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상천하 유아독존'의 의미

https://www.youtube.com/watch?v=_eb2jxDK3Qc

 

한글 천수경  - 영인스님

https://www.youtube.com/watch?v=gr9hJgEMcxk

https://www.youtube.com/watch?v=gr9hJgEMcxk&t=144s

 

[추가]

아래에 순서대로 정리한 포스트 주소를 클릭하면 저작권 침해로 연결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러나 바로 아래  빨간 글씨를 클릭하면 화면 오른쪽에서 유튜브 창에 지금도 연결할 수 있어 법륜스님의 말씀을 들 수 있습니다.

아래 빨간 글씨를 클릭하여 유튜브 창을 확인하시기 바랍니


https://www.youtube.com/watch?v=7riWLOwH4X8&index=5&list=PL9O_DAnSPnfo6ZJBfiwdHjCN9ZzYtk34l

여기에도 7, 8, 23강 [비공개]로 나오네요.

강의 제목만 싣습니다. 내용은 우즉 그림을 클릭하세요.


법륜스님 - 반야심경 해설

 제01강 반야심경 개관

제02강 반야심경의 배경

제03강 보살이란?

제04강 관자재보살

제05강 애쓸 것 없는경지-육바라밀(1)

 

제06강 애쓸 것 없는경지-육바라밀(2).

제07강 조견오온개공(照見五蘊皆空)

제08강 도일체고액(度一切苦厄)

제09강 부처님 십대제자-사리자

제10강 무상 - 일체는 변한다.

 

제11강 무아 일체는 연관되어 있다 (1)

제12강 무아 - 일체는연관되어있다(2)

제13강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1)

제14강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2)

제15강 空의 도리

 

제16강 소승교설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비판.

제17강 대승의 공사상 입장에서 본소승교설의 비판.

제18강 12연기.

제19강 사성제

제20강 무지역무득.(凡所有相 皆是虛妄)

 

제21강 가장 신비하고 밝고 높은 진언 반야바라밀다(1)

제22강 가장 신비하고 밝고 높은 진언 반야바라밀다(2)

제23강 반야바라밀다의 진언

제24강 반야심경 총정리(1)

제25강 반야심경 총정리(2)

 

법륜스님 - 괴로움도 마음의 습관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sJv1OULYFiI

법륜스님 - 진짜 귀신이 있나요?

https://www.youtube.com/watch?v=yYobEUjA0r8

"귀신이산다" 무속인 김설희

https://www.youtube.com/watch?v=RR1Y7R3WK9U

"속설검증! 믿거나 말거나" 무속인 김설희

https://www.youtube.com/watch?v=LYvOTYtH3Y0

 

반야심경 · 화엄경 · 금강경 · 신묘장구대다라니 · 천수경 · 지장경

https://www.youtube.com/watch?v=36o-Z3ge8BM

[독경소요시간 3시간11:59]

 

반야심경  - 영인스님

https://www.youtube.com/watch?v=tZCA8Uz9fRs

華嚴經略纂偈(화엄경약찬게)원문.해석문 - 영인스님

https://www.youtube.com/watch?v=ANUtRA7Pmyg

금강경 - 영인스님

https://www.youtube.com/watch?v=bCRzo7s5ERU

 

신묘장구대다라니 21독 - 통도사 대중 스님들

https://www.youtube.com/watch?v=Un4E9CJzk4c

신묘장구대다라니 21독, 송광사 대중스님들

https://www.youtube.com/watch?v=4ZDs4ebMaKc

 

천수경  - 영인스님

https://www.youtube.com/watch?v=BJtsDEB5pFI

천수경 - 영인스님 3회 독송

https://www.youtube.com/watch?v=CQg8l35SDEY

 

조계사 천수다라니 (한글 자막)

https://www.youtube.com/watch?v=pgOXmcJHudQ

우리말 지장경(1~13품 총망라, 해설자막 포함) - 영인스님 (3시간 50분)

https://www.youtube.com/watch?v=o685qzQtp10

 

 

https://www.youtube.com/watch?v=ScT7DcBApMA&t=24s

 

https://www.youtube.com/watch?v=m1yoC0VzTEs

 

 

https://kydong77.tistory.com/20640

 

붓다의 가르침/ 3學 · 4성제(四聖諦) · 8정도(八正道) · 12연기(緣起)

www.youtube.com/watch?v=NEr14e7C5-M ko.wikipedia.org/wiki/%EC%82%AC%EC%84%B1%EC%A0%9C

kydong77.tistory.com

 

[참고]

이 블로그의 오른쪽 메뉴 <카테고리> 아래 <분류전체보기> 앞의 [T]자를 클릭하시면 세부 분류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제목을 클릭하거나

제목을 복사하여 오른편 메뉴 <글쓰기> 아래의 검색란에 붙이면 검색이 가능합니다.

