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창령王昌齡

021. 동종제남제완월억산음최소부同從弟南齋玩月憶山陰崔少府

 

021동종제남재완월억산음최소부(同從弟南齋玩月憶山陰崔少府)-왕창령(王昌齡;698-755?)

 

高臥南齋時(고와남재시), ; 남재에 편안히 누운 시간

開帷月初吐(개유월초토). ; 휘장을 열자 달이 막 떠오르네

淸輝淡水木(청휘담수목), ; 물과 나무에 모이는 맑은 달빛

演漾在窗戶(연양재창호). ; 창밖은 일렁이는 물결

苒苒幾盈虛(염염기영허), ; 빠른 세월, 달은 차고 이지러지고

澄澄變今古(징징변금고). ; 맑은 달빛, 옛날과 지금은 변하였구나

美人淸江畔(미인청강반), ; 맑은 강가의 그대

是夜越吟苦(시야월음고). ; 이 밤 월 땅에서 괴롭게 시를 읊겠지

千里其如何(천리기여하), ; 천리 먼 곳을 내 어찌 할까

微風吹蘭杜(미풍취난두). ; 잔잔한 바람 난사로 불어드리라

 

[안병렬 국역]

021 왕창령(王昌齡;698-755?)

-종제와 함께 달구경하다가 산음의 최소부를 생각하다

 

내 남재에

편히 누웠노니

창문의 발을 열자

달이 막 떠오르네.

 

맑은 달빛

물에도 비치고 나무에도 비치고

물결에 어린 달빛

창 앞에서 흔들린다.

 

빠른 세월

달은 몇 번이나 차고 이지러졌던가?

저 맑은 달빛 속에서

예와 이제 변하였네.

 

그대는

맑은 강가에 있으련만

이 밤 고향 그리며

월땅에서 읊조림 괴로우리라.

 

천 리나 떨어져

어찌 만나리?

그대 빼어남이여 난초와 두약이라

그 향기 미풍에 실려 오리라.

서명을 '三百首'라 한 것은 시경시의 작품수가 311수지만 가락만 남은 笙詩 6편을 제외하더라도  305편이나 된다.

그러나 공자께서

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 思無邪니라 [논어(論語) 위정(爲政)편 2장]

라 하신 것을 모델로,  '三百首'라 서명을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韓譯唐詩三百首, 구섭우 편저,  안병렬 역, 계명대학교출판부,1991.

001장구령 -감우感遇 1/4  (0) 에서

https://kydong77.tistory.com/15121

 

001장구령 -감우感遇 1/4

아래 安秉烈님 번역의 장점은 한시 1행을 번역시 1행으로 처리하는 지금까지의 관습에서 벗어나형식에서 한시 1행을 번역시에서는 4행으로 처리함으로써 의미 단위가 명료해 현대시처럼 이미

kydong77.tistory.com

020숙업사산방대정대부지(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맹호연  까지와

https://kydong77.tistory.com/15216

 

020 맹호연, 숙업사산방대정대부지(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

020숙업사산방대정대부지(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 ㅡ 맹호연(孟浩然;689-740) [업사산방에 묵으면서 정대를 기다렸으나 오지 않음] 夕陽度西嶺 (석양도서령), ; 저녁 해 고개를 넘으니 群壑倏已暝 (

kydong77.tistory.com

 

078 도원의 노래  (0) 2016.05.19 에서

https://kydong77.tistory.com/15343

 

078 왕유(王維), 도원의 노래(桃源行)

당시300수 안병렬님의 신역의 타자치기를 마치고 우선 기억에 떠오르는 두 수를 정리해 본다. * 한시 제목의 끝에 덧붙이는 '行'은 詩임을 의미함. 078 桃源行 도원의 노래 고깃배 물 따라 흘러가

kydong77.tistory.com

106 두보, 봄날의 소망(春望)  까지의 원문과 한국어 번역을 재정리한 바 있다.

https://kydong77.tistory.com/15582

 

106 두보, 봄날의 소망(春望)

일본의 일방적 침공을 받은 왜란을 겪으며 한국에서도 널리 회자된 시구다. 國破山河在(국파산하재) 城春草木深(성춘초목심) 106 杜甫(두보) 春望(춘망) - 봄의 소망 國破山河在(국파산하재) : 조

kydong77.tistory.com

 

 한문 공부를 겸하여 <당시삼백수> 목차 가운데 이 블로그 국역에서 누락된,

021. 동종제남제완월억산음최소부同從弟南齋玩月憶山陰崔少府 에서

https://kydong77.tistory.com/17208

 

021. 왕창령,동종제남제완월억산음최소부同從弟南齋玩月憶山陰崔少府

왕창령王昌齡 021. 동종제남제완월억산음최소부同從弟南齋玩月憶山陰崔少府 021동종제남재완월억산음최소부(同從弟南齋玩月憶山陰崔少府)-왕창령(王昌齡;698-755?) 高臥南齋時(고와남재시), ; 남

kydong77.tistory.com

 

077. 노장행老將行 까지와

https://kydong77.tistory.com/17413

 

077 왕유, 노장행(老將行)

077 노장행(老將行)-왕유(王維;699-759) 늙은 장군의 노래 少年十五二十時,(소년십오이십시),소년 나이 열다섯에서 스무 살 적에는 步行奪得胡馬騎.(보항탈득호마기).걸으며 호마를 뺏어 올라탔었

kydong77.tistory.com

 

107. 춘숙좌성春宿左省 에서

https://kydong77.tistory.com/17414

 

107 두보, 춘숙좌성(春宿左省)

[작품번호 이동에 대하여] 078. 王維:桃源行 부터 106.杜甫:春望 까지는 이미 이 블로그의 당시삼백수 분류표 안에 수록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미탑재분인 107. 춘숙좌성春宿

kydong77.tistory.com

 

320. 금루의金縷衣 까지도 원시와 번역을 옮기는 데 도전해 보고자 한다.

https://kydong77.tistory.com/18566

 

320, 두추낭, 금루의(金縷衣) - 비단옷/ 唐詩三百首 목차

320 금루의(金縷衣) -두추낭(杜 秋娘) 비단옷- 杜秋娘(두추낭) 勸君莫惜金縷衣 (권군막석김루의) 비단 옷 쯤이야 아끼질 마오 勸君惜取少年時 (권군석취소년시) 차라리 그대 청춘을 아낄 것이 花

kydong77.tistory.com

<당시삼백수> 목차를 다시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卷一

五言古詩 ( 001-035)

 

1장 오언고시五言古詩 

장구령張九齡

001. 감우感遇 1

002. 감우感遇 2

003. 감우感遇 3

004. 감우感遇 4

   

이백李白

005. 하종남산과곡사산인숙치주 下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

006. 월하독작月下獨酌

007. 춘사春思

 

두보杜甫

008. 망악望岳

009. 증위팔처사贈衛八處士

010. 가인佳人

011. 몽이백夢李白 1

012. 몽이백夢李白 2

 

왕유王維

013. 송별送別

014. 송기무잠락제환향?毋潛落第還鄕

015. 청계靑溪

016. 위천전가渭川田家

017. 서시영西施詠

 

맹호연孟浩然

018. 추등란산기장오秋登蘭山寄張五

019. 하일남정회신대夏日南亭懷辛大

020. 숙업사산방대정대부지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

 

왕창령王昌齡

021. 동종제남제완월억산음최소부同從弟南齋玩月憶山陰崔少府

 

구위邱爲

022. 심서산은자불우尋西山隱者不遇

 

기무잠綦毋潛

023. 춘범약야계春泛若耶溪

 

상건常建

024. 숙왕창령은거宿王昌齡隱居

 

잠삼岑參

025. 여고적설거등자은사부도與高適薛據登慈恩寺浮圖

 

원결元結

026. 적퇴시관리병서賊退示官吏幷序

 

위응물韋應物

027. 군재우중여제문사연집郡齋雨中與諸文士燕集

028. 초발양자기원대교서初發揚子寄元大校書

029. 기전초산중도사寄全椒山中道士

030. 장안우풍저長安遇馮著

031. 석차우이현夕次??

