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_Jdv0R7abRs
https://www.youtube.com/watch?v=W_DsQkSC5zo
詩經 311편 총목차 & 305편 작품과 국역 목록
https://kydong77.tistory.com/19521?category=486549
국풍(國風) |
총 160편 | ||
한자 | 한글 | 번호 | |
01 | 周南 | 주남 | 001-011 |
02 | 召南 | 소남 | 012-025 |
03 | 邶風 | 패풍 | 026-044 |
04 | 鄘風 | 용풍 | 045-054 |
05 | 衛風 | 위풍 | 055-064 |
06 | 王風 | 왕풍 | 065-074 |
07 | 鄭風 | 정풍 | 075-095 |
08 | 齊風 | 제풍 | 096-106 |
09 | 魏風 | 위풍 | 107-113 |
10 | 唐風 | 당풍 | 114-125 |
11 | 秦風 | 진풍 | 126-135 |
12 | 陳風 | 진풍 | 136-145 |
13 | 檜風 | 회풍 | 146-149 |
14 | 曹風 | 조풍 | 150-153 |
15 | 豳風 | 빈풍 | 154-160 |
소아(小雅) | 총 74편 | ||
01 | 鹿鳴之什 | 녹명지습 | 161-170 |
02 | 白華之什 | 백화지습 | 170-175 |
03 | 彤弓之什 | 동궁지습 | 175-185 |
04 | 祈父之什 | 기부지습 | 185-195 |
05 | 小旻之什 | 소민지습 | 195-205 |
06 | 北山之什 | 북산지습 | 205-215 |
07 | 桑扈之什 | 상호지습 | 215-225 |
08 | 都人士之什 | 도인사지습 | 225-234 |
대아(大雅) | 총 31편 | ||
01 | 文王之什 | 문왕지습 | 235-244 |
02 | 生民之什 | 생민지습 | 245-254 |
03 | 蕩之什 | 탕지습 | 255-265 |
송(頌) | 총 40편 | ||
01 | 周頌 | 주송 | 266-296 |
01a | -清廟之什 | 청묘지습 | 266-275 |
01b | -臣工之什 | 신공지습 | 276-285 |
01c | -閔予小子之什 | 민여소자지습 | 286-296 |
02 | 魯頌 | 노송 | 297-300 |
03 | 商頌 | 상송 | 301-305 |
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 思無邪니라
자왈 시삼백 일언이폐지 왈 사무사
[논어(論語) 위정(爲政)편 2장]
라 했으나 현전하는 작품은 305편이고
笙詩를 합하면 311펀이 된다.
공자는“시경시집 305 편은 한마디로 요약하면, 순수한 생각과 사실성에 바탕한 純正한 생각과 정서의 표현임을 위와 같이 말했다. 이는 곧 공자의 詩觀이라 할 수 있다.
笙詩[가락만 남고 한시 작품 망실] 6편名
170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제10편 남해(南陔)[笙詩]
171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1편 백화(白華) [笙歌,笙詩]
172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2편 화서(華黍)[笙歌,笙詩]
174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4편 유경(由庚)[笙歌,笙詩]
176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6편 숭구(崇丘)[笙歌,笙詩]
178 小雅- 南有嘉魚之什-유의(由儀) [笙歌,笙詩]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9116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시경시 총목차
시경시 총목차
http://kydong77.tistory.com/9116
시경시 총목차/ 311편, 笙詩(가락만 남고 작품 망실) 6편
https://www.youtube.com/watch?v=W_DsQkSC5zo https://kydong77.tistory.com/18727?category=486549 詩經 총목차 & 작품 https://www.youtube.com/watch?v=2C4AfzprIag https://www.youtube.com/watch?v=HoLvjx8mmq8 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A%B2%B
kydong77.tistory.com
http://kydong77.tistory.com/4943
이 블로그의 시경 작품 목록
'파란'이 폐쇄되어 운영자의 블로그에서 검색할 수 있게 를 다시 올립니다. 국풍(國風) 총 160편 한자 한글 번호 01 周南 주남 001-011 02 召南 소남 012-025 03 邶風 패풍 026-044 04 鄘風 용풍 045-054 05 衛風
