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thddudgh7/16534220?category=1425252

 

<서경>(38)하서(夏書)(8)우공편(禹貢篇)(8) 양주(梁州)의 치수(治水)와 부세(賦稅)

             <서경(書經)>(38) 하서(夏書)(8)         하(夏)는 우(禹)를 비롯한 그의 자손들이 중국을 다스렸던 왕조를 가리킨다. 하서(夏書)는 하 왕조(夏王   朝)의 사관(史官)이 기록하..

blog.daum.net

 

 

[8] 양주(梁州)의 치수(治水)와 부세(賦稅)  

 

   華陽黑水惟梁州(화양흑수유량주) 

   화산(華山) 남쪽 기슭에서 흑수(黑水) 사이가 양주(梁州)이다.

   岷嶓旣藝(민파기예) 

   민산(岷山)과 파산(嶓山) 일대에 곡식을 가꾸게 하고, 

   沱潛旣道(타잠기도) 

   타수(沱水)와 잠수(潛水)를 터서 흐르게 하였다. 

   蔡蒙旅平(채몽려평) 

   채몽산(蔡蒙山) 일대에도 잘 정리하여 경작을 할 수 있게 하였으며,

   和夷底績(화이저적) 

   화수(和水)의 이족(夷族)들도 잘 다스려 졌다.

   厥土靑黎(궐토청려) 

   그곳의 흙은 푸른 빛에 검은 빛이 감돌았고,

   厥田惟下上(궐전유하상) 

   그곳의 밭은 하상(下上)으로 7등 인데,

   厥賦下中三錯(궐부하중삼착) 

   부세(賦稅)는 하중(下中)의 8등에 7등과 6등이 섞여 있었다.

   厥貢璆鐵銀鏤砮磬(궐공구철은루노경) 

   그곳의 공물은 질좋은 황금·철·은·강철·살촉돌·경구등과,

   熊羆狐狸織皮(웅비호리직피) 

   곰·말곰·여우·너구리 등의 가죽과 짐승털 가죽으로 짠 융단이었다.

   西傾因桓是來(서경인환시래) 

   서경산(西傾山)의 산물은 환수(桓水)를 거쳐 왔는데,

   浮于潛(부우잠) 逾于沔(유우면)

   그들은 잠수(潛水)에 배를 띄워, 면수(沔水)를 지나,

   入于渭(입우위) 亂于河(난우하) 

   위수(渭水)로 들어온 다음에, 황하를 가로질러 들어왔다. 

 

    *양주(梁州)는 지금의 사천성(四川省)과 섬서성(陝西省) 남부를 가리킨다.

     우(禹)는 이 고장의 산과 물을 다스려 지금과 같이 발전할 수 있도록 그 기틀을 닦아 놓았던 것이다.

 

 

m.blog.daum.net/thddudgh7/16534219?category=1425252

 

<서경>(37)하서(夏書)(7)우공편(禹貢篇)(7) 예주(豫州)의 치수(治水)와 부세(賦稅)

             <서경(書經)>(37) 하서(夏書)(7)         하(夏)는 우(禹)를 비롯한 그의 자손들이 중국을 다스렸던 왕조를 가리킨다. 하서(夏書)는 하 왕조(夏王   朝)의 사관(史官)이 기록하..

blog.daum.net

 

 

[7] 예주(豫州)의 치수(治水)와 부세(賦稅)  

    荊河惟豫州(형하유예주) 

   형산(荊山)과 황하(黃河) 사이가 곧 예주(豫州)이다.

   伊洛瀍澗(이낙전간) 

   이수(伊水)·낙수(洛水)·전수(瀍水)·간수(澗水)의 물을,  

   旣入于河(기입우하) 滎波旣豬(형파기저)

   황하(黃河)로 돌아 흐르게 하자, 형파(滎波)의 못물이 잘 막혔다.

   導菏澤(도하택) 被孟豬(피맹저)

   가택(菏澤)의 물을 끌어, 맹저(孟豬)의 못에 이르게 하였다. 