032. 동교東郊

033. 송양씨녀送楊氏女

 

유종원柳宗元

034. 신지초사원독선경晨詣超師院讀禪經

035. 계거溪居

 

樂府( 036-45)

2장 오언고시악부五言古詩樂府

 

왕창령王昌齡

036. 새상곡塞上曲

037. 새하곡塞下曲

 

이백李白

038. 관산월關山月

039. 자야사시가子夜四時歌 1

040. 자야사시가子夜四時歌 2

041. 자야사시가子夜四時歌 3

042. 자야사시가子夜四時歌 4

043. 장간행長干行

   

맹교孟郊

044. 열녀조烈女操

045. 유자음遊子吟

 

卷二

七言古詩( 046-73)

3장 칠언고시七言古詩 

진자앙陳子昂

046. 등유주대가登幽州臺歌

 

이기李頎

047. 고의古意

048. 송진장보送陳章甫

049. 금가琴歌

050. 청동대탄호가성겸기어농방급사聽董大彈胡?聲兼寄語弄房給事

051. 청안만선취필률가聽安萬善吹??

   

맹호연孟浩然

052. 야귀녹문산가夜歸鹿門山歌

 

이백李白

053. 여산요기로시어허주廬山謠寄盧侍御虛舟

054. 몽유천로음류별夢遊天?吟留別

055. 금릉주사유별金陵酒肆留別

056. 선주사조루전별교서숙운宣州謝眺樓餞別校書叔雲

 

잠삼岑參

057. 주마천행봉송봉대부출사서정走馬川行奉送封大夫出師西征

058. 윤대가봉송봉대부출사서정輪臺歌奉送封大夫出師西征

059. 백설가송무판관귀경白雪歌送武判官歸京

 

두보杜甫

060. 위풍녹사댁관조장군화마도韋諷錄事宅觀曹將軍?馬圖

061. 단청인증조패장군丹靑引贈曹?將軍

062. 기한간의寄韓諫議

063. 고백행古柏行

064. 관공손대낭제자무검기행병서 觀公孫大娘弟子舞劍器行幷序

 

원결元結

065. 석어호상취가병서石魚湖上醉歌幷序

 

한유韓愈 066. 산석山石

067. 팔월십오야증장공조八月十五夜贈張功曹

068. 알형악묘수숙악사제문루謁衡岳廟遂宿岳寺題門樓

069. 석고가石鼓歌

 

유종원柳宗元

070. 어옹漁翁

 

백거이白居易

071. 장한가長恨歌

072. 비파행병서琵琶行幷序

 

이상은李商隱

073. 한비韓碑

 

樂府 (074-89)

4장 칠언고시악부七言古詩樂府 

고적高適

074. 연가행병서燕歌行幷序

 

이기李頎

075. 고종군행古從軍行

 

 

왕유王維

076. 낙양여아행洛陽女兒行

077. 노장행老將行

078. 도원행桃源行

 

이백李白

079. 촉도난蜀道難

080. 장상사長相思 1

081. 장상사長相思 2

082. 행로난行路難 1

083. 행로난行路難 2

084. 행로난行路難 3

085. 장진주將進酒

 

두보杜甫

086. 병거행兵車行

087. 여인행麗人行

088. 애강두哀江頭

089. 애왕손哀王孫

 

卷三

五言律詩(090-169)

 

5장 오언율시五言律詩 

당현종唐玄宗

090. 경로제공자이탄지經魯祭孔子而嘆之

 

장구령張九齡

091. 망월회원望月懷遠

 

왕발王勃

092. 송두소부지촉주送杜少府之任蜀州

 

낙빈왕駱賓王

093. 재옥영선병서在獄詠蟬幷序

 

두심언杜審言

094. 화진릉륙승조춘유망和晉陵陸丞早春遊望

 

심전기沈全期

095. 잡시雜詩

 

송지문宋之問

096. 제대유령북역題大庾嶺北驛

 

왕만王灣

097. 차북고산하次北固山下

 

상건常建

098. 제파산사후선원題破山寺後禪院

 

잠삼岑參

099. 기좌성두습유寄左省杜拾遺

 

이백李白

100. 증맹호연贈孟浩然

101. 도형문송별渡荊門送別

102. 송우인送友人

103. 청촉승준탄금聽蜀僧浚彈琴

104. 야박우저회고夜泊牛渚懷古

 

두보杜甫

105. 월야月夜

106. 춘망春望

107. 춘숙좌성春宿左省

108. 지덕이재보자경금광문출至德二載甫自京金光門出

109. 월야억사제月夜憶舍弟

110. 천말회이백天末懷李白

111. 봉제역중송엄공사운奉濟驛重送嚴公四韻

112. 별방태위묘別房太尉墓

113. 여야서회旅夜書懷

114. 등악양루登岳陽樓

 

왕유王維

115. 망천한거증배수재적輞川閑居贈裴秀才迪

116. 산거추명山居秋暝

117. 귀숭산작歸嵩山作

118. 종남산終南山

119. 수장소부酬張少府

120. 과향적사過香積寺

121. 송재주이사군送梓州李使君

122. 한강림조漢江臨眺

123. 종남별업終南別業

 

맹호연孟浩然

124. 망동정호증장승상望洞庭湖贈張丞相

125. 여제자등현산與諸子登峴山

126. 청명일연매도사방淸明日宴梅道士房

127. 세모귀남산歲暮歸南山

128. 과고인장過故人莊

129. 진중감추기원상인秦中感秋寄遠上人

130. 숙동려강기광릉구유宿桐廬江寄廣陵舊遊

131. 유별왕시어유留別王侍御維

132. 조한강상유회早寒江上有懷

 

유장경劉長卿

133. 추일등오공대상사원조秋日登吳公臺上寺遠眺

134. 송이중승귀한양별업送李中丞歸漢陽別業

135. 전별왕십일남유餞別王十一南遊

136. 심남계상산도인은거尋南溪常山道人隱居

137. 신년작新年作

 

전기錢起

138. 송승귀일본送僧歸日本

139. 곡구서재기양보궐谷口書齋寄楊補闕

 

위응물韋應物

140. 회상희회양천고인淮上喜會梁川故人

141. 부득모우송이주賦得暮雨送李胄

 

한굉 韓翃

142. 수정연추야즉사견증酬程延秋夜卽事見贈

 

유신허劉脊虛

143. 궐제闕題

 

대숙륜戴叔倫

144. 강향고인우집객사江鄕故人偶集客舍

 

노륜盧綸

145. 송이단送李端

 

이익李益

146. 희견외제우언별喜見外弟又言別

 

사공서司空曙

147. 운양관여한유별숙雲陽館與韓紳宿別

148. 희외제로륜견숙喜外弟盧綸見宿

149. 적평후송인북귀賊平後送人北歸

 

유우석劉禹錫

150. 촉선주묘蜀先主廟

 

장적張籍

151. 몰번고인沒蕃故人

 

백거이白居易

152. 부득고원초송별賦得古原草送別

 

두목杜牧

153. 여숙旅宿

 

허혼許渾

154. 추일부궐제동관역루秋日赴闕題潼關驛樓

155. 조추早秋

 

이상은李商隱

156.

157. 풍우風雨

158. 낙화落花

159. 양사?

160. 북청라北靑蘿

 

온정균溫庭筠

161. 송인동유送人東遊

 

마대馬戴

162. 파상추거?上秋居

163. 초강회고楚江懷古

 

장교張喬

164. 서변사書邊事

 

최도崔涂

165. 파산도중제야유회巴山道中除夜有懷

166. 고안孤雁

 

두순학杜荀鶴

167. 춘궁원春宮怨

 

위장韋莊

168. 장대야사章臺夜思

 

승교연僧皎然

169. 심육홍점불우尋陸鴻漸不遇

 

卷四

七言律詩(170-222)  

6장 칠언율시七言律詩 

최호崔顥

170. 황학루黃鶴樓

171. 행경화음行經華陰

 

조영祖詠

172. 망계문?

 

이기李頎

173. 송위만지경送魏萬之京

 

최서崔曙

174. 구일등마언대영유명부九日登望仙臺呈劉明府

 

이백李白

175. 등금릉봉황대登金陵鳳凰臺

 

고적高適

176. 송이소부폄협중왕소부폄장사 送李少府貶峽中王少府貶長沙

 

잠삼岑參

177. 봉화중서사인가지조대명궁 奉和中書舍人賈至早朝大明宮

 

 

왕유王維

178. 화가사인조조대명궁지작和賈舍人早朝大明宮之作

179. 봉화성제종봉래향흥경각도중류춘우중춘망지작응제

奉和聖制從蓬萊向興慶閣道中留春雨中春望之作應制

180. 적우망천장작積雨輞川莊作

181. 수곽급사酬郭給事

 

두보杜甫

182. 촉상蜀相

183. 객지客至

184. 야망野望

185. 문관군수하남하북聞官軍收河南河北

186. 등고登高

187. 등루登樓

188. 숙부宿府

189. 각야閣夜

190. 영회고적詠懷古跡 1

191. 영회고적詠懷古跡 2

192. 영회고적詠懷古跡 3

193. 영회고적詠懷古跡 4

194. 영회고적詠懷古跡 5

 

유장경劉長卿

195. 강주중별설육류할이원외江州重別薛六柳八二員外

196. 장사과가의댁長沙過賈誼宅

197. 자하구지앵주석망악양기원중승 自夏口至鸚洲夕望岳陽寄源中丞

 

전기錢起

198. 증궐하배사인贈闕下裴舍人

 

위응물韋應物

199. 기이담원석寄李?元錫

 

한굉?