kydong77.tistory.com
시경(詩經)의 일반 상식적 이해
http://kydong47.blog.me/memo/40093614853?from=memoPostView
시경 원문
http://kydong77.tistory.com/5490
詩經 311편 총목차 & 305편 한문원문과 국역
https://kydong77.tistory.com/19753 詩經 311편 총목차 & 305편 작품과 국역 목록/ 김용옥, 시경시 재해석 www.youtube.com/watch?v=zh1ePSoRx3E https://kydong77.tistory.com/19521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9116 [김영동교수의
kydong77.tistory.com
시경시 해설
http://kydong77.tistory.com/5267
시경의 이해
http://kydong77.tistory.com/4944
시경의 이해
[은자주]시경의 이해에 도움이 되는 글들을 따로 모아 보았다. 시경 작품은 305편이나 공자님 당시 가락만 남은 것이 6편 있어 제목상으로는 311편이 된다. 국풍(國風) 총 160편 한자 한글 번호 01 周
kydong77.tistory.com
주희/시경 서문
http://kydong77.tistory.com/3635
주희 / 시경 서문
[주]찾기가 힘들어 재수록한다.시경 서문http://blog.paran.com/kydong/35949279詩經序或有問於予曰 詩는 何爲而作也ㅣ오 予ㅣ 應之曰 人生而靜은 天之性也ㅣ오 感於物而動은 性之欲也ㅣ라 혹자가 나에
kydong77.tistory.com
국역 -주자의 시경집전(詩經集傳)
http://kydong47.blog.me/memo/40093617847?from=memoPostView
풍아송의 개념
http://kydong77.tistory.com/3636
풍아송의 개념/ 15國風160편, 小雅(종묘악)74편,大雅(연회악)31편, 頌 40편
국풍 15나라의 민요시 160편 소아(小雅) 종묘악 74편 대아(大雅) 연회악 31편 송(頌) - 周頌 魯頌 商頌 40편 국풍(國風) 총 160편 한자 한글 번호 01 周南 주남 001-011 02 召南 소남 012-025 03 邶風 패풍 026-04
kydong77.tistory.com
심경호 / 조선후기의 경학연구법 분화와 毛奇齡 비판
http://kydong77.tistory.com/5266
심경호 / 조선후기의 경학연구법 분화와 毛奇齡 비판
시경-모기령의 주자비판/ 中國文化 2007/03/08 09:29http://blog.naver.com/joeblue/40035176514http://blog.empas.com/sacheon/16710967-주자 및 정약용의 시경연구조선후기의 경학연구법 분화와 毛奇齡 비판 沈 慶 昊* Ⅰ.
kydong77.tistory.com
전경원 / 다산정약용의 시경론 및 시의식
http://kydong77.tistory.com/5265
전경원, 다산 정약용의 시경론(詩經論) 및 시의식
[참고]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작품부터 읽어 봅니다. https://kydong77.tistory.com/5489 001 관저 /주남 은자주]시경 주자주 원문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이윤숙님의 아래 주소창에서 이전해 덧붙인다. ht
kydong77.tistory.com
이재훈 / 주자의 음시론
http://kydong77.tistory.com/5264
이재훈 / 주자의 음시론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428609朱熹의 淫詩論李 再 薰*1. 서론 2. '變止乎禮義'說 否定 3. 淫詩의 作者4. 詩敎로서의 思無邪論5. 결론1. 서 론宋代 性理學의 집대성자 朱熹(1130-1200)의 ≪詩集傳≫은
kydong77.tistory.com
음시설의 근거
http://kydong77.tistory.com/5263
음시설의 근거
[은자주]논어에서 정풍(鄭風)이 음란하다는 음시설(淫詩說)의 근거와 호색을 경계한 구절을 찾아본다. 이 대목을 주자가 문제 삼은 건 아래 구절과 모슨되기때문이다. 子ㅣ曰 詩三百에 一言以蔽
kydong77.tistory.com
시경목차
http://kydong77.tistory.com/9116
[알림] 위 블로그의 검색란에 작품의 고유번호를 치면 작품과 주자주의 원문과 번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 思無邪니라
자 왈 시 삼 백 일 언 이 폐 지 왈 사 무 사
[논어(論語) 위정(爲政)편 2장]
라 했으나 현전하는 작품은 305
편이고笙詩를 합하면 311펀이 된다.
