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wikipedia.org/wiki/%ED%95%98%EB%8F%84%EB%82%99%EC%84%9C

 

하도낙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ko.wikipedia.org

 

 

夏 이전 복희 -하도> 은[상] 文王 - > 周 周公 > 公子'十翼(십익)'

복희씨 河圖를 보고 8괘를 그림 (BC3천년경)

 禹王은[상] 文王 홍수가 나서 洛水에서 神龜가 지고 나온 그림, 곧 洛書를 전함. 후에 夏나라 시조.

殷末周初 文王(BC. 1,10년 경) 문왕8괘를 긋고, 64괘의 괘사를 지음.

(문왕의 아들 武王이 周나라 건국)

文王의 둘째 아들 周公 384효에 대한 효사를 지은 것이 周易[易經]

公子(BC500년경)는 주역 해설서인 '十翼(십익)'을 지음

周子(1,170년경) 소강절(1150년경) 등이 易을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시킴.

 

 

 

 

 

www.youtube.com/watch?v=zYtK2MS2_hA

 

 

kydong77.tistory.com/20397?category=1002051

 

주역(周易) 51. 진위뇌(震爲雷)

51_진위뇌(震爲雷) 震(진) : 진은 亨(형) : 형통하니, 震來虩虩(진래혁혁) : 우뢰가 옴에 놀라고 놀라면 笑言啞啞(소언아아) : 웃는 소리가 깔깔거리니, 震驚百里(진경백리) : 우뢰가 백리를 놀라

kydong77.tistory.com

震 -우레 진)


위도 천둥 우레[雷]고, 겹처서 아래도 천둥 우레[雷]다. 뇌(雷)는 ‘천둥 우레’. ‘몹시 두려워하다’. ‘사나운 모양’. ‘위엄을 떨치다’를 뜻한다.

우레가 크게 진동하니 많은 사람들이 놀라 두려워한다.

 

kydong77.tistory.com/20398?category=1002051

 

주역(周易) 52. 간위산(艮爲山)

52_간위산(艮爲山) 艮其背(간기배) : 그 등에 그치면 不獲其身(부획기신) : 그 몸을 얻지 못하며, 行其庭(행기정) : 그 뜰에 행하여도 不見其人(부견기인) : 그 사람을 보지 못하여 无咎(무구) : 

kydong77.tistory.com

艮  -동방 간)

위도 산[山]이고, 겹처서 아래도 산[山]이다. 산이 첩첩이 있으니 산(山)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간괘는 하나의 양이 두 음 위에 머무르고 있는 상이다. 산은 움직이지 않고 그곳에 있으므로 ‘머무르다’라는 뜻이다.



kydong77.tistory.com/20399?category=1002051

 

주역(周易) 53. 풍산점(風山漸)

53_풍산점(風山漸) 漸(점) : 점은 女歸吉(여귀길) : 여자가 시집가는 것이니 길하다 利貞(이정) : 바르게 하는 것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漸之進也(점지진야) : 점의 나아감이

kydong77.tistory.com

( 漸-점점 점)

위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산[山]이다. 점(漸)은 ‘점점’. ‘점차로 나아지는 것’을 뜻한다.

산 위에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면 점차로 만물이 깨어난다. 점차로 나아간다는 뜻의 점(漸)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400?category=1002051

 

주역(周易) 54. 뇌택귀매(雷澤歸妹)

54. 뇌택귀매(雷澤歸妹) 歸妹(귀매) : 시집보내기는 征凶(정흉) : 적극적으로 보내려하면 흉하다 无攸利(무유리) : 이로울 것이 없느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歸妹(귀매) : <歸妹>는 天

kydong77.tistory.com

(歸妹-돌아갈 귀. 누이 매)

위는 천둥 우레[雷]고, 아래는 못[澤]이다. 귀매(歸妹)는 ‘정상적이지 못한 결혼’이라는 뜻이다.

위는 나이든 남자를 상징하는 진괘고, 아래는 어린 여자를 상징하는 태괘다.

젊은 여자가 음란한 소질이 있어 중년 남자와 만나니 정상적이지 못하다는 뜻에서 귀매(歸妹)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401?category=1002051

 

주역(周易) 55.뇌화풍(雷火豊)

55_뇌화풍(雷火豊) 豊(풍) : 풍은 亨(형) : 형통하니, 王假之(왕가지) : 왕이 그러한 경지에 이르렀으니 勿憂宜日中(물우의일중) : 근심치 않아도 마땅히 해가 중천에 있으리라. 彖曰(단왈) : 단

kydong77.tistory.com

(豊-풍성할 풍)

위는 천둥 우레[雷]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풍(豊)은 ‘풍성하다’라는 뜻이다.