 

불교 불경 (1201)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category/불교 불경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티스토리]

위는 3차 추가분입니이다.

 

불경 (427) N

 

15:03:08 불경 목록

http://kydong77.tistory.com/10202

 

불경 목록/ 불교 불경(1201) 3차 추가분

https://www.youtube.com/watch?v=ScT7DcBApMA&t=24s https://www.youtube.com/watch?v=m1yoC0VzTEs https://kydong77.tistory.com/20640 붓다의 가르침/ 3學 · 4성제(四聖諦) · 8정도(八正道) · 12연기(緣起) www.youtube.com/watch?v=NEr14e7C5-M k

kydong77.tistory.com

 

 

2008/09/28

팔정도 -해탈에 이르는 길

 

 

2011/10/14 三千大千世界

 

2011/10/23 붓다, 병든 자를 만나다 /사문유관 02

 

2011/10/26 사람의 목숨은 아주 짧고 온갖 괴로움만 많나니

 

2011/11/10 종덕경 03

10

2011/11/12 축생부 01

 

2011/11/15 축생부 05

 

2011/11/17 축생부 09

 

2011/11/24 축생부 11

 

2011/11/28 축생부 15

5

2011/12/01 4.계환자의 우물에 있던 양괴 축생부 19

 

2011/12/01 7.서국행기의 인간과 축생의 교잉괴 /축생부 23

2012/05/28 사성제와 팔정도

2012/02/28 삶이란 위기의 연속

2012/02/23 석가모니불의 사유방식 01

 

 

2012/03/01 보시의 철학

 

 

 

 

https://www.youtube.com/watch?v=LMRpDIN8CEA 

 

석가모니 부처님의 최초의 설법

- 사성제와 팔정도

https://www.youtube.com/watch?v=l_s8ZoB1Y6k

 

  사성제와 팔정도 http://cafe.naver.com/jungjin37/205


사성제와 팔정도 ◑

사성제(四聖諦)

사성제는 '네가지 거룩한 진리'라는 말이다.
고(苦) 집(集) 멸(滅) 도(道)의 네가지를 설하신
부처님 최초의 법문이다

마치 의사가 병을 치료함에 있어 병이 무엇인가를 알고
그 원인을 알아 낸 다음, 건강한 상태의 정상적인 표준을 알아서
거기에 맞는 치료 방법을 강구하듯이, '고→ 집→멸'을 알고
멸에 이르는 바른길을 행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1) 고성제(苦聖諦)

우리 인생의 현실은 고(苦)라는 것으로
경전은 8가지 괴로움을 들고 있다.
생노병사와 애별리고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괴로움
미워하는 사람과 만나야하는 괴로움,원하는일이 이루어지지않는
괴로움 오온(안,이,비,설,신)에 집착하는 괴로움) 등 8가지이다

불교에서 '괴롭다'라고 말할 때,
그것이 인생에서의 행복을 전면 부정한 것은 아니다.
부처님은 일반적으로 물질적 정신적인 여러 형태의 행복을 인정하였다.
그러 한 행복을 인정하고 찬양한 후, 그것들은 '무상하고 괴롭고
변하기 쉽다'라고 하였다.

즉 무상한 것은 무엇이든지 괴롭다는 속성을 가진 의미에서
괴로움인 것이다.

(2) 집성제(集聖諦)

괴로움의 집(苦集)이라는 성제는 위에서 말한 괴로움이
어떻게 해서 발생하게 되는가의 이유를 밝혀주고 있다.

집(集)이라는 술어는 원래 '결합하여 일어난다'는 뜻으로
이는 괴로움은 연기(緣起)한 것이라는 명백한 사실을 가리킨 것이다.
경에서는 집성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

그것(集)은 재생(再生)의 원인이 되는
갈애로서 격렬한 탐욕에 묶여 있으며,
여기저기 새로운 기쁨을 찾아 나선다.

다시 말해 그것은 욕애(감각적 쾌락에 대한 갈망),
유애(존재 그 자체와 형성에 대한 갈망),
무유애(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갈망)등이다'

인간에게 온갖 괴로움과 윤회를 불러 일으키는 것은
여러가지 형태로 그 모습을 드러내는 탐욕 욕망 갈애 열망등이다.

그러나 연기법에서 보았듯이 모든것은 상대적이며
상호 의존적이기 때문에 하나의 절대적인 원인이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오히려 고의 근본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는 탐욕도 다른 것,
즉 느낌(受)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이며,
이 느낌은 접촉(觸)에 의해서 일어나게 되어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
으로 순환되면서, 결국 연기적 의미의 '집 (集, 緣起)'이 되는 것이다.