笙詩[가락만 남고 한시 작품 망실] 6편명
170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제10편 남해(南陔)[笙詩]
171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1편 백화(白華) [笙歌,笙詩]
172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2편 화서(華黍)[笙歌,笙詩]
174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4편 유경(由庚)[笙歌,笙詩]
176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6편 숭구(崇丘)[笙歌,笙詩]
178 小雅- 南有嘉魚之什-유의(由儀) [笙歌,笙詩]
국풍(國風) 총 160편
01 周南 주남 001-011
02 召南 소남 012-025
03 邶風 패풍 026-044
04 鄘風 용풍 045-054
05 衛風 위풍 055-064
06 王風 왕풍 065-074
07 鄭風 정풍 075-095
08 齊風 제풍 096-106
09 魏風 위풍 107-113
10 唐風 당풍 114-125
11 秦風 진풍 126-135
12 陳風 진풍 136-145
13 檜風 회풍 146-149
14 曹風 조풍 150-153
15 豳風 빈풍 154-160
소아(小雅) 총 74편
01 鹿鳴 之什 녹명지습 161-170
02 白華 之什 백화지습 170-175
03 彤弓 之什 동궁지습 175-185
04 祈父 之什 기부지습 185-195
05 小旻 之什 소민지습 195-205
06 北山 之什 북산지습 205-215
07 桑扈 之什 상호지습 215-225
08 都人士 之什 도인사지습 225-234
대아(大雅) 총 31편
01 文王之什 문왕지습 235-244
02 生民之什 생민지습 245-254
03 蕩之什 탕지습 255-265
송(頌) 총 40편
01 周頌 주송 266-296
01a -清廟之什 청묘지습 266-275
01b -臣工之什 신공지습 276-285
01c -閔予小子之什 민여소자지습 286-296
02 魯頌 노송 297-300
03 商頌 상송 301-305
국풍(國風) 총 160편
國風 01 周南 주남 001-011
001 주남 제1편. 관저3장(關雎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89
001 관저 /주남
은자주]시경 주자주 원문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이윤숙님의 아래 주소창에서 이전해 덧붙인다.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원문 http://blog.naver.com/bhjang3/140035480672 001 國風(국풍)周南(주남)-
kydong77.tistory.com
002 주남 제2편 갈담3장(葛覃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88
002 갈담/주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5484524 002 국풍-周南-葛覃(갈담)-칡 넝쿨 葛之覃兮(갈지담혜) : 칡덩굴 뻗어 施于中谷(이우중곡) : 골짜기로 뻗어가네 維葉萋萋(유엽처처) : 잎들이 무성하여라 黃鳥于飛(
kydong77.tistory.com
003 주남 제3편 권이4장(卷耳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487
003 권이 /주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5662426 ◈ 003 國風-周南- 卷耳(권이)-도꼬마리- ◈ 003 國風-周南- 卷耳(권이)-도꼬마리- 采采卷耳(채채권이) : 도꼬마리 캐고 캐어도不盈頃筐(불영경광) :... blog.naver.com 003
kydong77.tistory.com
004 주남 제4편 규목3장(樛木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86
004 규목 /주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6866528 004 國風-周南-樛木(규목)-가지 늘어진 나무 南有樛木 (남유규목) 남산에 가지 늘어진 나무 葛藟纍之 (갈류루지) 머루덩쿨 칭칭 휘감았네 樂只君子 (락지군자) 즐
kydong77.tistory.com
005 주남 제5편 종사3장(螽斯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85
005 종사 / 주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6926568 005 국풍-주남- 螽斯(종사) - 베짱이처럼 螽斯羽 (종사우) 베짱이들이 詵詵兮 (선선혜) 다정하게 모였네 宜爾子孫 (의이자손) 그대의 자손들도 振振兮 (진진혜) 번
kydong77.tistory.com
006 주남 제6편 도요3장(桃夭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80
006 도요 /주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6928511 ◈ 006 국풍-주남-桃夭(도요) - 잘 자란 복숭아 나무 ◈ 006 국풍-주남-桃夭(도요)-잘 자란 복숭아 나무 桃之夭夭(도지요요) 싱싱한 복숭아 나무에 灼灼其華(작... blog
kydong77.tistory.com
007 주남 제7편 토저3장(兎罝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79
007 토저 /주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6929152 007 국풍-주남- 兎罝(토저) - 토끼그물 肅肅兎罝(숙숙토저) 얼기 설기 토끼 그물, 椓之丁丁(탁지정정) 치는 말뚝 쩡쩡 울리며 박네. 赳赳武夫(규규무부) 름름하고
kydong77.tistory.com
008 주남 제8편 부이3장(芣苢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78
008 부이 / 주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6929706 008 국풍- 주남- 芣苢(부이) -질경이 采采芣苢(채채부이) 캐네 캐네 질경이 캐네, 薄言采之(박언채지) 얼른 잠깐 질경이 캐네. 采采芣苢(채채부이) 캐네 캐네 질경
kydong77.tistory.com
009 주남 제9편 한광3장(漢廣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77
009 漢廣(한광,한수가 넓어서)/ 詩經-국풍-周南
https://www.youtube.com/watch?v=Z1SksxbgWOI http://blog.naver.com/bhjang3/140036929933 009 詩經-국풍-周南 -漢廣(한광)-한수는 넓어서 南有喬木 (남유교목) : 남쪽에 우뚝 솟은 나무 있어도 不可休息 (불가휴식) : 그 아