천둥 우레가 치고 비가 내린 후 햇볕이 밝게 빛나는 모습이다.

만물이 성장하여 풍성한 결실을 맺는다는 뜻에서 풍(豊)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402?category=1002051

 

주역(周易) 56.화산여(火山旅)

56.화산여(火山旅) 旅(여) : 여는 小亨(소형) : 조금 형통하고 旅貞吉(여정길) : 나그네가 바르게 해서 길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旅小亨(여소형) : '旅小亨'은 柔得中乎外而順乎剛(

kydong77.tistory.com

 ( 旅-방황할 여)

위는 불[火]이고, 아래는 산[山]이다. 여(旅)는 ‘여행’. ‘집과 고향을 떠나 낯선 곳으로 가는 것’. ‘방황하는 나그네’를 뜻한다.

태양이 산에서 떠서 산으로 지는 것은 나그네의 여정과 같으므로 여(旅)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403

 

주역(周易) 57. 손위풍(巽爲風)

57_손위풍(巽爲風) 巽(손) : <손>은 小亨(소형) : 조금 형통하니, 利有攸往(이유유왕) : 수행함이 이로우며 利見大人(이견대인) : 대인을 봄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重巽(중손)

kydong77.tistory.com

 巽-공손할 손)

위도 바람[風]이고, 겹처서 아래도 바람[風]이다. 바람은 지상의 공간에 없는 곳이 없다.

그러나 실체를 눈으로 볼 수는 없다. 손괘는 하나의 음이 두 양 아래에 있어 순종하고 따르는 형상이다.

유순하고 겸양하며 부드러운 의미가 있다.

 

kydong77.tistory.com/20404?category=1002051

 

주역(周易) 58.태위택(兌爲澤)

58.태위택(兌爲澤) 兌(태) : 태는 亨(형) : 형통하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兌說也(태열야) : 태는 기뻐하는 것이니, 剛中而柔外(강중이유외) : <강>

kydong77.tistory.com

(兌기뻐할 태)

위도 못[澤]이고, 겹처서 아래도 못[澤]이다. 태(兌)는 ‘즐거움’. ‘온화한 분위기’를 뜻한다.

연못에 있는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르며 대지에 있는 모든 만물에게 골고루 물을 나누어준다.

베푸는 곳에서 기쁨을 느낄 수 있다.

 

kydong77.tistory.com/20405?category=1002051

 

주역(周易) 59. 풍수환(風水渙)

59_풍수환(風水渙) 渙(환) : 환은 亨(형) : 형통하니, 王假有廟(왕가유묘) : 왕이 묘당에 이르며 利涉大川(이섭대천) : 큰내를 건넘이 이로우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kydong77.tistory.com

 ( 渙-흩어질 환)

위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물[水]이다. 환(渙)은 ‘흩어지다’. ‘풀어지다’라는 뜻이다.

물위에서 바람이 분다. 물이 바람에 날려 사방으로 흩어지므로, 환(渙)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겨우내 얼었던 물이 봄바람에 녹아 풀어진다.

 

kydong77.tistory.com/20406?category=1002051

 

주역(周易) 60. 수택절(水澤節)

60_수택절(水澤節) 節(절) : <절>은 亨(형) : 형통하니, 苦節不可貞(고절부가정) : 쓴 절은 가히 바르지 못하느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節亨(절형) : '절형'은 剛柔分而剛得(강유분이강

kydong77.tistory.com

(節-마디 절)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못[澤]이다. 절(節)은 ‘절도’. ‘규칙이나 제한’. ‘절약’을 뜻한다.

연못 위에 물이 가득하니 물이 많으면 넘치게 하고 모자라면 흐르지 못하게 한다.