200. 동제선유관同題仙遊觀

 

황보염皇甫?

201. 춘사春思

 

노륜盧綸 202.

만차악주晩次鄂州

 

유종원柳宗元

203. 등유주성루기장정봉련사주자사 登柳州城樓寄?汀封連四州刺史

 

유우석劉禹錫

204. 서새산회고西塞山懷古

 

원진元稹

205. 견비회遣悲懷 1

206. 견비회遣悲懷 2

207. 견비회遣悲懷 3

 

백거이白居易

208. 자하남경란自河南經亂

 

이상은李商隱

209. 금슬錦瑟

210. 무제無題 1

211. 수궁隋宮

212. 무제無題 2

213. 무제無題 3

214. 주필역籌筆驛

215. 무제無題 4

216. 춘우春雨

217. 무제無題 5

218. 무제無題 6

 

온정균溫庭筠

219. 이주남도利洲南渡

220. 소무묘蘇武廟

 

설봉薛逢

221. 궁사宮詞

 

진도옥秦韜玉

222. 빈녀貧女

 

樂府 (223)

7장 칠언율시악부七言律詩樂府 

심전기沈全期

223. 독불견獨不見

 

卷五

五言絶句(224-252) 

 

8장 오언절구五言絶句 

왕유王維

224. 녹채鹿柴

225. 죽리관竹里館

226. 송별送別

227. 상사相思

228. 잡시雜詩

 

배적裴迪

229. 송최구送崔九

 

조영祖詠

230. 종남망여설終南望餘雪

 

 

맹호연孟浩然

231. 숙건덕강宿建德江

232. 춘효春曉

 

이백李白

233. 정야사靜夜思

234. 원정怨情

 

두보杜甫

235. 팔진도八陣圖

   

왕지환王之渙

236. 등관작루?雀樓

 

유장경劉長卿

237. 송령철送靈澈

238. 탄금彈琴

239. 송상인送上人

 

위응물韋應物

240. 추야기구원외秋夜寄邱員外

 

이단李端

241. 청쟁聽箏

 

왕건王建

242. 신가낭新嫁娘

 

권덕여權德輿

243. 옥대체玉臺體

 

유종원柳宗元

244. 강설江雪

 

원진元稹

245. 행궁行宮

 

백거이白居易

246. 문유십구問劉十九

 

장호張祜

247. 하만자何滿子

 

이상은李商隱

248. 등낙유원登樂遊原

 

가도賈島

249. 심은자불우尋隱者不遇

 

이빈李頻

250. 도한강渡漢江

 

김창서金昌緖

251. 춘원春怨

252.서비인西鄙人 가서가哥舒歌

 

樂府(253-260)

   

9장 오언절구악부五言絶句樂府

   

최호崔顥

253. 장간행長干行 1

254. 장간행長干行 2

 

이백李白

255. 옥계원玉階怨

 

노륜盧綸

256. 새하곡塞下曲 1

257. 새하곡塞下曲 2

258. 새하곡塞下曲 3

259. 새하곡塞下曲 4

 

이익李益

260. 강남곡江南曲

 

卷六

七言絶句(261-311) 

 

10장 칠언절구七言絶句    

하지장賀知章

261. 회향우서回鄕偶書

 

장욱張旭

262. 도화계桃花溪

 

 

왕유王維

263. 구월구일억산동형제九月九日憶山東兄弟

 

 

왕창령王昌齡

264. 부용루송신점芙蓉樓送辛漸

265. 규원閨怨

266. 춘궁곡春宮曲

 

왕한王翰

267. 양주사 涼州詞

 

 

이백李白

268. 송맹호연지광릉送孟浩然之廣陵

269. 조발백제성朝發白帝城

 

 

잠삼岑參

270. 봉입경사逢入京使

 

 

두보杜甫

271. 강남봉이구년江南逢李龜年

 

위응물韋應物

272. 저주서간 滁州西澗

 

장계張繼

273. 풍교야박楓橋夜泊

 

한굉 韓翃

274. 한식寒食

 

유방평劉方平

275. 월야月夜

276. 춘원春怨

 

유중용柳中庸

277. 정인원征人怨

 

고황顧況

278. 궁사宮詞

 

이익李益

279. 야상수항성문적夜上受降城聞笛

 

유우석劉禹錫

280. 오의항烏衣巷

281. 춘사春詞

 

백거이白居易

282. 후궁사後宮詞

 

 

장호張祜

283. 증나인贈內人

284. 집령대集靈臺 1

285. 집령대集靈臺 2

286. 제금릉도題金陵渡

 

 

주경여朱慶餘

287. 궁사宮詞

288. 근시상장수부近試上張水部

 

 

두목杜牧

289. 장부오흥등락유원將赴吳興登樂遊原

290. 적벽赤壁

291. 박진회泊秦淮

292. 기양주한작판관寄揚州韓綽判官

293. 유회遣懷

294. 추석秋夕

295. 증별贈別 1

296. 증별贈別 2

297. 금곡원金谷園

 

 

이상은李商隱

298. 야우기북夜雨寄北

299. 기영호낭중寄令狐郎中

300. 위유爲有

301. 수궁隋宮

302. 요지瑤池

303. 상아嫦娥

304. 가생賈生

 

온정균溫庭筠

305. 요슬원瑤瑟怨

 

정전?

306. 마외파馬嵬坡

 

한악韓偓

307. 이량已凉

 

위장韋莊

308. 금릉도金陵圖

 

진도陳陶

309. 농서행?西行

 

장필張泌

310. 기인寄人

 

무명씨無名氏

311. 잡시雜詩

 

樂府(312-320) 

11장 칠언절구악부 七言絶句樂府   

왕유王維

312. 위성곡渭城曲

313. 추야곡秋夜曲

 

왕창령王昌齡

314. 장신원長信怨

315. 출새出塞

 

왕지환王之渙

316. 출새出塞

 

 

이백李白

317. 청평조淸平調 1

318. 청평조淸平調 2

319. 청평조淸平調 3

 

 

두추낭杜秋娘

320. 금루의金縷衣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5119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아래 포스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近體詩의 특성

http://kydong77.tistory.com/8114

 

 

 

근체시의 특성과 당시선

http://kydong77.tistory.com/3624

 

끝부분에 도교사상과 유교사상으로 唐詩를 대표하는 두 시인의 간략한 년보도 실었습니다.

李白(701-762) 年譜

杜甫(712-770) 年譜

 

http://kydong77.tistory.com/15119

 

卷一

五言古詩 ( 001-035)

樂府( 036-45)
 
卷二

七言古詩( 046-73)

樂府 (074-89)    

 

卷三

五言律詩(090-169)

 

卷四

七言律詩(170-222)

樂府 (223)

 

卷五

五言絶句(224-252)

樂府(253-260)

 

卷六

七言絶句(261-311)

樂府(312-320)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185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이태백의 채색 초상화

 

목차의 시인과 시 제목을 복사하여 검색하면 인테넷에서 쉽게 한문과 국역을 찾을 수 있습니다.

唐詩三百首 목차 

http://kydong77.tistory.com/15119

 

唐詩三百首 목차

동영상 포스트 https://www.youtube.com/watch?v=6i908OSPphI 이 블로그에 아래 책의 번역을 추가합니다. 邱燮友 편저 · 安秉烈 역,韓譯 唐詩三百首,계명대학교출판부,1991. 한글 번역에서 字句를 다소 수정한

kydong77.tistory.com

卷一

五言古詩 ( 001-035)

 

樂府( 036-45)  卷二

七言古詩( 046-73)

樂府 (074-89)    


卷三

五言律詩(090-169)

 

卷四

七言律詩(170-222)

樂府 (223)

 

卷五

五言絶句(224-252)

樂府(253-260)

 

卷六

七言絶句(261-311)

樂府(312-320)  

독음이 달린 책의 목차를 소개합니다. 