(3) 멸성제(滅聖諦)

괴로움의 멸이라는 성스러운 진리는 집제와 정확하게 반대되는 개념이다.
고의 원인이 애 탐등의 집기라면 무명의 멸진을 통해
우리는 그 괴로움 을 근본적으로 극복할 수가 있을 것이다.

괴로움의 멸이라는 성제는 우리에게 이 명백한 사실을 깨우쳐주고,
동시에 괴로움이 사라진 그러한 종교적 경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지를 원적, 혹은 열반이라고 하여,
모든 번뇌의 속박에서 해탈하고 생사를 초월하여
불생불명의 진리를 체득한 경지를 말한 것이다.

(4) 도성제 (道聖諦)

도제는 열반에 이르는 방법 곧 실천하는 수단을 말한다.
그 방법은 여덟가지의 수행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가 곧 팔정도의 수행방법이다.

괴로움의 멸에 이르는 길이라는 도성제는 위에서 제시된
멸의 경지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즉 고의 멸진에 이르는 구체적인 실천항목인 것이다.

종교의 생명은 말하는데 있는것이 아니라, 걸어가는데 있다는 말이 있다.
걸어간다는 것은 곧 실천수행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성제는 이처럼 고 집 멸 도의 네가지 진리이다.
고는 집의 결과 즉 현실 이며 집은 고의 원인이다
멸은 도의 결과 즉 현실 이며 도는 멸의 원인이다

도성제의 구체적인 실천 항목으로서는
'성스러운 팔지(八支)의 길'이라 불리우는 팔정도가 있다.

팔정도(八正道)

(1) 정견 (正見)
정견은 [바로봄]을 뜻한다. 곧 올바른 견해이다.
이 정견은 유무(有無)의 편견을 벗어난 정중(正中)의 견해이다.
곧 사(사)와 정(正)을 분별하는 견해이고 바른 견해로 편견없이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다. 여실지견(如實知見)이라고도 한다.
바로 보는 것이 바른 삶의 시작이다.

(2) 정사유(正思惟)
정사유는 올바른 생각이다.
다시 말하면 자신의 입장을 바르게 생각하는 것을 말하고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고 이치에 맞게 생각하는 것이다.
또한 '바르게 사유한다. 바르게 마음먹는다.'는 뜻이다

(3) 정어 (正語) 올바른 말,
곧 온갖 망어(妄語) 사어(사語)등을 하지 않는 말이 정어이다.
올바른 생각에 의해 하는 말이고 항상 바른 생각과 바른 말을 하여
구업을 짖지 말고 상대방을 존중하는 부드러운 말을 해야 한다.

이는 '진실되고 올바른 언어생활'을 말한다.
즉 거짓말, 꾸며대는 말, 서로 이간시키는 말, 남을 성나게 하는 말
등을 하지 않는 것으로 '바른 견해'의 적극적 실천이다.

(4) 정업 (正業)
올바른 행위,
살생이나 도둑질 따위의 악한 행위를 하지 않고
선한 행위를 하는 것이다.
이것도 역시 '바른 견해'의 적극적 실천인 것이다.

(5) 정명 (正命)
'올바른 생활 수단'을 말하는 것으로
바른 견해에 입각한 전체적인 생활에 있어
바른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실천하는 것이다.
이는 곧 정당한 방법으로 의식주를 구하는 것으로 남과 나를
다같이 이롭게 하는 바른 직업을 갖는 것도 그 뜻의 하나이다.

(6) 정정진 (正精進)
올바른 노력, 한 마음으로 노력해 나가는 것을 뜻한다.
이는 곧 노력으로 인하여 아직 발생하지 아니한 악을 나지 못하게 하며,
나지 아니한 선을 발생하게 하는 일이며,
옳은 일에는 물러섬이 없고 밀고 나가는 정열과 용기를 뜻하기도 한다.
이는 바로 불자의 구도 자세라 할 수 있다.

(7) 정념(正念)
올바른 정신과 생각, 사념을 버리고 항상 향상을 위하여
정신을 집중시키는 것을 말하며 바른 생각을 말한다.
또한 '바르게 기억하는 것'으로 생각할 바에 따라 잊지 않는 것이다.

참된 진리를 항상 명심하고 기억하여 다른 잡념이 일어 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정사유와 함께 내면적인 마음의 기초를
확고하게 다니는 것이다.
그렇게 하여 그 마음속에 정견 (正見)이 가득차고
항상하도록 하는 것이다.