 절도를 뜻하는 절(節)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blog.daum.net/yc012175/15945009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생활갤러리 주역64괘 풀이ㅣ 박사88 2012/03/27 13:51:27 http://mini.thinkpool.com/baksa88/1323732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乾 하늘 건) 두개의 소성괘들이 겹쳐서 모두 하늘을 상..

blog.daum.net

 

 

 

 

kydong77.tistory.com/20387?category=1002051

 

주역(周易) 41. 산택손(山澤損)

41_산택손(山澤損) 損(손) : <손>은 有孚元吉(유부원길) : 믿음을 두면 크게 길하고 无咎可貞(무구가정) : 허물이 없어서 가히 바름이라. 利有攸往曷之用(이유유왕갈지용) : 가는 바를 둠이 이로

kydong77.tistory.com

( 損-덜어낼 손)

위는 산[山]이고, 아래는 못[澤]이다. 손(損)은 ‘덜다’. ‘줄이다’. ‘손해보다’라는 뜻이다.

산 아래에 있는 저수지의 물은 들판을 적시기 위해 흘러가야 하므로, 잃는다는 의미에서 손(損)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88?category=1002051

 

주역(周易) 42. 풍뢰익(風雷益)

42_풍뢰익(風雷益) 益(익) : <익>은 利有攸往(이유유왕) :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며, 利涉大川(이섭대천) :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益損上益下(익손상익하)

kydong77.tistory.com

(益-더할 익)

위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천둥 우레[雷]다. 익(益)은 ‘더하다’. ‘증가하다’. ‘이익이다’라는 뜻이다.

바람이 불고 천둥이 치니 비가 온다. 비는 골고루 만물을 적셔 유익함을 주기 때문에 익(益)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89?category=1002051

 

주역(周易) 43. 택천쾌(澤天夬)

43_택천쾌(澤天夬) 夬(쾌) : 쾌는 揚于王庭(양우왕정) : 왕의 뜰에서 드날림이니, 孚號有厲(부호유려) : 미덥게 부르짖어 위엄이 있게 한다 告自邑(고자읍) : 읍으로부터 고함이요, 不利卽戎(부

kydong77.tistory.com

(夬)터 놓을-쾌)

위는 못[澤]이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쾌는 ‘물리친다’. ‘결단한다’는 뜻이다.

아래 다섯 양효가 위에 있는 하나의 음효를 밀어내고 있는 상이니, 쾌(?)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결단을 내릴 때다.

 

kydong77.tistory.com/20390?category=1002051

주역(周易) 44. 천풍구(天風姤)

(만나다-구)

하늘[天]이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구는 ‘우연히 만나다’. ‘추하다’라는 뜻이다.

하늘 아래에서 바람이 부니 흩어졌던 구름이 모인다. 만난다는 뜻의 구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하나의 음이 다섯 개의 양을 떠받치고 있으니 추하다.

 

kydong77.tistory.com/20391?category=1002051

 

주역(周易) 45. 택지췌(澤地萃)

  45_택지췌(澤地萃) 萃(췌) : <췌>는 亨王假有廟(형왕가유묘) : 형하니 왕이 사당을 둠에 지극히 함이니, 利見大人亨利貞(이견대인형이정) : 대인을 봄이 이롭고 형통하니, 바르게 함이 이로우

kydong77.tistory.com

( 萃-모일 췌)

위는 못[澤]이고, 아래는 [地]이다. 췌(萃)는 ‘모인다’라는 뜻이다.

땅위에 연못이 있으면 물이 모인다. 모인다는 뜻의 췌(萃)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92?category=1002051

 

주역(周易) 46. 지풍승(地風升)

46_지풍승(地風升) 升(승) : <승>은 元亨(원형) : 크게 형통하니. 用見大人勿恤(용견대인물휼) : 대인을 보되 근심치 말고 南征吉(남정길) : 남으로 가면 길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柔

kydong77.tistory.com

 ( 升-오를 승)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승(升)은 ‘위로 상승하다’. ‘올라가다’. ‘번성하다’라는 뜻이다.

 땅 밑에 있는 바람이 위로 상승하고 있으니 상승한다는 뜻의 승(升)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93?category=1002051

 

주역(周易) 47. 택수곤(澤水困)

47_택수곤(澤水困) 困(곤) : <곤>은 亨貞(형정) : 형통하고, 바르니 大人(대인) : 대인이라. 吉无咎(길무구) : 길하고 허물이 없으니, 有言不信(유언부신) : 말이 있으면 믿지 않으리라. 彖曰(단왈)

kydong77.tistory.com

(困-곤할 곤)

위는 못[澤]이고, 아래는 물[水]이다. 곤(困)은 ‘부족하다’. ‘곤궁하다’. ‘괴롭다’. ‘통하지 않는다’라는 뜻이다.