kydong77.tistory.com
010 주남 제10편 여분3장(汝墳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76
010 여분 /주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6930279 010 국풍-주남-汝墳(여분)-여수 가의 방죽 遵彼汝墳(준피여분) 저 여수 방죽 언덕에 가서 伐其條枚(벌기조매) 그 나뭇가지 베어오네 未見君子(미견군자) 군자를 아
kydong77.tistory.com
011 주남 제11편 인지지3장(麟之趾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67
011 인지지 /주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6930399 011 詩經-國風-周南-麟之趾(인지지)-기린의 발 麟之趾(린지지) : 기린의 발이여 振振公子(진진공자) : 번창한 공후의 자제들이로다 于嗟麟兮(우차린혜) : 아, 기린
kydong77.tistory.com
國風
02 召南 012-025
012 소남 제1편 작소3장(鵲巢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66
012 작소 /소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6930510 國風 召南.召는 地名이니 召公 奭의 采邑이다. 舊說에 '扶風 雍縣 남쪽에 召亭이 있었는데 바로 그 땅이다.'라 하였다. 지금의 雍縣은 岐山과 天興 두 개 縣으로
kydong77.tistory.com
013 소남 제2편 채번3장(采蘩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65
013 채번 /소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6930709 013 詩經-國風-召南-采蘩(채번)-물쑥을 뜯네 于以采蘩(우이채번) 물쑥을 뜯네, 于沼于沚(우소우지) 못가에서 물가에서. 于以用之(우이용지) 뜯어다 쓰네, 公侯之事
kydong77.tistory.com
014 소남 제3편 초충3장(草蟲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64
014 초충 /소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6930974 014 詩經-國風-召南-草蟲(초충)-풀벌레베짱이. 喓喓草蟲(요요초충) 찌르 찌르 풀벌레 趯趯阜螽(적적부종) 폴짝 폴짝 베짱이. 未見君子(미견군자) 우리 낭군 못만나
kydong77.tistory.com
015 소남 제4편 채빈3장(采蘋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63
015 채빈 /소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6931170015 詩經-國風-召南-采蘋(채빈)-마름 따기 于以采蘋(우이채빈) 물에 뜬 마름 따네 南澗之濱(남간지빈) 남쪽 시내 물가에서. 于以采藻(우이채조) 뿌리 있는 마름 따
kydong77.tistory.com
016 소남 제5편 감당3장(甘棠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33
016 감당 /소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6999325 016 국풍-소남-甘棠(감당)-팔배나무 蔽芾甘棠(폐불감당) - 무성한 팥배나무, 勿翦勿伐(물전물벌) - 자르지도 베지도 마라. 召伯所茇(소백소발) - 소백님이 머무시던
kydong77.tistory.com
017 소남 제6편 행로3장(行露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32
017 국풍 召南, 行露(행로)- 이슬 내린 길
https://www.youtube.com/watch?v=VJQ9w_6Nw5M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43012 ◈ 017 召南(소남)-行露(행로)- 이슬 길. ◈ 017 국풍-召南 - 行露(행로)- 이슬 길. 厭浥行露(염읍행로) : 축축이 이슬 ... blog.naver.com 1
kydong77.tistory.com
018 소남 제7편 고양3장(羔羊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31
018 고양 /소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55424 018 국풍-소남-羔羊(고양) - 염소 羔羊之皮(고양지피) : 염소 가죽옷 素絲五紽(소사오타) : 흰 명주실 다섯 타래로 만들었네 退食自公(퇴식자공) : 밥 먹을 가는 길
kydong77.tistory.com
019 소남 제8편 은기뢰3장(殷其靁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30
019 은기뢰 /소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55554 019 국풍-소남-殷其雷(은기뢰)-천둥소리 殷其雷(은기뢰) : 우르릉 쾅 천둥소리 在南山之陽(재남산지양) : 남산 양지에서 울리네.何斯違斯(하사위사) : 어찌해 이곳
kydong77.tistory.com
020 소남 제9편 표유매3장(摽有梅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29
020 표유매 /소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55833020 國風-召南-摽有梅(표유매)-매실 따기.摽有梅(표유매) : 익어 따는 매화 열매 其實七兮(기실칠혜) : 남은 열매 일곱이어요 求我庶士(구아서사) : 내게 구혼할 도
kydong77.tistory.com
021 소남 제10편 소성2장(小星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419
021소성(小星, 작은 별) /소남
https://www.youtube.com/watch?v=F1tKFlyj3pQ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56066 ◈ 021 國風-召南-소성(小星)-작은 별 ◈ 021 國風-召南-소성(小星)-작은 별 嘒彼小星(... blog.naver.com 021 國風-召南-소성(小星)-작은
kydong77.tistory.com
022 소남 제11편 강유사3장(江有汜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18
022 강유사 /소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56486 022 國風-召南-江有汜(강유사)-강물은 갈라져 흐르고. 江有汜(강유사) : 강물이 갈라져 흐르듯, 之子歸(지자귀) : 아가씨는 시집을 가며, 不我以(불아이) : 나를 싫
kydong77.tistory.com