 

당시삼백수 목차

1장 오언고시五言古詩 

장구령張九齡

001. 감우感遇 1

002. 감우感遇 2

003. 감우感遇 3

004. 감우感遇 4

   

이백李白

005. 하종남산과곡사산인숙치주 下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

006. 월하독작月下獨酌

007. 춘사春思

 

두보杜甫

008. 망악望岳

009. 증위팔처사贈衛八處士

010. 가인佳人

011. 몽이백夢李白 1

012. 몽이백夢李白 2

 

왕유王維

013. 송별送別

014. 송기무잠락제환향?毋潛落第還鄕

015. 청계靑溪

016. 위천전가渭川田家

017. 서시영西施詠

 

맹호연孟浩然

018. 추등란산기장오秋登蘭山寄張五

019. 하일남정회신대夏日南亭懷辛大

020. 숙업사산방대정대부지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

 

왕창령王昌齡

021. 동종제남제완월억산음최소부同從弟南齋玩月憶山陰崔少府

 

구위邱爲

022. 심서산은자불우尋西山隱者不遇

 

기무잠​ 綦毋潛

023. 춘범약야계春泛若耶溪

 

상건常建

024. 숙왕창령은거宿王昌齡隱居

 

잠삼岑參

025. 여고적설거등자은사부도與高適薛據登慈恩寺浮圖

 

원결元結

026. 적퇴시관리병서賊退示官吏幷序

 

위응물韋應物

027. 군재우중여제문사연집郡齋雨中與諸文士燕集

028. 초발양자기원대교서初發揚子寄元大校書

029. 기전초산중도사寄全椒山中道士

030. 장안우풍저長安遇馮著

031. 석차우이현夕次??

032. 동교東郊

033. 송양씨녀送楊氏女

 

유종원柳宗元

034. 신지초사원독선경晨詣超師院讀禪經

035. 계거溪居

 

2장 오언고시악부五言古詩樂府

 

왕창령王昌齡

036. 새상곡塞上曲

037. 새하곡塞下曲

 

이백李白

038. 관산월關山月

039. 자야사시가子夜四時歌 1

040. 자야사시가子夜四時歌 2

041. 자야사시가子夜四時歌 3

042. 자야사시가子夜四時歌 4

043. 장간행長干行

 

맹교孟郊

044. 열녀조烈女操

045. 유자음遊子吟

 

3장 칠언고시七言古詩

 

진자앙陳子昂

046. 등유주대가登幽州臺歌

 

이기李頎

047. 고의古意

048. 송진장보送陳章甫

049. 금가琴歌

050. 聽 董大彈胡笳聲 兼 寄語弄房給事(청 동대탄호가성 겸 기어롱방급사)

051. 聽安萬善吹觱篥歌 (청안만선취필률가))

  

맹호연孟浩然

052. 야귀녹문산가夜歸鹿門山歌

 

이백李白

053. 여산요기로시어허주廬山謠寄盧侍御虛舟

054. 몽유천로음류별夢遊天?吟留別

055. 금릉주사유별金陵酒肆留別

056. 선주사조루전별교서숙운宣州謝眺樓餞別校書叔雲

 

잠삼岑參

057. 주마천행봉송봉대부출사서정走馬川行奉送封大夫出師西征

058. 윤대가봉송봉대부출사서정輪臺歌奉送封大夫出師西征

059. 백설가송무판관귀경白雪歌送武判官歸京

 

두보杜甫

060. 위풍녹사댁관조장군화마도韋諷錄事宅觀曹將軍?馬圖

061. 단청인증조패장군丹靑引贈曹?將軍

062. 기한간의寄韓諫議

063. 고백행古柏行

064. 관공손대낭제자무검기행병서 觀公孫大娘弟子舞劍器行幷序

 

원결元結

065. 석어호상취가병서石魚湖上醉歌幷序

 

한유韓愈 066. 산석山石

067. 팔월십오야증장공조八月十五夜贈張功曹

068. 알형악묘수숙악사제문루謁衡岳廟遂宿岳寺題門樓

069. 석고가石鼓歌

 

유종원柳宗元

070. 어옹漁翁

 

백거이白居易

071. 장한가長恨歌

072. 비파행병서琵琶行幷序

 

이상은李商隱

073. 한비韓碑

 

4장 칠언고시악부七言古詩樂府

 

고적高適

074. 연가행병서燕歌行幷序

 

이기李頎

075. 고종군행古從軍行

 

왕유王維

076. 낙양여아행洛陽女兒行

077. 노장행老將行

078. 도원행桃源行

 

이백李白

079. 촉도난蜀道難

080. 장상사長相思 1

081. 장상사長相思 2

082. 행로난行路難 1

083. 행로난行路難 2

084. 행로난行路難 3

085. 장진주將進酒

 

두보杜甫

086. 병거행兵車行

087. 여인행麗人行

088. 애강두哀江頭

089. 애왕손哀王孫

 

5장 오언율시五言律詩

 

당현종唐玄宗

090. 경로제공자이탄지經魯祭孔子而嘆之

 

장구령張九齡

091. 망월회원望月懷遠

 

왕발王勃

092. 송두소부지촉주送杜少府之任蜀州

 

낙빈왕駱賓王

093. 재옥영선병서在獄詠蟬幷序

 

두심언杜審言

094. 화진릉륙승조춘유망和晉陵陸丞早春遊望

 

심전기沈全期

095. 잡시雜詩

 

송지문宋之問

096. 제대유령북역題大庾嶺北驛

 

왕만王灣

097. 차북고산하次北固山下

 

상건常建

098. 제파산사후선원題破山寺後禪院

 

잠삼岑參

099. 기좌성두습유寄左省杜拾遺

 

이백李白

100. 증맹호연贈孟浩然

101. 도형문송별渡荊門送別

102. 송우인送友人

103. 청촉승준탄금聽蜀僧浚彈琴

104. 야박우저회고夜泊牛渚懷古

 

두보杜甫

105. 월야月夜

106. 춘망春望

107. 춘숙좌성春宿左省

108. 지덕이재보자경금광문출至德二載甫自京金光門出

109. 월야억사제月夜憶舍弟

110. 천말회이백天末懷李白

111. 봉제역중송엄공사운奉濟驛重送嚴公四韻

112. 별방태위묘別房太尉墓

113. 여야서회旅夜書懷

114. 등악양루登岳陽樓

 

왕유王維

115. 망천한거증배수재적輞川閑居贈裴秀才迪

116. 산거추명山居秋暝

117. 귀숭산작歸嵩山作

118. 종남산終南山

119. 수장소부酬張少府

120. 과향적사過香積寺

121. 송재주이사군送梓州李使君

122. 한강림조漢江臨眺

123. 종남별업終南別業

 

맹호연孟浩然

124. 망동정호증장승상望洞庭湖贈張丞相

125. 여제자등현산與諸子登峴山

126. 청명일연매도사방淸明日宴梅道士房

127. 세모귀남산歲暮歸南山

128. 과고인장過故人莊

129. 진중감추기원상인秦中感秋寄遠上人

130. 숙동려강기광릉구유宿桐廬江寄廣陵舊遊

131. 유별왕시어유留別王侍御維

132. 조한강상유회早寒江上有懷

 

유장경劉長卿

133. 추일등오공대상사원조秋日登吳公臺上寺遠眺

134. 송이중승귀한양별업送李中丞歸漢陽別業

135. 전별왕십일남유餞別王十一南遊

136. 심남계상산도인은거尋南溪常山道人隱居

137. 신년작新年作

 

전기錢起

138. 송승귀일본送僧歸日本

139. 곡구서재기양보궐谷口書齋寄楊補闕

 

위응물韋應物

140. 회상희회양천고인淮上喜會梁川故人

141. 부득모우송이주賦得暮雨送李胄

 

한굉

142. 수정연추야즉사견증酬程延秋夜卽事見贈

 

유신허劉脊虛

143. 궐제闕題

 

대숙륜戴叔倫

144. 강향고인우집객사江鄕故人偶集客舍

 

노륜盧綸

145. 송이단送李端

 

이익李益

146. 희견외제우언별喜見外弟又言別

 

사공서司空曙

147. 운양관여한유별숙雲陽館與韓紳宿別

148. 희외제로륜견숙喜外弟盧綸見宿

149. 적평후송인북귀賊平後送人北歸

 

유우석劉禹錫

150. 촉선주묘蜀先主廟

 

장적張籍

151. 몰번고인沒蕃故人

 

백거이白居易

152. 부득고원초송별賦得古原草送別

 

두목杜牧

153. 여숙旅宿

 

허혼許渾

154. 추일부궐제동관역루秋日赴闕題潼關驛樓

155. 조추早秋

 

이상은李商隱

156. 