연못 아래에 있는 물이 빠지는 모습이다.

물이 부족하면 만물은 곤궁에 처하게 되므로, 곤(困)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94?category=1002051

 

주역(周易) 48. 수풍정(水風井)

48_수풍정(水風井) 井(정) : <정>은 改邑不改井(개읍부개정) : 고을은 고치되 우물은 고치지 못하니, 无喪无得(무상무득) : 잃는 것도 없고 얻는 것도 없으며, 往來井井(왕래정정) : 가고 오는 이

kydong77.tistory.com

( 井-우물 정)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정(井)은 ‘우물’. ‘두레박’을 뜻한다. 바람이 물밑에 있다.

바람이 깊은 곳까지 통하는 모습이니, 우물을 뜻하는 정(井)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우물물을 퍼 올리려면 두레박이 필요하고 노고가 필요하다.

 

kydong77.tistory.com/20395?category=1002051

 

주역(周易) 49. 택화혁(澤火革)

49_택화혁(澤火革) 革(혁) : <개혁>은 已日乃孚(이일내부) : 끝나는 날이라야 곧 믿음이 가니, 元亨利貞(원형이정) : 크게 형통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悔亡(회망) : 뉘우침이 없느니라. 彖曰(

kydong77.tistory.com

( 革-가죽혁)

위는 못[澤]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혁(革)은 ‘바꾸다’. ‘혁신하다’. ‘혁명’의 뜻이다.

연못아래 불이 있다. 물이 끊어 증발하면 큰 변화를 하므로 혁(革)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혁은 짐승 가죽이다. 가죽의 털을 벗기면 전혀 다른 것으로 변하기 때문에 ‘혁명’이라는 의미가 있다.

 

kydong77.tistory.com/20396?category=1002051

 

주역(周易) 50. 화풍정(火風鼎)

50_화풍정(火風鼎) 鼎(정) : 정은 元吉亨(원길형) : 크게 길하여 형통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鼎象也(정상야) : <정>은 형상이니, 以木巽火亨飪也(이목손화형임야) : 나무로써 불을

kydong77.tistory.com

( 鼎-솥 정)

위는 불[火]이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정(鼎)은 ‘발이 셋인 솥’. ‘안정감’을 뜻한다.

불 밑에 바람이 불고 있는 상이니 음식을 만들기 위해 아궁이에 불을 지피는 모습이다.

 음식을 만드는 솥을 뜻하는 정(鼎)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blog.daum.net/yc012175/15945009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생활갤러리 주역64괘 풀이ㅣ 박사88 2012/03/27 13:51:27 http://mini.thinkpool.com/baksa88/1323732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乾 하늘 건) 두개의 소성괘들이 겹쳐서 모두 하늘을 상..

blog.daum.net

 

 

 

 

kydong77.tistory.com/20375?category=1002051

 

주역(周易) 31. 택산함(澤山咸)

  31_택산함(澤山咸) 咸亨(함형) : 함은 형통하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取女吉(취녀길) : 여자를 취하면 길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咸感也(함감야) : 함은 느낌이니,

kydong77.tistory.com

 ( 咸- 다 함)

위는 못[澤]이고, 아래는 산[山]이다. 함(咸)은 감(感)과 같은 뜻으로 ‘느낌이 좋다’는 의미다.

젊은 여자를 상징하는 태(兌)괘 아래 젊은 남자를 상징하는 간(艮)괘가 있다.

남녀간의 순수한 사랑을 상징하는 감상적인 의미의 함(咸)이다.

 

kydong77.tistory.com/20376?category=1002051

 

주역(周易) 32. 뇌풍항(雷風恒)

32_뇌풍항(雷風恒) 恒亨无咎(항형무구) : 항은 형통해서 허물이 없으니 利貞利有攸往(이정이유유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恒久也(항

kydong77.tistory.com

( 恒-항구할 항)


위는 천둥 우레[雷]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항(恒)은 ‘변함이 없다’. ‘한결 같이 계속 된다’라는 뜻이다.

장남이 장녀 위에 있다. 남편이 위에 있고 아내는 아래에 있는 상이다.