(8) 정정 (正定)
'바르게 집중(集中)'한다는 말로서, 마음을 한 곳에 모으는 것인데
'삼매(三昧)' 라는 음역어를 통해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수행법이다.

이는 정념이 더욱 깊어진 상태로서,
정념의 성취로 몸과 마음의 조화가 이루어지고 지극히 잘 조화되고
통일된 마음에 온갖 번뇌와 어지러운 대상이 모두 쉬게 되면서
마치 가을 하늘에 지혜의 달이 뚜렷이 빛나는 경지를 뜻한다.

 

https://kydong77.tistory.com/21172

 

경주남산 암벽에 조각한 신라인들의 佛心/사성제(四聖諦) 八正道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三陵溪谷磨崖石迦如來坐像) https://www.youtube.com/watch?v=_3fF40cDmCQ&t=20s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6558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三陵溪谷磨崖石迦如來..

kydong77.tistory.com

 

 

 


삼장법사 구마라집이 한역한 <중경찬잡비유경(衆經撰雜譬喩經)>에는 첫머리에

보시를 실었다. 피땀 흘려 벌어서 소비욕구를 참아가며 애써 모은 재산을 아무런 대가없이

선뜻 보시한다는 것은, 그것도 기쁜 마음으로 보시한다는 것은 참으로 지난한 일이다.

그러나 불교적 사고의 출발점인 무상(無常, 변화)을 전제하면 다소 이해는 간다.

중경찬 잡비유경(衆經撰雜譬喩經) 상권

비구 도략 집 요진 삼장법사 구마라집 한역

1

[0531b10]

智者思惟 財物不可久保,

지혜로운 사람은

재물을 오래 보전할 수 없다는 것을 생각한다.

譬如失火之家。

黠慧之人 明識火勢,

火未至時 急出財物,

그것은 마치 집에 불이 났을 때,

지혜로운 사람은 불의 형세를 밝게 알아

불이 아직 이르기 전에 급히 재물을 끌어내어 놓으므로,

舍雖燒盡 財寶全在,

更修屋宅 廣開利業。

비록 집은 모두 타버리더라도

재물만은 건져

다시 집을 수리하여

이로운 직업을 널리 경영하는 것과 같다.

智人植福 勤修布施 亦復如是,

知身危脆 財物無常,

遇值福田 及時布施,

亦如彼人 火中出物,

지혜로운 사람이 복을 심으려고

부지런히 보시를 닦는 것도 그와 같아서

몸의 위태함과 재물의 덧없음을 알고

복밭을 만나면 곧 보시하나니,

그것은 마치 저 사람이

불 속에서 물건을 끌어내는 것과 같으며,

後世受樂,亦如彼人

更修宅業 福利自慰。

후세의 복을 받는 것은

저 사람이

다시 집을 수리하고 직업을 경영하여

복과 이익으로 스스로 위로하는 것과 같다.

愚惑之人 但知惜念,

怱怱營救 狂惑失智,

不量火勢 猛風絕燄 土石俱燋,

須臾之頃 蕩然滅盡,

그러나 어리석은 사람은 다만 아낄 줄만 알고

허덕여 구(救)하면서도

미치고 미혹하여 지혜를 잃고는

불의 형세를 헤아리지 못하다가,

사나운 바람과 왕성한 불꽃에

흙과 돌이 함께 타면서

잠깐 동안에 모든 것이 없어진다.

屋既不救 財物喪失,

飢寒凍餓 憂苦畢世。

집도 구하지 못하고 재물도 잃어버린다.

그리하여 굶주림과 추위에 얼고 주리면서

걱정과 괴로움으로 일생을 마친다.

慳惜之人 亦復如是,

不知身命無常 須臾叵保,

而便聚斂 守護愛惜,

재물을 아끼는 사람도 그와 같아서,

몸과 목숨은 덧없는 것으로서

잠깐 동안도 보전하기 어려움을 알지 못하고,

재물을 긁어모으고는

지키고 보호하며 사랑하고 아끼지만,

死來無期 忽然殞逝,

形如土木 財物俱棄,

亦如愚人 憂苦失計。

죽음은 기약 없이 닥쳐와 갑자기 죽어

몸은 흙이나 나무와 같고

재물도 함께 버리나니,

마치 저 어리석은 사람이

계책을 잃고 근심하며 괴로워하는 것과 같다.

明慧之人 乃能覺悟,

知身如幻 財不可保,

萬物無常 惟福可恃,

將人出苦 可得成道。

그러나 지혜로운 사람은 그것을 잘 깨닫고는,

몸은 허깨비 같고 재물은 보전할 수 없으며

만물은 덧없고 복만이 믿을 수 있음을 안다.

그리하여 그는 사람을 인도하여 괴로움에서 벗어나

도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