023 소남 제12편 야유사균3장(野有死麕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17
023 야유사균 /소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60941023 國風-召南- 野有死麕(야유사균)-들판에 죽은 노루 野有死麕(야유사균) : 들판에 죽은 노루 白茅包之(백모포지) :흰 띠풀에 싸다 주었지요. 有女懷春(유여회춘) :
kydong77.tistory.com
024 소남 제13편 하피농의3장(何彼穠矣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416
024 하피농의 /소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62007 024 國風-召南- 何彼襛矣(하피농의)-어찌 저리도 고울까 何彼襛矣(하피농의) : 어찌 저리도 고울까? 唐棣之華(당체지화) : 산매자 나무꽃같구나 曷不肅雝(갈불숙옹
kydong77.tistory.com
025 소남 제14편 추우이장(騶虞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415
025 추우 /소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62382 025 國風-召南- 騶虞(추우)-몰이꾼 彼茁者葭(피줄자가) : 저 무성한 갈대밭에서 壹發五豝(일발오파) : 한 화살에 다섯 마리 암퇘지를 잡았네 于嗟乎騶虞(우차호추
kydong77.tistory.com
國風 03 패풍(邶風) 026-044
026 패풍 제1편 박주5장(柏舟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383
026 백주(柏舟) /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64383 ◈ 026 詩經-邶風(패풍) -柏舟(백주)-잣나무배 ◈ 026 詩經-邶風(패풍) -柏舟(백주)-잣나무배 邶·鄘·衛는 세 나라의 이름이니 禹貢의 ... blog.naver.com 026 詩經-邶風(패
kydong77.tistory.com
027 패풍 제2편 녹의4장(綠衣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382
027 녹의 /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64922 027 詩經-邶風-綠衣(녹의)녹색 저고리 綠兮衣兮(록혜의혜) : 녹색 저고리 綠衣黃裏(록의황리) : 녹색 저고리에 노란색 안감 心之憂矣(심지우의) : 마음에 이는 시름
kydong77.tistory.com
028 패풍 제3편 연연4장(燕燕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381
028 연연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67615 030 詩經-邶風- 終風(종풍)-바람 燕燕于飛(연연우비) : 제비들이 펄펄날아 差池其羽(차지기우) : 앞서거니 뒤서거니 之子于歸(지자우귀) : 그녀 시집가는 날 遠送于
kydong77.tistory.com
029 패풍 제4편 일월4장(日月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380
029 일월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67193 029 詩經-패風-日月(일월) - 해와 달. 日居月諸(일거월제) : 해와 달은 照臨下土(조임하토) : 세상 땅을 비춰주는데, 乃如之人兮(내여지인혜) : 그러나우리집 님은
kydong77.tistory.com
030 패풍 제5편 종풍4장(終風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379
030 종풍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67615 030 詩經-邶風- 終風(종풍)-바람. 終風且暴(종풍차폭) : 바람 불고 소나기 퍼붓듯 하다가도, 顧我則笑(고아칙소) : 나만 보면히죽 웃는 그이, 謔浪笑敖(학랑소오) :
kydong77.tistory.com
031 패풍 제6편 격고5장(擊鼓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372
031 격고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94927031 詩經- 邶風-擊鼓(격고)-북을 울리며 擊鼓其鏜(격고기당) : 북소리 둥둥 울리면 踊躍用兵(용약용병) : 무기 들고 뛰어 일어난다 土國城漕(토국성조) : 서울엔 흙
kydong77.tistory.com
032 패풍 제7편 개풍4장(凱風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371
032 개풍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95042032 詩經- 邶風-凱風(개풍)-산들바람 凱風自南(개풍자남) : 따스한 바람 남쪽에서 불어와 吹彼棘心(취피극심) : 저 대추나무 새싹에 분다 棘心夭夭(극심요요) : 대추
kydong77.tistory.com
033 패풍 제8편 웅치4장(雄雉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370
033 웅치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95179033 詩經-邶風-雄雉(웅치)- 수꿩 - 雄雉于飛(웅치우비) : 수꿩이 날아가며 泄泄其羽(설설기우) : 푸드득 푸드득 날갯짓하네. 我之懷矣(아지회의) : 나의 그리움이여,
kydong77.tistory.com
034 패풍 제9편 포유고엽4장(匏有苦葉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369
034 포유고엽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95259034 詩經-邶風匏有苦葉(포유고엽) 마른 박잎匏有苦葉(포유고엽) : 박에는 마른 잎이 생기고 濟有深涉(제유심섭) : 나루터에는 깊은 건널목이 있다 深則厲(심칙려) :
kydong77.tistory.com
035 패풍 제10편 곡풍6장(谷風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368
035 곡풍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95367 035 詩經-邶風-谷風(곡풍)-골 바람 習習谷風(습습곡풍) : 거세게 불어오는 골바람 以陰以雨(이음이우) : 날이 흐리더니 비가 내린다 黽勉同心(민면동심) : 힘을 모
kydong77.tistory.com
036 패풍 제11편 식미 2장(式微 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367
036 식미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04584 036 詩經-邶風-式微(식미)-쇠미하였도다. 式微式微(식미식미) : 쇠미하게 여위었거늘, 胡不歸(호불귀) : 어찌 돌아가시지 않았나이까 ? 微君之故(미군지고) : 임금