157. 풍우風雨

158. 낙화落花

159. 양사?

160. 북청라北靑蘿

 

온정균溫庭筠

161. 송인동유送人東遊

 

마대馬戴

162. 파상추거?上秋居

163. 초강회고楚江懷古

 

장교張喬

164. 서변사書邊事

 

최도崔涂

165. 파산도중제야유회巴山道中除夜有懷

166. 고안孤雁

 

두순학杜荀鶴

167. 춘궁원春宮怨

 

위장韋莊

168. 장대야사章臺夜思

 

승교연僧皎然

169. 심육홍점불우尋陸鴻漸不遇

 

6장 칠언율시七言律詩

 

최호崔顥

170. 황학루黃鶴樓

171. 행경화음行經華陰

 

조영祖詠

172. 망계문?

 

이기李頎

173. 송위만지경送魏萬之京

 

최서崔曙

174. 구일등마언대영유명부九日登望仙臺呈劉明府

 

이백李白

175. 등금릉봉황대登金陵鳳凰臺

 

고적高適

176. 송이소부폄협중왕소부폄장사 送李少府貶峽中王少府貶長沙

 

잠삼岑參

177. 봉화중서사인가지조대명궁 奉和中書舍人賈至早朝大明宮

  

왕유王維

178. 화가사인조조대명궁지작和賈舍人早朝大明宮之作

179. 봉화성제종봉래향흥경각도중류춘우중춘망지작응제

奉和聖制從蓬萊向興慶閣道中留春雨中春望之作應制

180. 적우망천장작積雨輞川莊作

181. 수곽급사酬郭給事

 

두보杜甫

182. 촉상蜀相

183. 객지客至

184. 야망野望

185. 문관군수하남하북聞官軍收河南河北

186. 등고登高

187. 등루登樓

188. 숙부宿府

189. 각야閣夜

190. 영회고적詠懷古跡 1

191. 영회고적詠懷古跡 2

192. 영회고적詠懷古跡 3

193. 영회고적詠懷古跡 4

194. 영회고적詠懷古跡 5

 

유장경劉長卿

195. 강주중별설육류할이원외江州重別薛六柳八二員外

196. 장사과가의댁長沙過賈誼宅

197. 자하구지앵주석망악양기원중승 自夏口至鸚洲夕望岳陽寄源中丞

 

전기錢起

198. 증궐하배사인贈闕下裴舍人

 

위응물韋應物

199. 기이담원석寄李?元錫

 

한굉

200. 동제선유관同題仙遊觀

 

황보염皇甫冉

201. 춘사春思

 

노륜盧綸 

202.만차악주晩次鄂州

 

유종원柳宗元

203. 등유주성루기장정봉련사주자사 登柳州城樓寄?汀封連四州刺史

 

유우석劉禹錫

204. 서새산회고西塞山懷古

 

원진元稹

205. 견비회遣悲懷 1

206. 견비회遣悲懷 2

207. 견비회遣悲懷 3

 

백거이白居易

208. 자하남경란自河南經亂

 

이상은李商隱

209. 금슬錦瑟

210. 무제無題 1

211. 수궁隋宮

212. 무제無題 2

213. 무제無題 3

214. 주필역籌筆驛

215. 무제無題 4

216. 춘우春雨

217. 무제無題 5

218. 무제無題 6

 

온정균溫庭筠

219. 이주남도利洲南渡

220. 소무묘蘇武廟

 

설봉薛逢

221. 궁사宮詞

 

진도옥秦韜玉

222. 빈녀貧女

 

7장 칠언율시악부七言律詩樂府

 

심전기沈全期

223. 독불견獨不見

 

8장 오언절구五言絶句

 

왕유王維

224. 녹채鹿柴

225. 죽리관竹里館

226. 송별送別

227. 상사相思

228. 잡시雜詩

 

배적裴迪

229. 송최구送崔九

 

조영祖詠

230. 종남망여설終南望餘雪 

 

맹호연孟浩然

231. 숙건덕강宿建德江

232. 춘효春曉

 

이백李白

233. 정야사靜夜思

234. 원정怨情

 

두보杜甫

235. 팔진도八陣圖

   

왕지환王之渙

236. 등관작루?雀樓

 

유장경劉長卿

237. 송령철送靈澈

238. 탄금彈琴

239. 송상인送上人

 

위응물韋應物

240. 추야기구원외秋夜寄邱員外

 

이단李端

241. 청쟁聽箏

 

왕건王建

242. 신가낭新嫁娘

 

권덕여權德輿

243. 옥대체玉臺體

 

유종원柳宗元

244. 강설江雪

 

원진元稹

245. 행궁行宮

 

백거이白居易

246. 문유십구問劉十九

 

장호張祜

247. 하만자何滿子

 

이상은李商隱

248. 등낙유원登樂遊原

 

가도賈島

249. 심은자불우尋隱者不遇

 

이빈李頻

250. 도한강渡漢江

 

김창서金昌緖

251. 춘원春怨

252.서비인西鄙人 가서가哥舒歌

   

9장 오언절구악부五言絶句樂府

    (253-260)

최호崔顥

253. 장간행長干行 1

254. 장간행長干行 2

 

이백李白

255. 옥계원玉階怨

 

노륜盧綸

256. 새하곡塞下曲 1

257. 새하곡塞下曲 2

258. 새하곡塞下曲 3

259. 새하곡塞下曲 4

 

이익李益

260. 강남곡江南曲

 

10장 칠언절구七言絶句

   

하지장賀知章 (261-311)

261. 회향우서回鄕偶書

 

장욱張旭

262. 도화계桃花溪

 

왕유王維

263. 구월구일억산동형제九月九日憶山東兄弟

 

왕창령王昌齡

264. 부용루송신점芙蓉樓送辛漸

265. 규원閨怨

266. 춘궁곡春宮曲

 

왕한王翰

267. 양주사(凉州詞)

 

이백李白

268. 송맹호연지광릉送孟浩然之廣陵

269. 조발백제성朝發白帝城

 

잠삼岑參

270. 봉입경사逢入京使

 

두보杜甫

271. 강남봉이구년江南逢李龜年

 

위응물韋應物

272. 저주서간?州西澗

 

장계張繼

273. 풍교야박楓橋夜泊

 

한굉 韓翃

274. 한식寒食

 

유방평劉方平

275. 월야月夜

276. 춘원春怨

 

유중용柳中庸

277. 정인원征人怨

 

고황顧況

278. 궁사宮詞

 

이익李益

279. 야상수항성문적夜上受降城聞笛

 

유우석劉禹錫

280. 오의항烏衣巷

281. 춘사春詞

 

백거이白居易

282. 후궁사後宮詞

 

장호張祜

283. 증나인贈內人

284. 집령대集靈臺 1

285. 집령대集靈臺 2

286. 제금릉도題金陵渡

 

주경여朱慶餘

287. 궁사宮詞

288. 근시상장수부近試上張水部

 

두목杜牧

289. 장부오흥등락유원將赴吳興登樂遊原

290. 적벽赤壁

291. 박진회泊秦淮

292. 기양주한작판관寄揚州韓綽判官

293. 유회遣懷

294. 추석秋夕

295. 증별贈別 1

296. 증별贈別 2

297. 금곡원金谷園

 

이상은李商隱

298. 야우기북夜雨寄北

299. 기영호낭중寄令狐郎中

300. 위유爲有

301. 수궁隋宮

302. 요지瑤池

303. 상아嫦娥

304. 가생賈生

 

온정균溫庭筠

305. 요슬원瑤瑟怨

 

정전鄭畋

306. 마외파馬嵬坡

 

한악韓偓

307. 이량

 

위장韋莊

308. 금릉도金陵圖

 

진도陳陶

309. 농서행?西行

 

장필張泌

310. 기인寄人

 

무명씨無名氏

311. 잡시雜詩

 

11장 칠언절구악부 七言絶句樂府

    (312-320)

왕유王維

312. 위성곡渭城曲

313. 추야곡秋夜曲

 

왕창령王昌齡

314. 장신원長信怨

315. 출새出塞

 

왕지환王之渙

316. 출새出塞

 

이백李白

317. 청평조淸平調 1

318. 청평조淸平調 2

319. 청평조淸平調 3

 

두추낭杜秋娘

320. 금루의金縷衣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184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이 블로그에서 정리한 詩三百首 목차와 작품 포스

[메모]

001장구령 -감우感遇 1/4  (0) 에서

020숙업사산방대정대부지(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맹호연  까지와

 

078 도원의 노래  (0) 2016.05.19 에서

106 두보, 봄날의 소망(春望)  까지의 원문과 한국어 번역을 재정리해 본다.'

