貞(건 원형리정) : 크고 형통하고 이롭고 바르다. 初九(초구) : 潛龍勿用(초구잠룡물용) : 잠긴 용이니 쓰지 말아라. 九二(구이) : 見龍在田利見大人(현룡재전리견대인)

kydong77.tistory.com

 (乾 하늘 건)

두개의 소성괘들이 겹쳐서 모두 하늘을 상징하는 건괘이다. 따라서 여섯  효(爻)가 모두  양(陽)으로,

64괘 중 가장 강하고 튼튼한 괘다.

 

kydong77.tistory.com/20346?category=1002051

 

주역(周易) 02. 곤위지(坤爲地)

02_곤위지(坤爲地) 坤元亨(곤원형) : 곤은 원하고 형하고 利牝馬之貞(리빈마지정) : 이하고 암말의 정함이니, 君子有攸往(군자유유왕) : 군자가 갈바를 두느니라. 先迷(선미) : 먼저 하면 아득하

kydong77.tistory.com

(坤 땅 곤.)


모두 땅을 상징하는 곤괘가 겹쳐서 구성되어 있다. 여섯  효(爻)가 모두 음(陰)으로 만 물을 포용하고 양육하는 땅과 어머니를 상징한다.

속성은 ‘순응하다’. ‘지극하다’라는 뜻이다.

만물의 근본인 하늘과 아버지를 상징한다. 속성은 ‘위대하다’. ‘크게 통한다’. ‘굳쎄다’라는 뜻이다.

 

kydong77.tistory.com/20347

 

주역(周易) 03. 수뇌둔(水雷屯)

03_수뇌둔(水雷屯) 屯(둔) : 둔은 元亨(원형) : 크게 형통하고 利貞(리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勿用有攸往(물용유유왕) : 써 가는 바를 두지 말고 利建侯(리건후) : 제후를 세움이 이로우니

kydong77.tistory.com

 ( 屯 - 진칠 둔.)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우레[雷]다. 둔(屯)은 ‘진치다’. ‘막히다’. ‘고민하다’라는 뜻이다.

비가 내리고 천둥이 진동하는 상이니, 새싹이 눈 속에서 봄을 기다리는 것과 같다.

 

kydong77.tistory.com/20348

 

주역(周易) 04. 산수몽(山水蒙)

04_산수몽(山水蒙) 蒙亨(몽형) : 몽은 형통하니 匪我求童蒙(비아구동몽) : 동몽을 구함이 아니라 童蒙求我(동몽구아) : 동몽이 나를 구함이니, 初筮告(초서고) : 처음 점치거든 알려주고 再三瀆(

kydong77.tistory.com

04 ( 蒙-어릴 몽)


위의 괘는 산[山]이고, 아래 괘는 물[水]이다. 몽(蒙)은 ‘어리다’. ‘어리석다’라는 뜻이다.

시작의 상(象)이며 교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래서 교육과 연관된 몽(蒙)자를 괘의 이름으로 하였고, 계몽(啓蒙)이라는 말이 또한 여기서 나왔다.

 

kydong77.tistory.com/20349

 

주역(周易)05. 수천수(水天需)

05_수천수(水天需) 需有孚(수유부) : 수는 믿음이 있어서, 光亨貞吉(광형정길) : 빛나며 형통하고 바르게 하며 길하니, 利涉大川(리섭대천) : 큰 내를 건넘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

kydong77.tistory.com

05( 需-기다릴 수.)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수(需)는 ‘기다리다’. ‘기대하다’라는 뜻이다.

운무가 자욱한 상으로 물러서서 기다려야 할 때를 의미한다.

 

kydong77.tistory.com/20350

 

주역(周易) 06.천수송(天水訟)

06_천수송(天水訟) 訟有孚窒惕中吉終凶(송유부질척중길종흉) : 송은 믿음을 두나 막혀서 두려우니, 중은 길하고 마침은 흉하니 利見大人(리견대인) : 대인을 봄이 이롭고 不利涉大川(불리섭대

kydong77.tistory.com

 06( 訟-소송할 송)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물[水]이다. 송(訟)은 ‘다툼’. ‘소송’. ‘재판’ 등을 뜻한다.