kydong77.tistory.com
037 패풍 제12편 모구4장(旄丘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366
037 모구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05499 037 詩經-邶風-旄丘(모구)-높은언덕 旄丘之葛兮(모구지갈혜) : 높은 언덕의 칡덩굴이여 何誕之節兮(하탄지절혜) : 마디 사이가 얼마나넓어 젔는가 . 叔兮伯兮(숙혜
kydong77.tistory.com
038 패풍 제13편 간혜4장(簡兮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365
038 간혜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08134 038 詩經-邶風-簡兮(간혜)-춤. 簡兮簡兮(간혜간혜) :익히고 익히어서. 方將萬舞(방장만무) : 萬舞 춤을 추려 하네. 日之方中(일지방중) : 해는 중천에 떠 있고 在前
kydong77.tistory.com
039 패풍 제14편 천수4장(泉水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364
039 천수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08850 039 詩經-邶風-泉水(천수)-샘물 毖彼泉水(비피천수) : 솟구치는 그 샘물도 亦流于淇(역류우기) : 또한 기수로 흘러드는데, 有懷于衛(유회우위) : 위나라가 그리워져
kydong77.tistory.com
040 패풍 제15편 북문3장(北門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363
040 북문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09912 040 詩經-邶風-北門(북문) 出自北門(출자북문) : 북문에서 나오니 憂心殷殷(우심은은) : 근심 걱정 태산일세. 終窶且貧(종구차빈) : 누추하고 가난한데 莫知我艱(막
kydong77.tistory.com
041 패풍 제16편 북풍3장(北風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338
041 북풍(北風)3章 /시경 패풍(邶風)
04 『시경(詩經)』 041 패풍(邶風) 「북풍(北風)」 3章 詩經-邶風-北風(북풍) 北風其涼 (북풍기량) : 북풍이 싸늘한데, 雨雪其雱 (우설기방) : 눈비는 펑펑 쏟아지네. 惠而好我 (혜이호아) : 온화하고
kydong77.tistory.com
042 패풍 제17편 정녀3장(靜女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337
042 정녀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23740 042 詩經-邶風-靜女(정녀)-정숙한 아가씨 靜女其姝(정녀기주) : 아름답고 정숙한 아가씨 俟我於城隅(사아어성우) : 성 모퉁이에서 나를 기다리네. 愛而不見(애이불
kydong77.tistory.com
043 패풍 제18편 신대3장(新臺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336
043 新臺(신대)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24411 043 詩經-邶風- 新臺(신대)-새로운 누대 新臺有泚 (신대유차) : 새로운 누대는 곱기도 한데, 河水瀰瀰 (하수미미) : 황하의 물이 넘실거리네. 燕婉之求 (연완지구) :
kydong77.tistory.com
044 패풍 제19편 이자승주2장(二子乘舟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335
044 이자승주 /패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24916 044 詩經-邶風-二子乘舟(이자승주)-두 아들이 배에 타고 二子乘舟(이자승주) : 두 아들이 배를 타고 汎汎其景(범범기경) : 두둥실 멀리 갔네. 願言思子(원언사자) :
kydong77.tistory.com
國風 04 鄘風용풍
045 용풍 제1편 백주2장(柏舟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334
https://kydong77.tistory.com/5334
045 백주 /용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26491 045 國風-鄘風-柏舟(백주) - 측백나무배 汎彼柏舟(범피백주) : 두둥실 저 잣나무배가, 在彼中河(재피중하) : 저 황하 물가운데 떠 있네.髧彼兩髦(담피양모) :저 두갈
kydong77.tistory.com
046 용풍 제2편 장유자3장(牆有茨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327
046 장유자(牆有茨) /용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40125 ◈ 046 詩經-鄘風-牆有茨(․장유자)-담장의 찔레 ◈ 046 詩經-鄘風-牆有茨(․장유자)-담장의 찔레 牆有茨(... blog.naver.com 046 詩經-鄘風-牆有茨(장유자)-담장의 찔레
kydong77.tistory.com
047 용풍 제3편 군자해로3장(君子偕老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326
047 군자해로 /용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41502047 詩經-鄘風-君子偕老(군자해로)-남편과오래도록 살고지고- 君子偕老(군자해노) : 남편과 오래도록 살고지고, 副笄六珈(부계육가) : 쪽비녀에는 구슬이 여섯이나
kydong77.tistory.com
048 용풍 제4편 상중3장(桑中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325
048 桑中(상중)-뽕나무 속에서 / 詩經-鄘風(용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41975 ◈ 048 詩經-鄘風-桑中(상중)-뽕나무 속에서 ◈ 048 詩經-鄘風-桑中(상중)-뽕나무 속에서 爰采唐矣(원채당의) : 새... blog.naver.com 048 詩經-鄘風-桑中(상중)-뽕나무 속
kydong77.tistory.com
049 용풍 제5편 순지분분2장(鶉之奔奔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324
049 순지분분 /용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42589 049 詩經-鄘風-鶉之奔奔(순지분분)- 매추라기는 서로 정다워 鶉之奔奔(순지분분) : 메추리는 쌍쌍이 놀고, 鵲之彊彊(작지강강) : 까치도 서로 짝지어 노는데, 人之
kydong77.tistory.com