 

001장구령 -감우感遇 1/4  (0) 2016.03.29

https://kydong77.tistory.com/15121

 

001장구령 -감우感遇 1/4

아래 安秉烈님 번역의 장점은 한시 1행을 번역시 1행으로 처리하는 지금까지의 관습에서 벗어나형식에서 한시 1행을 번역시에서는 4행으로 처리함으로써 의미 단위가 명료해 현대시처럼 이미

kydong77.tistory.com

 

002 장구령 - 감우感遇 2/4  (1) 2016.03.29

http://kydong77.tistory.com/15122

 

002 장구령 - 감우感遇 2/4

002 감우사수지이(感遇四首之二)-장구령(張九齡;673-740) 蘭葉春葳蕤(난엽춘위유)난초잎은 봄에 무성하고, 桂華秋皎潔(계화추교결)계수나무 꽃은 가을에 교결하구나. 欣欣此生意(흔흔차생의)흡족

kydong77.tistory.com

 

003장구령 - 감우感遇 3/4  (0) 2016.03.30

http://kydong77.tistory.com/15123

 

003장구령 - 감우感遇 3/4

003 감우사수지삼(感遇四首之三)-장구령(張九齡;673-740) 幽人歸獨臥(유인귀독와), ;숨어 사는 이 돌아와 홀로 누우니 滯慮洗孤淸(체려세고청). ;고요한 마음지키어 외로운 마음 다 씻었네 持此謝高

kydong77.tistory.com

 

003장구령 - 감우感遇 3/4  (0) 2016.03.30

http://kydong77.tistory.com/15123

 

003장구령 - 감우感遇 3/4

003 감우사수지삼(感遇四首之三)-장구령(張九齡;673-740) 幽人歸獨臥(유인귀독와), ;숨어 사는 이 돌아와 홀로 누우니 滯慮洗孤淸(체려세고청). ;고요한 마음지키어 외로운 마음 다 씻었네 持此謝高

kydong77.tistory.com

 

004장구령 - 감우感遇 4/4  (0) 2016.03.30

http://kydong77.tistory.com/15124

 

004장구령 - 감우感遇 4/4

004감우사수지사(感遇四首之四)-장구령(張九齡;673-740) 江南有丹橘(강남유단귤), ;강남에 단귤나무 經冬猶綠林(경동유녹림). ;겨울이 지나도 푸른 숲이네 豈伊地氣暖(개이지기난), ;어찌 그 땅의

kydong77.tistory.com

 

005 이백 - 하종남산과곡사산인숙치주(下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  (0)

http://kydong77.tistory.com/15132

 

005 이백 - 하종남산과곡사산인숙치주(下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

005하종남산과곡사산인숙치주(下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이백(李白;701-762) 종남산을 내려와 곡사산인의 집 들러.... 暮從碧山下(모종벽산하), ;날 저물어 푸른 산에서 내려오니 山月隨人歸(산월

kydong77.tistory.com

 

006이백 - 월하독작1(月下獨酌1)

http://kydong77.tistory.com/15133

 

006이백 - 월하독작(月下獨酌) 1·2

금년에 처음 만난 서울어린이대공원 벚꽃이다 006월하독작(月下獨酌) 1 ㅡ 이백(李白;701-762) *달빛 아래서 혼자 술을 마신다 花間一壺酒(화간일호주), ;꽃나무 사이에서, 한 동이 술을 獨酌無相親(

kydong77.tistory.com

 

007춘사(春思)-이백 

http://kydong77.tistory.com/15137

 

007이백 -춘사(春思)

007춘사(春思)-이백(李白;701-762) 어느 봄날 님 생각 燕草如碧絲(연초여벽사), ;님 계신 연나라의 풀은 푸른 실과 같고 秦桑低綠枝(진상저녹지). ;이 곳 진나라의 뽕나무는 푸른 가지를 드리웠소 當

kydong77.tistory.com

 

008망악(望岳)-두보 

http://kydong77.tistory.com/15138

 

008두보, 망악(望岳)

008망악(望岳)-두보(杜甫;712-770) 대종산을 바라보며 岱宗夫如何(대종부여하), ;대종산은 어떠한가 齊魯靑未了(제노청미료). ;제나라와 초나라로 이어져 끝없이 푸르구나 造化鐘神秀(조화종신수),

kydong77.tistory.com

 

009증위팔처사(贈衛八處士)-두보

http://kydong77.tistory.com/15142

 

009 두보, 증위팔처사(贈衛八處士)

009증위팔처사(贈衛八處士)-두보(杜甫;712-770) 위팔처사에게 人生不相見(인생부상견) : 사람살이 서로 만나지 못함은 動如參與商(동여삼여상) : 아침저녁에 따로 떠오르는 참성과 상성 같구나 今

kydong77.tistory.com

 

010가인(佳人)-두보  (0)

http://kydong77.tistory.com/15143

 

010두보, 가인(佳人)

010가인(佳人)-두보(杜甫;712-770) 絶代有佳人(절대유가인), ;당대엔 더문 아름다운 사람 있어 幽居在空谷(유거재공곡). ;빈 산골에 혼자 산다오 自云良家子(자운량가자), ;스스로 말하길, 양가의 자

kydong77.tistory.com

 

011夢李白1/2 - 두보  (0)

http://kydong77.tistory.com/15151

 

011두보, 夢李白1/2

011夢李白1(몽이백1)-杜甫(두보) (꿈 속에 이백을 보다) 死別已吞聲 (사별이탄성) : 사별 후의 이별은 소리마저 삼켜버리나 生別常惻惻 (생별상측측) : 생이별 뒤는 항상 슬프기만 하구나 江南瘴癘

kydong77.tistory.com

 

012夢李白2/2 - 두보  (1) 2016.04.03

http://kydong77.tistory.com/15152

 

012두보, 夢李白2/2

012夢李白2(몽이백2)-杜甫(두보) (꿈 속에 이백을 보다) 浮雲終日行 (부운종일행) : 뜬 구름 종일토록 하늘을 떠다녀도 遊子久不至 (유자구불지) : 떠난 친구는 오래도록 오지 않네 三夜頻夢君 (삼

kydong77.tistory.com

 

013송별(送別)-왕유  (0) 2016.04.05

http://kydong77.tistory.com/15155

 

013왕유, 송별(送別)

013송별(送別)-왕유(王維) 送君南浦淚如絲(송군남포루여사): 남포로 그대를 보내려니 눈물이 실처럼 흘러내리고 君向東州來我悲(군향동주래아비) : 그대가 동주로 향해 가니 나는 서글퍼지는구

kydong77.tistory.com

 

014송기무잠낙제환향(送綦毋潛落第還鄕)-왕유  (1) 2016.04.05https://kydong77.tistory.com/15158

 

014왕유, 송기무잠낙제환향(送綦毋潛落第還鄕)

014송기무잠낙제환향(送綦毋潛落第還鄕)-왕유(王維)기무잠이 과거에 떨어져 고향으로 가는 것을 전송하다-왕유(王維)聖代無隱者(성대무은자) : 태평한 시대에 은자는 없어英靈盡來歸(영령진내

kydong77.tistory.com

 

015청계(靑溪)-왕유  (0) 2016.04.08

http://kydong77.tistory.com/15167

 

015왕유, 청계(靑溪)

015청계(靑溪)-왕유(王維;?699-761?) 푸른 개울물 言入黃花川(언입황화천), ;황화천에 들어와 每逐靑溪水(매축청계수). ;푸른 개울물 쫓아간다 隨山將萬轉(수산장만전), ;물 흐르는 산을 따라, 만 굽

kydong77.tistory.com

 

016위천전가(渭川田家)-왕유  (0) 2016.04.08

http://kydong77.tistory.com/15168

 

016왕유, 위천전가(渭川田家)

016위천전가(渭川田家)-왕유(王維;?699-761?) -위천 땅의 농가 斜光照墟落(사광조허낙), ; 지는 해 가난한 촌락 비추고 窮巷牛羊歸(궁항우양귀). ; 좁은 마을길로 소와 양떼들 돌아온다. 野老念牧童(

kydong77.tistory.com

 

017서시영(西施詠)-왕유  (0)

http://kydong77.tistory.com/15184

 

017 왕유, 서시영(西施詠)

[서시 초상화] 017서시영(西施詠)-왕유(王維;?699-761?) 艶色天下重(염색천하중), ;여자의 아름다움은 모든 사람 좋아하니 西施寧久微(서시녕구미). ;미인 서시 어찌 시골에 오래도록 묻혀있겠는가

kydong77.tistory.com

 