그 법도가 한결 같다는 뜻에서 항(恒)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79?category=1002051

 

주역(周易) 33. 천산둔(天山遯)

33_천산둔(天山遯) 遯亨(둔형) : 돈은 형통하니 小利貞(소리정) : 바르게 하면 조금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遯亨遯而亨也(둔형둔이형야) : '둔형'은 물러나서 형통하나, 剛當位

kydong77.tistory.com

 ( 遯-숨을 둔)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산[山]이다. 둔(遯)은 ‘피하다’. ‘물러나다’. ‘은둔하다’라는 뜻이다.

산이 아무리 높다 하더라도 하늘 아래 있다. 이제 물러나라는 뜻에서 둔(遯)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80?category=1002051

 

주역(周易) 34. 뇌천대장(雷天大壯)

   34_뇌천대장(雷天大壯) 大壯利貞(대장이정) : 대장은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大壯大者壯也(대장대자장야) : 대장은 큰 것이 장함이니, 剛以動故壯(강이동고장)

kydong77.tistory.com

( 大壯- 큰대. 장할 장)


위는 천둥 우레[雷]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대장(大壯)은 ‘힘차다’. ‘성대하다’. ‘씩씩하다’라는 뜻이다.

하늘 위에서 우레가 움직이고 있으므로 힘차고 씩씩하다는 뜻에서 대장(大壯)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81?category=1002051

 

주역(周易) 35. 화지진(火地晉)

35_화지진(火地晉) 晉康侯用錫馬蕃庶(진강후용석마번서) : 진은 편안케 하는 제후에게 말을 많이 주고 晝日三接(주일삼접) : 하룻날에 세번 접하도다.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晉進也(진진

kydong77.tistory.com

(晉-나아갈 진)


위는 불[火]이고, 아래는 땅[地]이다. 진(晋)은 ‘나아가다’. ‘전진하다’라는 뜻이다.

불인 태양이 지상 위로 떠오르면서 점점 밝아진다. 나아간다는 의미에서 진(晋)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82?category=1002051

 

주역(周易) 36.지화명이(地火明夷)

36_지화명이(地火明夷) 明夷(명이) : 명이는 利艱貞(이간정) : 어렵게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되 明入地中明夷(명입지중명이) : 밝은 것이 땅가운데 들어감이 명이

kydong77.tistory.com

明夷-밝을 명. 평들할 이)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이(夷)는 ‘상하고 깨지는 것’이므로 명이(明夷)는 ‘밝은 것이 상하고 깨진다’는 뜻이다. 태양이 땅 아래 잠겨가고 있다.

어두움이 온다는 뜻에서 명이(明夷)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해가 서산에 지는 상이다.

 

kydong77.tistory.com/20383?category=1002051

 

주역(周易) 37.풍화가인(風火家人)

37_풍화가인(風火家人) 家人(가인) : 가인은 利女貞(이여정) : 여자가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家人女正位乎內(가인여정위호내) : <가인>은 여자는 안에서 자리를 바

kydong77.tistory.com

 ( 家人-집 가. 사람 인)

위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가인(家人)은 ‘집을 지키는 사람’을 뜻한다.

위는 장녀(長女)고, 아래는 중녀(中女)다. 동생이 언니 아래 있어 그 뜻을 따르니 일가(一家)가 편안히 다스려진다는 의미에서 가인(家人)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84?category=1002051

 

주역(周易) 38. 화택규(火澤睽)

38_화택규(火澤睽) 睽小事吉(규소사길) : 규는 작은 일은 길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睽火動而上(규화동이상) : <규>는 불이 움직여서 위로 오르고, 澤動而下(택동이하) : 못이 움직여

kydong77.tistory.com

 (어긋날 규)

 위에는 불[火]이고, 아래는 못[澤]이다. 규는 ‘서로 등지다’. ‘노려보다’. ‘사팔눈’이라는 뜻이다.

 불은 타오르면서 위로 올라가고, 연못의 물은 낮은 쪽으로 흘러간다.

서로 등져 어긋나 떨어지므로 규(규)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85?category=1002051

 

주역(周易) 39. 수산건(水山蹇)

39_수산건(水山蹇) 蹇(건) : 건은 利西南不利東北(이서남부리동북) : 서남은 이롭고 동북은 이롭지 아니하나 利見大人貞吉(이견대인정길) : 대인을 버면 이로우니, 바르게 하면 길하리라. 彖曰(

kydong77.tistory.com

 ( 蹇-다리 절 건)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산[山]이다. 건(蹇)은 ‘절뚝발이’. ‘나아가기 힘들다’. ‘멈추다’라는 뜻이다.