050 용풍 제6편 정지방중3장(定之方中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323
050 정지방중 /용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43567050 詩經-鄘風-定之方中(․정지방중)- 定星이 하늘 한가운데 있네.定之方中(정지방중) : 정성이 하늘 한가운데 있어, 作于楚宮(작우초궁) : 楚丘에 종묘를 짓네, 揆
kydong77.tistory.com
051 용풍 제7편 체동3장(蝃蝀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318
051 체동 /용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47657 051 詩經鄘風-蝃蝀(체동)-무지개 蝃蝀在東(체동재동) : 동쪽에 뜬 무지개를, 莫之敢指(막지감지) : 감히 아무도 손가락질 못하네. 女子有行(여자유행) : 여자가 결
kydong77.tistory.com
052 용풍 제8편 상서3장(相鼠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317
052 상서 /용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49629 052 詩經鄘風-相鼠(상서)-쥐를 보아라 相鼠有皮(상서유피) : 쥐를 보건데 가죽이 있는데 人而無儀(인이무의) : 사람으로서 위의가 없단말인가. 人而無儀(인이무의)
kydong77.tistory.com
053 용풍 제9편 간모3장(干旄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316
053 간모 /용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73159 053 詩經- 鄘風- 干旄(간모)-깃대 - 孑孑干旄(혈혈간모) : 나풀 나풀 깃대 끝의 우뚝한 들소꼬리, 在浚之郊(재준지교) : 준 고을 교외에 나부끼네. 素絲紕之(소사비
kydong77.tistory.com
054 용풍 제10편 재치4장(載馳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315
054 재치 /용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73771 054 詩經-鄘風-載馳(재치)-수레를 달려라. 載馳載驅(재치재구) : 수레를 달리고 달려 歸唁衛侯(귀언위후) : 돌아가 위나라 임금을 위로하려고, 驅馬悠悠(구마유유)
kydong77.tistory.com
國風 05 衛風 위풍 055-064
055 위풍 제1편 기오3장(淇奧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314
055 기오 /위풍衛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73871 055 詩經-衛風-淇奧(기오)-기수의 물굽이 瞻彼淇奧(첨피기오) : 저 기수가의 물굽이를 바라보니 綠竹猗猗(록죽의의) : 푸른 대나무 우거져 있네. 有匪君子(유비군
kydong77.tistory.com
056 위풍 제2편 고반3장(考槃三章)
https://kydong77.tistory.com/5314
055 기오 /위풍衛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73871 055 詩經-衛風-淇奧(기오)-기수의 물굽이 瞻彼淇奧(첨피기오) : 저 기수가의 물굽이를 바라보니 綠竹猗猗(록죽의의) : 푸른 대나무 우거져 있네. 有匪君子(유비군
kydong77.tistory.com
057 위풍 제3편 석인4장(碩人四章)
https://kydong77.tistory.com/5307
057 석인 /위풍衛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74794 057 詩經-衛風-碩人(석인)-훌륭하신 님- 碩人其頎(석인기기) : 훌륭하신 님 훤칠하시고 衣錦褧衣(의금경의) : 비단 깃틀무늬 옷을 입으셨네. 齊侯之子(제후지자) :
kydong77.tistory.com
058 위풍 제4편 맹6장(氓六章)
https://kydong77.tistory.com/5306
058 맹 /위풍衛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75133 058 詩經-衛風-氓(맹)-한 남자. 氓之蚩蚩(맹지치치) : 타지에서 온 어수룩한 남자 희죽거리며 抱布貿絲(포포무사) : 옷감을 가지고와 실과 바꾸려하네. 匪來貿絲(비
kydong77.tistory.com
059 위풍 제5편 죽간4장(竹竿四章)
https://kydong77.tistory.com/5305
059 죽간 /위풍衛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82497 059 詩經-衛風-竹竿(죽간)-낚싯대 籊籊竹竿(적적죽간) : 길고 가는 낚싯대 들고 以釣于淇(이조우기) : 기수 강가에서 낚시질 하면서, 豈不爾思(기불이사) : 어찌 그
kydong77.tistory.com
060 위풍 제6편 환란2장(芄蘭二章)
https://kydong77.tistory.com/5304
060 환란 /위풍衛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83589 060 詩經-衛風-芄蘭(환란)-덩굴 난 - 芄蘭之支(환란지지) : 덩굴 난의 가는 줄기여, 童子佩觿(동자패휴) : 어린 애가 뼈송곳을 차고 있네. 雖則佩觿(수칙패휴) : 비록
kydong77.tistory.com
061 위풍 제7편 하광2장(河廣二章)https://kydong77.tistory.com/5301
061 하광 /위풍衛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806813 061詩經-衛風-河廣(하광)-넓고 넓은 황하- 誰謂河廣(수위하광) : 누가 황하를 넓다고 하나? 一葦杭之(일위항지) : 한 개의 갈대배로도 건널 수 있는 것을. 誰謂宋遠(
kydong77.tistory.com
062 위풍 제8편 백혜4장(伯兮四章)https://kydong77.tistory.com/5300
062 백혜 /위풍衛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841065 062 詩經-衛風-伯兮(백혜)- 내 님 伯兮朅兮(백혜걸혜) : 내 님은 용감한, 邦之桀兮(방지걸혜) : 나라의 용사라오. 伯也執殳(백야집수) : 내 님은 긴 창 들고, 爲王前
kydong77.tistory.com
063 위풍 제9편 유호3장(有狐三章)https://kydong77.tistory.com/5299
063 유호 /위풍衛風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841668 063 詩經-衛風-有狐(유호)-여우 有狐綏綏(유호수수) : 여우가 어슬렁어슬렁 在彼淇梁(재피기량) :기수 돌 다리 위를 어정거리네. 心之憂矣(심지우의) : 마음 속 근
kydong77.tistory.com
064 위풍 제10편 목과3장(木瓜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98