하늘 아래에 물이 넘치는 상이니 욕심이 지나쳐 마찰과 갈등이 생기고 대립 항쟁하는 형상으로, 괘 이름을 송(訟)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51

 

주역(周易) 07. 지수사(地水師)

07_지수사(地水師) 師貞(사정) : 사는 바르게 함이니, 丈人吉無咎(장인길무구) : 장인이라야 길하고 허물이 없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師眾也(사중야) : 사는 무리를 말함이요 貞正也(

kydong77.tistory.com

07( 師-장수 사.)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물[水]이다. 사(師)는 ‘선생’. ‘군대’. ‘거느리다’라는 뜻이다.

땅 밑으로 물이 모이는 상이니 여러 사람이 모인 집단을 상징하므로, 통솔한다는 의미에서 사(師)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52

 

주역(周易) 08.수지비(水地比)

08_수지비(水地比) 比吉(비길) : 비는 길하니 原筮(원서) : 처음 점을 하되 元永貞無咎(원영정무구) : 크고 장구하고 정도들 얻게 될 때허물이 없으리라. 不寧方來(불녕방래) : 편하지 못하여야

kydong77.tistory.com

( 比-도울 비.)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땅[地]이다. 비(比)는 ‘견주다’. ‘비교하다’. ‘인화(人和)’를 뜻한다.

물은 낮은 곳으로 모여 내를 이루고 힘을 합친다. 뜻을 같이하는 사람끼리 집단을 이루어 서로 돕고 협력하므로, 비(比)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53

 

주역(周易) 09. 풍천소축(風天小畜)

09_풍천소축(風天小畜) 小畜亨(소축형) : 소축은 형통하니 密雲不雨(밀운불우) : 빽빽한 구름에 비가 오지 않은 것은 自我西郊(자아서교) : 우리 서쪽 교외에 머물러있다. 彖曰(단왈) : 단에 가

kydong77.tistory.com

( 小畜-적을 소. 싸을 축)


위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축(畜)은 ‘기르다’. ‘저축하다’라는 뜻이다. 하늘 위에서 바람이 부는 모습이니, 비가 내리기 전의 상황을 상징한다.

비가 오면 생명체는 그 비를 저장한다. 까닭에 저축한다는 의미로 축(畜)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54?category=1002051

 

주역(周易) 10. 천택리(天澤履)

10_천택리(天澤履) 履虎尾(리호미) : 호랑이를 꼬리를 밟더라도 不咥人亨(불질인형) : 사람을 물지 않으니 형통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履柔履剛也(리유리강야) : 리는 유가 강에 밟힘

kydong77.tistory.com

( 履-밟을 이.)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못[澤]이다. 이(履)는 ‘밟는다’. ‘따른다’. ‘예절’이라는 뜻이다. 하늘 아래 저수지가 있으니, 지나침과 부족함이 없이 풍요로워 예절을 나타낸다.

의식(衣食)이 풍족해야 예절을 안다는 말에서 이(履)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추가]풀이-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blog.daum.net/yc012175/15945009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생활갤러리 주역64괘 풀이ㅣ 박사88 2012/03/27 13:51:27 http://mini.thinkpool.com/baksa88/1323732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乾 하늘 건) 두개의 소성괘들이 겹쳐서 모두 하늘을 상..

blog.daum.net

 

 

namu.wiki/w/%EC%A3%BC%EB%82%98%EB%9D%BC

 

주나라 - 나무위키

연대는 모두 기원전. 단 21세기의 중국을 제외한 대다수 근현대의 학자들은 기원전 841년 이전의 연대 기록을 믿을 수 없다고 보고 있으며, 기원전 841년 이전의 왕들의 재위기간을 명시하는 경우

namu.wiki

1. 개요2. 周

2.1. 선진시대의 주나라

2.1.1. 개요2.1.2서주: 등장과 통치의 기틀2.1.3동주

2.1.3.1춘추시대2.1.3.2전국시대

2.1.4. 주나라의 유산2.1.5. 역대 군주2.1.6. 계보

2.2소주(小周)

2.2.1. 역대 군주

2.3북주(北周)2.4. 무주(武周)

2.4.1. 역대 황제2.4.2. 추존 황제

2.5. 후주(後周)2.6. 장주(張周)2.7. 오주(吳周)

2.7.1. 역대 황제2.7.2. 같이보기

3. 邾

3.1. 개요3.2. 역사3.3. 역대 군주

4. 州

 

 

 

www.youtube.com/watch?v=n6WaTObHRJM

 

 

 

태극기에 담긴 뜻

우리나라 국기(國旗)인 태극기(太極旗)는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문양과 네모서리의 건곤감리(乾坤坎離) 4괘(四卦)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태극기의 상징

  • 건괘(乾卦)-하늘
  • 곤괘(坤卦)-땅
  • 감괘(坎卦)-물
  • 이괘(離卦)-불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그리고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냅니다.