   厥土惟壤(궐토유양) 下土墳壚(하토분로) 

   그 곳의 흙은 부드러웠으나, 낮은 쪽의 흙은 기름지며 검고 굳었다.

   厥田惟中上(궐전유중상) 

   그 밭은 중상(中上)의 4등이지만,  

   厥賦錯上中(궐부착상중) 

   부세(賦稅)는 상중(上中)의 2등에 1등이 섞여 있었다.

   厥貢漆枲絺紵(궐공칠시치저) 

   그곳의 공물은 옷칠·삼모시·칡베·모시옷감이었고,

   厥篚纖纊(궐비섬광) 

   그곳의 공물 바구니에는 가는 무명실이 들어 있었고,

   錫貢磬錯(석공경착) 

   명(命)에 따라 경(磬)을 가는 숫돌을 바치기도 하였다.

   浮于洛(부우락) 達于河(달우하) 

   그들은 낙수(洛水)에서 배를 띄워, 황하(黃河)에 이르렀다.  

 

    *예주는지금의 하남성(河南省)을 가리키는 곳인데, 도읍지와는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었다.

따라서 예주의 백성들은 대체로 황하(黃河)를 이용하여 도읍지에 왕래할 수 있었는데,

다만 서쪽에서는 낙수(洛水)에 배를 띄워 황하로 들어 갔다가 다시 황하를 거슬러 도읍지로 향하였던 것이다.

 

 

m.blog.daum.net/thddudgh7/16534203?category=1425252

 

<서경>(36)하서(夏書)(6)우공편(禹貢篇)(6) 형주(荊州)의 치수(治水)와 부세(賦稅)

             <서경(書經)>(36) 하서(夏書)(6)         하(夏)는 우(禹)를 비롯한 그의 자손들이 중국을 다스렸던 왕조를 가리킨다. 하서(夏書)는 하 왕조(夏王   朝)의 사관(史官)이 기록하..

blog.daum.net

 

 

[6] 형주(荊州)의 치수(治水)와 부세(賦稅)  

    荊及衡陽惟荊州(형급형양유형주) 

   형산(荊山)과 형산(衡山) 남쪽 기슭 사이에 형주(荊州)가 있다. 

   江漢(강한) 朝宗于海(조종우해) 

   강수(江水)와 한수(漢水)를, 합류시켜 바다로 흘러들게 하자,

   九江孔殷(구강공은) 

   아홉 가닥의 강수(江水)가 크게 바로 잡혔다.

   沱潛旣道(타잠기도) 雲土(운토)

   타수(沱水와 잠수(潛水)가 소통이 되자, 운택(雲澤)의 바닥이 드러나고, 

   夢作乂(몽작예) 

   몽택(夢澤)의 물이 다스려 졌다.

   厥土惟塗泥(궐토유도니) 

   그 곳의 흙은 진흙이 많았다.

   厥田惟下中(궐전유하중) 賦上下(부상하)

   그곳의 밭은 하중(下中)이지만, 부세(賦稅)는 상하(上下)등급 이었다. 

   厥貢羽毛齒革(궐공우모치혁) 

   그곳의 공물은 새깃·소꼬리 털·상아·가죽과,

   惟金三品(유금삼품) 杶榦栝柏(춘간괄백)

   금·은·동 세 가지 쇠붙이와, 참나무·산뽕나무·향나무·잣나무와,

   礪砥砮丹(여지노단) 

   그리고 거친 숫돌 · 고운 숫돌 · 살촉 돌 · 단사(丹砂)와,

   惟箘簵楛(유균로고) 三邦(삼방) 

   조릿대와 화살대 및 싸리나무인 호(楛)였는데, 세 지방에서,

   底貢厥名(저공궐명) 

   공물로 바치어 이름을 날렸다.