산 위에 물이 있으니, 산을 넘으면 다시 물이 앞길을 막고 있다.

나아가기가 불편하니, 절름발이라는 뜻을 가진 건(蹇)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86?category=1002051

 

주역(周易) 40. 뇌수해(雷水解)

40. 뇌수해(雷水解) 解(해) : <해>는 利西南(이서남) : 서남이 이로우니, 无所往(무소왕) : 갈 바가 없느니라. 其來復吉(기래복길) : 그 와서 회복함이 길하니, 有攸往夙吉(유유왕숙길) : 갈 바가

kydong77.tistory.com

( 解-풀 해)

위는 천둥 우레[雷]이고, 아래는 물[水]이다. 해(解)는 ‘해결되다’. ‘해소된다’. ‘풀린다’라는 뜻이다.

천둥이 진동하여 비를 내리니 얼어붙었던 대지가 풀린다. 봄을 의미하므로, 해(解)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blog.daum.net/yc012175/15945009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생활갤러리 주역64괘 풀이ㅣ 박사88 2012/03/27 13:51:27 http://mini.thinkpool.com/baksa88/1323732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乾 하늘 건) 두개의 소성괘들이 겹쳐서 모두 하늘을 상..

blog.daum.net

 

 

 

kydong77.tistory.com/20365

 

주역(周易) 21.화뢰서합(火雷噬嗑)

21_화뢰서합(火雷噬嗑) 噬嗑亨(서합형) : 서합은 형통하니 利用獄(이용옥) : 감옥을 씀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頤中有物曰噬嗑(이중유물왈서합) : 턱 가운데 물건이 있음을

kydong77.tistory.com

씹을 서. 씹을 합)

위는 불[火]이고, 아래는 천둥 우레[雷]다. 서합에서 서는 ‘씹다’라는 뜻이고, 합은 ‘입을 다물다’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서합은 ‘음식을 입안에 넣고 씹는다’는 의미다.

불과 우레가 만나면 천지를 진동하니, 격렬한 언쟁과 싸움에 휘말릴 수 있다.



kydong77.tistory.com/20366?category=1002051

 

주역(周易) 22.산화비(山火賁)

22_산화비(山火賁) 賁亨(분형) : <비>는 형통하니, 小利有攸往(소리유유왕) : 가는 바가 있음이 조금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賁亨柔來(분형유래) : <분형>은 <유>가 와서 而文剛

kydong77.tistory.com

賁-꾸밀 비)

위는 산[山]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비(賁)는 ‘꾸미다’. ‘장식하다’라는 뜻이다.

산아래 불이 있음은 해가 서산에 기울어 찬란한 황혼 노을을 나타낸다.

아름답게 꾸민다는 뜻의 비(賁)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겉치레만 하느라고 실속이 없다.

 


kydong77.tistory.com/20367?category=1002051

 

주역(周易) 23.산지박(山地剝)

23_산지박(山地剝) 剝不利有攸往(박부리유유왕) : <박>은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아니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剝剝也(박박야) : <박>은 깎는 것이니, 柔變剛也(유변강야) : <유>가 <강>

kydong77.tistory.com

( 剝- 깍아 내릴 박)

위는 산[山]이고, 아래는 땅[地]이다. 박(剝)은 ‘벗기다’. ‘빼앗다’라는 뜻이다.

산이 땅위에 우뚝 솟아 있으니, 비바람에 깎여 벗겨지고 상처를 입는다는 뜻에서 박(剝)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매사에 조심해야 한다.



kydong77.tistory.com/20368?category=1002051

 

주역(周易) 24.지뢰복(地雷復)

24_지뢰복(地雷復) 復亨(부형) : 복은 형통하니, 出入无疾(출입무질) : 출입에 병이 없어서 朋來无咎(붕래무구) : 벗이 와야 허물이 없으리라. 反復其道(반부기도) : 그 도를 반복해서 七日來復(

kydong77.tistory.com

(復-돌아 올 복)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우레 천둥[雷]이다. 복(復)은 ‘돌아오다’. ‘회복하다’라는 뜻이다.

땅 밑에서 천둥 우레가 울린다는 것은 땅위에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것과 같으므로, 복(復)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곧 성공할 운을 맞고 있다.