태극 문양은 음(파랑)과 양(빨강)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 만물이 음양의 조화로 인해 생명을 얻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표현해낸 것입니다.

 

주역역경(易經)이라고도 한다

자료 활용을 가능케 하신 작성자 이즈래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우리는 애국가를 부르면서도 태극기의 음양과 건곤감리의 상징을 이해하지 못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부끄럽기 짝이 없는 노릇입니다.

한문 공부를 위해 주역의 괘사와 효사를 한글 번역문과 함께 옮깁니다.

이즈래님, 감사합니다.

64괘의 그림과 추가 설명분은 인터넷을 참고하였습니다.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01. 중국의 유교경전.
02. 역경(易經)이라고도 한다.
03. 경(經)·전(傳)의 두 부분을 포함하며 대략 2만 4,000자이다.
04. 주(周)의 문왕이 지었다고 전해진다.
05. 괘(卦)·효(爻)의 2가지 부호를 중첩하여 이루어진 64괘·384효, 괘사(卦辭), 효사(爻辭)로 되어 있다.
06. 괘상(卦象)에 따라 길흉화복을 점쳤다.
07. 주나라 사람이 간단하게 8괘로 점을 치는 책이었으므로 〈주역〉이라고 했다.
08. 정이의 주석서 〈역전;易傳〉은 경전의 해석을 통해 철학적인 관점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관, 윤리학설 및 풍부하고 소박한 변증법을 담고 있다
09.〈역전〉 계사편(繫辭篇) 등에서는 음·양 세력의 교감작용을 철학범주로 격상시켜 세계 만사만물(萬事萬         物)을 통일된 체계로 조성했다.
10. 진대(秦代)·한대(漢代) 이후의 사상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서양 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11. 주석본은 매우 많으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은 〈주역정의 周易正義〉·,〈주역집해 周易集解〉,
   〈주역고경금주 周易古經今注〉·,〈주역대전금주 周易大傳今注〉가 있다.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00음양오행의-원리-주역역경周易易經?category=343349 [빈막(賓幕)]

 

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eejrea&logNo=90111062916&parentCategoryNo=17&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역경(易經)(주역周易) 원문과 번역

1. 중국의 유교경전. 2. 역경(易經)이라고도 한다. 3. 경(經)·전(傳)의 두 부분을 포함하며 대략 2만 4,000...

blog.naver.com

 

<주역목차>

01.건위천(乾爲天)

02.곤위지(坤爲地)

03.수뢰준(水雷屯)

04.산수몽(山水蒙)

05.수천수(水天需)

06.천수송(天水訟)

07.지수사地水師)

08.수지비(水地比)

09.풍천소축(風天小畜)

10.천택이(天澤履)

11.지천태(地天泰)

12.천지비(天地否)

13.천화동인(天火同人)

14.화천대유(火天大有)

15.지산겸(地山謙)

16.뇌지예(雷地豫)

17.택뢰수(澤雷隨)

18.산풍고(山風蠱)

19.지택임(地澤臨)

20.풍지관(風地觀)

21.화뢰서합(火雷噬嗑)

22.산화비(山火賁)

23.산지박(山地剝)

24.지뢰복(地雷復)

25.천뢰무망(天雷无妄)

26.산천대축(山川大畜)

27.산뢰이(山雷頤)

28.택풍대과(澤風大過)

29.감위수(坎爲水)

30.이위화(離爲火)

31.택산함(澤山咸)

32.뇌풍항(雷風恒)

33.천산둔(天山遯)

34.뇌천대장(雷天大壯)

35.화지진(火地晉)

36.지화명이(地火明夷)

37.풍화가인(風火家人)