018추등난산기장오(秋登蘭山寄張五)-맹호연  (1) 2016.04.12

http://kydong77.tistory.com/15185

 

018맹호연, 추등난산기장오(秋登蘭山寄張五)

제4회 대구 난명품전 대상 작품 http://cafe.daum.net/mj13h/QnS6/3529 018추등난산기장오(秋登蘭山寄張五)-맹호연(孟浩然;689-740) 가을 난산에 올라 장오에게 부치다-맹호연(孟浩然) 北山白云里(배산백운리)

kydong77.tistory.com

 

019하일남정회신대(夏日南亭懷辛大)-맹호연  (0) 2016.04.19

http://kydong77.tistory.com/15215

 

019 맹호연, 하일남정회신대(夏日南亭懷辛大)

019하일남정회신대(夏日南亭懷辛大)-맹호연(孟浩然;689-740) 어느 여름 남정에서 신재를 생각하며-맹호연(孟浩然) 山光忽西落(산광홀서낙), ; 산의 해 홀연히 지고 池月漸東上(지월점동상). ; 못의

kydong77.tistory.com

 

020숙업사산방대정대부지(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맹호연  (0) 2016.04.19

http://kydong77.tistory.com/15216

 

020 맹호연, 숙업사산방대정대부지(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

020숙업사산방대정대부지(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맹호연(孟浩然;689-740) 업사산방에 묵으면서 정대를 기다렸으나 오지 않음-맹호연(孟浩然) 夕陽度西嶺(석양도서령), ; 저녁 해 고개를 넘으니 群

kydong77.tistory.com

 

 

 

 

 

 

106 두보, 봄날의 소망(春望)  (1) 2016.07.15

http://kydong77.tistory.com/15582

 

106 두보, 봄날의 소망(春望)

일본의 일방적 침공을 받은 왜란을 겪으며 한국에서도 널리 회자된 시구다. 國破山河在(국파산하재) 城春草木深(성춘초목심) 106 杜甫(두보) 春望(춘망) - 봄의 소망 國破山河在(국파산하재) : 조

kydong77.tistory.com

 

 105 두보, 월야(月夜)  (0) 2016.07.15

http://kydong77.tistory.com/15581

 

105 두보, 월야(月夜)

105 월야(月夜)-두보(杜甫;712-770) -달밤 今夜鄜州月,(금야부주월),오늘 밤 부주 하늘의 달을 閨中只獨看.(규중지독간).아내 홀로 바라보리 遙憐小兒女,(요련소아녀),멀리서 어린 딸을 가여워하나니

kydong77.tistory.com

 

 104 이백, 밤에 우저에 정박하며 옛일을 회고하다  (1) 2016.07.14

http://kydong77.tistory.com/15577

 

104 이백, 밤에 우저에 정박하며 옛일을 회고하다

104 야박우저회고(夜泊牛渚懷古)-이백(李白;701-762) -밤에 우저에 정박하며 옛일을 회고함 牛渚西江夜,(우저서강야),우저산 서편 장강의 밤 靑天無片雲.(청천무편운).푸른 하늘엔 조각구름 하나 없

kydong77.tistory.com

 

103 이백, 촉의 스님 준의 거문고 타는 소리를 듣고  (0) 2016.07.14

http://kydong77.tistory.com/15576

 

103 이백, 촉의 스님 준의 거문고 타는 소리를 듣고

103 청촉승준탄금(聽蜀僧浚彈琴)-이백(李白;701-762) 촉의 스님 준의 거문고 타는 소리를 듣고 蜀僧抱綠綺,(촉승포녹기),촉의 스님이 녹기라는 거문고를 안고 西下峨眉峰.(서하아미봉).서쪽으로 아

kydong77.tistory.com

 

102 이백, 송우인(送友人)  (0) 2016.07.13

http://kydong77.tistory.com/15571

 

102 이백, 송우인(送友人)

한국 최고의 한시 고려조 정지상의 과 제목이 같다. 정지상의 해설은 아래 포스트에 있다. 표현은 왕유의 과 동일하다. 관련 설화도 소개한다. 013송별(送別)-왕유 김영동, 정지상 한시의 영원한

kydong77.tistory.com

 

101 이백, 배를 타고 형문을 지나서 송별하다  (0)

http://kydong77.tistory.com/15570

 

101 이백, 배를 타고 형문을 지나서 송별하다

101 도형문송별(渡荊門送別)-이백(李白;701-762) -형문을 건너 송별하다 渡遠荊門外,(도원형문외), 먼 형문 밖 건너와 來從楚國游.(내종초국유). 초나라에 노닌다 山隨平野盡,(산수평야진), 산은 넓

kydong77.tistory.com

 

100 이백, 맹호연에게 드린다  (1) 2016.07.12

  http://kydong77.tistory.com/15566

 

100 이백, 맹호연에게 드린다

100 증맹호연(贈孟浩然)-이백(李白;701-762) -맹호연에게 드립니다 吾愛孟夫子,(오애맹부자),나는 맹 선생님을 좋아하지요 風流天下聞.(풍류천하문).그의 풍류는 세상이 다 알지요 紅顔棄軒冕,(홍안

kydong77.tistory.com

 

099 잠삼,좌성의 두보에게 주다  (0) 2016.07.12

http://kydong77.tistory.com/15565

 

099 岑參, 좌성의 두보에게 주다

099 기좌성두습유(寄左省杜拾遺)-잠참(岑參) -좌성에 있는 두 습유에게 聯步趨丹階(연보추단계) : 우리 나란히 궁중에 들어와 分曹限紫微(분조한자미) : 업무가 달라 나는 중서성에 떨어져 있네.

kydong77.tistory.com

 

098 상건 - 파산사 뒤의 선원에서  (0) 2016.07.07

http://kydong77.tistory.com/15544

 

098 상건 - 파산사 뒤의 선원에서

098 제파산사후선원(題破山寺后禪院)-상건(常建) 파산사 뒤의 선원에서 淸晨入古寺,(청신입고사), 맑은 새벽 옛 절을 찾아드니 初日照高林.(초일조고림). 떠오르는 해 높은 숲을 비춘다 曲徑通幽

kydong77.tistory.com

 

097 왕만 - 북고산 아래에서  (0) 2016.07.07

http://kydong77.tistory.com/15543

 

097 왕만 - 북고산 아래에서

097 차북고산하(次北固山下)-왕만(王灣) 북고산 아래에서 客路靑山外,(객노청산외), 나그네 가는 길은 청산 밖이요 行舟綠水前.(항주녹수전). 떠나는 배의 길은 푸른 물결 앞이라네 潮平兩岸闊,(

kydong77.tistory.com

 

096 송지문, 대유령 북역에서 시를 짓다  (1) 2016.07.05

http://kydong77.tistory.com/15538

 

096 송지문, 대유령 북역에서 시를 짓다

096 제대유령북역(題大庾嶺北驛)-송지문(宋之問) 대유령 북역에서 시를 짓다 陽月南飛雁,(양월남비안), 시월에 남으로 날아가는 기러기 傳聞至此回.(전문지차회). 들으니, 여기에 와서는 돌아간

kydong77.tistory.com

 

095 심전기, 잡시(雜詩)  (1) 2016.07.01

http://kydong77.tistory.com/15517

 

095 심전기, 잡시(雜詩)

095 잡시(雜詩) -심전기(沈全期) 聞道黃龍戍,(문도황룡수), 소문 들으니, 황룡 땅에 수자리 頻年不解兵.(빈년부해병). 해 넘겨도 병사들 제대 못한다네 可憐閨裏月,(가련규리월), 가련하다, 규방 속

kydong77.tistory.com

 

094 두심언, 진릉 육승상의‘조춘유망’시에 화답하여  (0) 2016.07.01

http://kydong77.tistory.com/15516

 

094 두심언, 진릉 육승상의‘조춘유망’시에 화답하여

094 화진릉노승조춘유망(和晉陵路丞早春游望) -두심언(杜審言) 진릉 육승상의‘조춘유망’시에 화답하여-두심언(杜審言) 獨有宦游人(독유환유인) : 홀로 타관에서 벼슬하는 사람 偏驚物候新(편

kydong77.tistory.com

 

093 낙빈왕, 옥에 갇혀서 매미를 노래하다  (0) 2016.06.30

http://kydong77.tistory.com/15513

 

093 낙빈왕, 옥에 갇혀서 매미를 노래하다

093 재옥영선병서(在獄詠蟬幷序)-낙빈왕(駱賓王) -옥에 갇혀서 매미를 노래하다 西路蟬聲唱(서노선성창) : 가을에 매미가 우니 南冠客思侵(남관객사침) : 죄인의 몸 향수에 젖는다. 那堪玄鬢影(나

kydong77.tistory.com

 