 

kydong77.tistory.com/20369?category=1002051

주역(周易) 25.천뢰무망(天雷无妄)



(无妄-없을 무. 망녕될 망)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천둥 우레[雷]다. 무(无)는 ‘없다’라는 뜻이고, 망(妄)은 ‘허망하다’는 뜻이다.

하늘에 천둥이 울리니 머지 않아 비가 오겠지만 당장은 아니다. 초조하지 말고 침착하게 때를 기다려야 한다.



kydong77.tistory.com/20370?category=1002051

 

26. 산천대축(山川大畜)

26_산천대축(山川大畜) 大畜利貞(대축이정) : 대축은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不家食吉(부가식길) : 집에서 먹지 아니하면 길하니 利涉大川(이섭대천) : 큰 내을 건넘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kydong77.tistory.com

( 大畜-큰 대. 싸을 축)

위는 산[山]이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대축(大畜)은 ‘크게 쌓다’. ‘많이 모이다’라는 뜻이다.

하늘 위로 산이 높이 솟아 오른 모습이다. 크게 축적된 상이므로, 대축(大畜)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새로운 변화가 하늘을 찌르고 있다.



kydong77.tistory.com/20371?category=1002051

 

주역(周易) 27.산뢰이(山雷頤)

27_산뢰이(山雷頤) 頤貞吉(이정길) : <이> 는 바르면 길하니, 觀頤自求口實(관이자구구실) : 기르며 스스로 입의 실상을 구하는 것을 본다.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頤貞吉(이정길) : '이정길'

kydong77.tistory.com

(臣+頁)

위는 산[山]이고, 아래는 천둥 우레[雷]다. 이는 ‘턱’. ‘기르다’. ‘봉양하다’의 뜻이다.

산아래 천둥 우레가 진동하는 상이다. 무언가 산 위로 올라가는 모습이므로, 생명을 기른다는 의미의 이(?)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72?category=1002051

 

주역(周易) 28.택풍대과(澤風大過)

28_택풍대과(澤風大過) 大過棟橈(대과동요) : <대과>는 기둥이 흔들리니, 利有攸往亨(이유유왕형) : 갈 바를 둠이 이로와서 형통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大過大者過也(대과대자과야)

kydong77.tistory.com

( 大過-큰 대. 지날 과)

위는 못[澤]이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대과(大過)란 정상적인 것에서 크게 벗어나 ‘지나치다’라는 뜻이다.

잔잔한 못에 바람이 불어 물결이 크게 일어난다.

작은 배가 큰 풍랑을 만났으니, '지나치다' 라는 뜻에서 대과(大過)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kydong77.tistory.com/20373?category=1002051

 

주역(周易) 29. 감위수(坎爲水)

29_감위수(坎爲水) 習坎(습감) : 習坎은 有孚維心亨(유부유심형) : 믿음이 있어서 오직 마음이 형통하리니, 行有尙(행유상) : 행하면 숭상함이 있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習坎重險也

kydong77.tistory.com

坎  구덩이 감)

위도 물[水]이고, 겹처서 아래도 물[水]이다. 물이 겹쳐 있으니, 수(水)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두 소성괘 모두 두 음효 중간 구덩이에 양효가 빠져 있다.

모든 일은 지나치면 위험에 빠지게 된다. 실패, 좌절, 파산, 병고 등의 어려운 일을 뜻한다.



kydong77.tistory.com/20374?category=1002051

 

주역(周易) 30. 리위화(離爲火)

30_이위화(離爲火) 離利貞(리이정) : <離>는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亨畜牝牛吉(형축빈우길) : 형통하니, 암소를 기르면 길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離麗也(리려야) : <離>는 걸림이니,

kydong77.tistory.com

離  -떠 날 이)

위도 불[火]이고, 겹처서 아래도 불[火]이다. 불 두 개가 겹쳐있으니 화(火)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불 두 개는 태양을 상징하며, 정열과 왕성한 의욕을 뜻한다.

 

blog.daum.net/yc012175/15945009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생활갤러리 주역64괘 풀이ㅣ 박사88 2012/03/27 13:51:27 http://mini.thinkpool.com/baksa88/1323732  주역64괘 풀이 ( 풀이 출처 -> 德田의 문화일기)  (乾 하늘 건) 두개의 소성괘들이 겹쳐서 모두 하늘을 상..

blog.daum.ne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