38.화택규(火澤睽)

39.수산건(水山蹇)

40.뇌수해(雷水解)

41.산택손(山澤損)

42.풍뢰익(風雷益)

43.택천쾌(澤天夬)

44.천풍구(天風姤)

45.택지췌(澤地萃)

46.지풍승(地風升)

47.택수곤(澤水困)

48.수풍정(水風井)

49.택화혁(澤火革)

50.화풍정(火風鼎)

51.진위뇌(震爲雷)

52.간위산(艮爲山)

53.풍산점(風山漸)

54.뇌택귀매(雷澤歸妹)

55.뇌화풍(雷火豊)

56.화산여(火山旅)

57.손위풍(巽爲風)

58.태위택(兌爲澤)

59.풍수환(風水渙)

60.수택절(水澤節)

61.풍택중부(風澤中孚)

62.뇌산소과(雷山小過)

63.수화기제(水火旣濟)

64.화수미제(火水未濟)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0343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www.youtube.com/watch?v=juEYW5zOdc0

 

 

www.youtube.com/watch?v=UkKRROGh4Fk

 

 

www.youtube.com/watch?v=WOJOwiXeESg

 

 

  64_화수미제(火水未濟)



未濟(미제) : 미제는 

亨(형) : 형통하니

小狐汔濟濡其尾(소호흘제유기미) : 작은 여우가 거의 건너서 그 꼬리를 적심이니

无攸利(무유리) : 이로울 바가 없느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未濟亨柔得中也(미제형유득중야) : '미제형'은 <유>효가 중정을 얻음이요,

小狐汔濟未出中也(소호흘제미출중야) : '소호흘제'는 가운데에서 나오지 못함이요,

 

濡其尾无攸利(유기미무유리) : '유기미무유리'는

不續終也(부속종야) : 이어서 마치지 못함이라.

雖不當位(수불당위) : 비록자리가 마땅치 않으나

剛柔應也(강유응야) : <강>효과 <유>효가 응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火在水上未濟(화재수상미제) : 불이 물 위에 있음이 미제괘의 상이니,

君子以愼辨物居方(군자이신변물거방) : 군자가 삼가하여 물건을 분별하여 방소에 거하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濡其尾吝(유기미인) : 그 꼬리를 적심이니 인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濡其尾(유기미) : '유기미'는

亦不知極也(역불지극야) : 또한 알지 못함이 지극함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曳其輪(예기륜) : 그 수레를 당기면

貞吉(정길) : 바르게 해서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九二貞吉(구이정길) : '구이정길'은

中以行正也(중이행정야) : 중으정로써 바름을 행함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未濟征凶(미제정흉) : 미제에 가면 흉하나,

利涉大川(이섭대천) : 대천을 건넘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未濟征凶(미제정흉) : '미제정흉'은

位不當也(위불당야) : 자라가 마땅치 않음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貞吉(정길) : 바르게 하면 길해서

悔亡(회망) : 뉘우침이 없으리니

震用伐鬼方(진용벌귀방) : 움직여 귀방을 쳐서

三年有賞于大國(삼년유상우대국) : 삼년에야 대국에서 상이 있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貞吉悔亡(정길회망) : '정길회망'은

志行也(지행야) : 뜻이 행해짐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貞吉无悔(정길무회) : 바른지라. 길하여 뉘우침이 없으리니,

君子之光(군자지광) : 군자의 빛남이

有孚吉(유부길) : 미더움이 있는지라.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君子之光(군자지광) : '군자지광'은

其暉吉也(기휘길야) : 그 빛이 길함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有孚于飮酒(유부우음주) : 술을 마시는데 미더움을 두면

无咎(무구) : 허물이 없거니와

濡其首(유기수) : 그 머리를 적시면

有孚失是(유부실시) : 미더움을 두는데 바름을 잃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飮酒濡首(음주유수) : '음주유수'가

亦不知節也(역불지절야) : 또한 절제를 알지 못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64화수미제火水未濟?category=343349 [빈막(賓幕)]

 

64_화수미제(火水未濟)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64_화수미제(火水未濟) 未濟(미제) : 미제는 亨(형) : 형통하니 小狐汔濟濡其尾(소호흘제유기미) : 작은 여우가 거의 건너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