092 왕발, 두소부가 촉주로 감을 전송하다  (0) 2016.06.30

http://kydong77.tistory.com/15512

 

092 왕발, 두소부가 촉주로 감을 전송하다

092 송두소부지임촉주(送杜少府之任蜀州)-왕발(王勃) 두소부가 촉주로 부임하는 것을 전송함 城闕輔三秦,(성궐보삼진),성안의 궁궐 삼진이 에워쌓고 風煙望五津.(풍연망오진).풍경은 장강 다섯

kydong77.tistory.com

 

091 망월회원(望月懷遠) 달을 바라보며 옛님을 생각하다  ,장구령

http://kydong77.tistory.com/15508

 

091 장구령,망월회원(望月懷遠), 달을 바라보며 옛님을 생각하다

091 망월회원(望月懷遠) (달을 바라보며 멀리 있는 사람을 그리워하다) ㅡ장구령(張九齡;673-740) 海上生明月, (해상생명월), 바닷가에 밝은 달 떠오르니 天涯共此時. (천애공차시). 저 하늘 끝에서

kydong77.tistory.com

 

090 추노를 지나며 공자를 제사하고 탄식하다 ,당 현종

http://kydong77.tistory.com/15507

 

090 당현종(唐玄宗),추노를 지나며 공자를 제사하고 탄식하다

卷三 五言律詩(090-169) 090 경추노제공자이탄지(經鄒魯祭孔子而嘆之)-당현종(唐玄宗) 추노를 지나며 공자를 제사하고 탄식하다 夫子何爲者,(부자하위자), 공자는 무엇 하는 분이기에 棲棲一代中.(

kydong77.tistory.com

 

089 두보 - 애왕손(哀王孫) 왕손을 슬퍼하다

http://kydong77.tistory.com/15504

 

089 두보 - 애왕손(哀王孫) 왕손을 슬퍼하다

089 애왕손(哀王孫) -두보(杜甫;712-770) 왕손을 슬퍼하다 長安城頭頭白烏,(장안성두두백오), 장안성 머리에 머리 흰 새 夜飛延秋門上呼.(야비연추문상호). 밤에 연추문 위를 날며 소리쳐 운다 又向

kydong77.tistory.com

 

088 두보 - 애강두(哀江頭) 강가에서 슬퍼하다

http://kydong77.tistory.com/15503

 

088 두보 - 애강두(哀江頭) 강가에서 슬퍼하다

088 애강두(哀江頭) -두보(杜甫;712-770) 강가에서 슬퍼하다 少陵野老呑聲哭,(소능야노탄성곡), 소릉의 촌로는 울음을 삼키고 통곡하며 春日潛行曲江曲.(춘일잠항곡강곡). 어느 봄날 몰래 곡강으로

kydong77.tistory.com

 

087 두보, 려인행(麗人行) 미인들

http://kydong77.tistory.com/15485

 

087 두보, 려인행(麗人行)- 미인들

087 려인행(麗人行) ㅡ 두보(杜甫;712-770) * 제목의 '行'은 詩 형식임을 나타내는 말. 三月三日天氣新, (삼월삼일천기신),삼월 삼짇날 날씨도 맑아 長安水邊多麗人. (장안수변다려인).장안 물가에는

kydong77.tistory.com

 

086 두보 - 兵車行 병거의 노래

http://kydong77.tistory.com/15478

 

086 두보 - 兵車行 병거의 노래

086 병거행(兵車行)-두보(杜甫;712-770) 병거의 노래 車轔轔(거린린),수레소리 덜덜거리고 馬蕭蕭,(마소소),말 우는 소리 쓸쓸하구나 行人弓箭各在腰.(항인궁전각재요).출정하는 군인들 모두 허리에

kydong77.tistory.com

 

085 이백 - 將進酒 술을 올립니다

http://kydong77.tistory.com/15477

 

085 이백 - 將進酒/ 술을 올립니다

將進酒 노래 https://www.youtube.com/watch?v=TCoUVoCwocM 085 장진주(將進酒)-이백 술을 올리려네 君不見,(군부견)그대는 보지 못 했는가 黃河之水天上來(황하지수천상내) : 황하의 물 하늘에서 내려 奔流到

kydong77.tistory.com

 

084 行路難 살아가기 어려워라 3/3 ,李白

http://kydong77.tistory.com/15463

 

084 이백(李白),行路難 살아가기 어려워라 3/3

084 行路難 -이백(李白;701-762) -살아가기 어려워라 其三 귀 있어도 영천 물에 씻지 말고 입 있어도 수양산 고사리 먹지 말지니. 빛을 감추고 세상에 섞이어 이름 없음 귀하거니 무엇하려 고고(孤高

kydong77.tistory.com


083 行路難 -살아가기 어려워라 2/3 ,李白

http://kydong77.tistory.com/15462

 

083 이백(李白),行路難 -살아가기 어려워라 2/3

083 行路難 2/3 -이백(李白;701-762) -살아가기 어려워라 其二 세상의 큰 길 푸른 하늘과 같은데 나 홀로 출세하지 못했구나. 장안의 귀공자 따르기를 부끄러워하나니 개 달리기 닭싸움에 배와 밤 내

kydong77.tistory.com

 

082 行路難 -살아가기 어려워라 1/3  ,李白

http://kydong77.tistory.com/15461

 

082 이백(李白),行路難 -살아가기 어려워라 1/3

082 行路難 -이백(李白;701-762) -살아가기 어려워라 1/3 금항아리 맑은 술 한 말 값이 만냥 옥반에 좋은 안주 일만 냥의 값어치라 잔 멈추고 젓가락 던져 먹지 못하고 칼 빼어 동서남북 둘러봐도 마

kydong77.tistory.com

 

081 長相思 길이그리워라 2/2李白

https://kydong77.tistory.com/15456

 

081 이백(李白),長相思 길이그리워라 2/2

081 長相思 二首之二 -이백(李白;701-762) 길이 그리워라 其二 해는 지고 꽃은 안개 머금고 달은 밝아 희어져도 근심에 잠 못 이룬다. 조슬을 잠깐 타다 봉황주에 멈춰두고 초금으로 원앙현을 타려

kydong77.tistory.com

 

080 長相思 길이 그리워라 1/2    李白
 

李白   〈촉도난>의 해제 해설과 구성  (0) 

http://kydong77.tistory.com/15345

 

이백〈촉도난>의 해제 해설과 구성

〈촉도난(蜀道難)>의 해제 해설과 구성 해제 장안에서 촉(蜀), 즉 지금의 사천(四川) 지역으로 갈 때 지나는 잔도(棧道)로 이어진 길의 험난함을 노래한 것으로, 상화가사(相和歌辭) 중의 하나이

kydong77.tistory.com

 

李白 

http://kydong77.tistory.com/15346

 

李白

이백 李白 (701년 ~ 762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25333&cid=41748&categoryId=41751 자가 태백(太白)이고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이다. 이백의 어머니가 태백성을 태몽으로 꾸어 이백을 낳자 자를

kydong77.tistory.com

 


079 촉으로 가는 길의 어려움  ,李白

http://kydong77.tistory.com/15344

 

079 이백(李白), 촉으로 가는 길의 어려움

079 蜀道難 촉으로 가는 길의 어려움 제1단:신화와 태백산의 광경 아, 위험하고 높음이여, 촉으로 가는 길의 어려움이여. 푸른 하늘 오름보다 더 어렵구나. 촉나라 임금의 선조들이여 개국은 아득

kydong77.tistory.com

 

078 도원의 노래 , 왕유

http://kydong77.tistory.com/15343

 

078 왕유, 도원의 노래

당시300수 안병렬님의 신역의 타자치기를 마치고 우선 기억에 떠오르는 두 수를 정리해 본다. 078 桃源行 도원의 노래 고깃배 물 따라 흘러가면 봄날의 산 경치 사랑하나니 두 언덕의 복사꽃 나루

kydong77.tistory.com

 

 

김영동, 정지상 한시의 영원한 생명력  (0) 2016.04.05

http://kydong77.tistory.com/15157

 

김영동, 정지상 한시의 영원한 생명력

서경 천도 운동, 묘청 [동영상]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51607&cid=51704&categoryId=51704#api * 정지상 한시의 영원한 생명력, 동악어문론집 제31집, 1996년. 논문이어서 각주가 복사되지 않네요. 양지

kydong77.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