   包匭菁茅(포궤청모) 

   제사 술 거를 때 쓰는 청모(菁茅)를 싸서 상자에 넣었으며,

   厥篚玄纁璣組(궐비현훈기조) 

   그 바구니에는 검붉은 비단과 둥글지 않은 구슬에 수실이 달린 끈이 있었고,

   九江納錫大龜(구강납석대구) 

   구강(九江)에서는 큰 거북을 바쳤다.

   浮于江沱潛漢(부우강타잠한) 

   그들은 강수(江水)와 타수(沱水)와 잠수(潛水)와 한수(漢水)에 배를 띄워,

   逾于洛(유우락) 至于南河(지우남하) 

   낙수(洛水)를 거쳐, 남쪽 황하(黃河)에 이를 수 있었다.    

 

    *이 절에서는 형주(荊州), 곧 지금의 호북성(湖北省)과 호남성(湖南省) 일대를 우(禹)가 다스렸던 일과

     그 지방의 풍물을 기록한 것이다. 사실 옛날 형부지방과 양주지방은 오늘날의 중국 곡창지대로 손꼽혀

     왔으며, 호남성의 쌀은 맛좋고 윤기가 있다고 전해져 왔다.    

 

 

m.blog.daum.net/thddudgh7/16534202?category=1425252

 

<서경>(35)하서(夏書)(5)우공편(禹貢篇)(5) 양주(揚州)의 치수(治水)와 부세(賦稅)

             <서경(書經)>(35) 하서(夏書)(5)         하(夏)는 우(禹)를 비롯한 그의 자손들이 중국을 다스렸던 왕조를 가리킨다. 하서(夏書)는 하 왕조(夏王   朝)의 사관(史官)이 기록하..

blog.daum.net

 

 

[5] 양주(揚州)의 치수(治水)와 부세(賦稅)  

   淮海惟揚州(회해유양주) 

   회수(淮水)와 바다 사이가 양주(揚州)이다.  

   彭蠡旣豬(팽려기저) 陽鳥攸居(양조유거)

   팽려(彭蠡)라는 호수에 방죽을 쌓게 되자, 철새들이 그곳에 살게 되었다.

   三江旣入(삼강기입) 

   세 갈래의 강물을 바다로 흘러 들어가게 하자,

   震澤底定(진택저정) 篠簜旣敷(소탕기부) 

   진택(震澤)이란 못물이 일정해져, 호숫가에는 가는 대와 굵은 대가 자랐다. 

   厥草惟夭(궐초유요) 厥木惟喬(궐목유교)

   그곳의 숲은 우거지고, 나무들은 높게 자랐다. 

   厥土惟塗泥(궐토유도니) 

   그곳의 흙은 진흙이었다.

   厥田惟下下(궐전유하하) 厥賦下上(궐부하상) 

   그 밭은 하하(下下)의 9등급이고, 부세(賦稅)는 하상(下上)의 7등급이지만,

   上錯(상착) 

   상등인 6등급도 섞여 있었다.

   厥貢惟金三品(궐공유금삼품) 瑤琨篠簜(요곤소탕) 

   그곳의 공물은 금·은·동과, 곤(琨)이라는 구슬과 가늘고 굵은 대나무와,

   齒革羽毛(치혁우모) 惟木(유목)

   상아·짐승가죽·새깃털·소꼬리털과, 그리고 목재(木材)였다. 

   島夷卉服(도이훼복) 

   도이족(島夷族)들은 풀로 만든 옷을 입었는데,

   厥篚織貝(궐비직패) 

   그들은 공물 바구니에 조개 무늬의 비단을 담고,

   厥包橘柚(궐포귤유) 錫貢(석공)

   그들의 보자기에는 귤과 유자를 싸서, 공물로 바쳤다.

   沿于江海(연우강해) 達于淮泗(달우회사)

   그들은 강과 바다를 따라, 회수(淮水)와 사수(泗水)에 이르렀다. 

 

   

    *양주(揚州)는 회하(淮河)의 이남을 가리키는 데,

     지금의 절강성(折江省)과 강서성(江西省)이 모두 이에 포함이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