國風 06 王風 왕풍 065-074
065 왕풍 제1편 서리3장(黍離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97
066 왕풍 제2편 군자우역2장(君子于役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91
067 왕풍 제3편 군자양양2장(君子陽陽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90
068 왕풍 제4편 양지수3장(揚之水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89
069 왕풍 제5편 중곡유퇴3장(中谷有蓷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88
070 왕풍 제6편 토원3장(兎爰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87
071 왕풍 제7편 갈류3장(葛藟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80
072 왕풍 제8편 채갈3장(采葛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79
073 왕풍 제9편 대거3장(大車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78
074 왕풍 제10편 구중유마3장(丘中有麻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77
國風 07 鄭風 정풍 075-095 075 정풍 제1편 치의3장(緇衣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76076 정풍 제2편 장중자3장(將仲子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72077 정풍 제3편 숙우전3장(叔于田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71078 정풍 제4편 대숙우전3장(大叔于田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70079 정풍 제5편 청인3장(淸人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69080 정풍 제6편 고구3장(羔裘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68
081 정풍 제7편 준대로2장(遵大路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57082 정풍 제8편 여왈계명3장(女曰雞鳴) http://kydong77.tistory.com/5256083 정풍 제9편 유녀동거2장(有女同車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55084 정풍 제10편 산유부소2장(山有扶蘇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54085 정풍 제11편 탁혜2장(蘀兮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53
086 정풍 제12편 교동2장(狡童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50087 정풍 제13편 건상2장(褰裳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49088 정풍 제14편 봉4장(丰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248089 정풍 제15편 동문지선2장(東門之墠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47090 정풍 제16편 풍우3장(風雨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46
091 정풍 제17편 자금3장(子衿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44092 정풍 제18편 양지수2장(揚之水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43093 정풍 제19편 출기동문2장(出其東門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42094 정풍 제20편 야유만초2장(野有蔓草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41095 정풍 제21편 진유2장(溱洧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40
國風 08 齊風 제풍 096-106
096 제풍 제1편 계명3장(雞鳴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33
097 제풍 제2편 환3장(還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32
098 제풍 제3편 저3장(著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31
099 제풍 제4편 동방지일2장(東方之日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30
100 제풍 제5편 동방미명3장(東方未明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29
101 제풍 제6편 남산4장(南山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222
102 제풍 제7편 보전3장(甫田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21
103 제풍 제8편 노령3장(盧令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20
104 제풍 제9편 폐구3장(敝笱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19
105 제풍 제10편 재구4장(載驅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218
106 제풍 제11편 의차3장(猗嗟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13
國風 09 魏風 위풍 107-113 107 위풍 제1편 갈구2장(葛屨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12
108 위풍 제2편 분저여3장(汾沮洳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11
109 위풍 제3편 원유도2장(園有桃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10
110 위풍 제4편 척호3장(陟岵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09
111 위풍 제5편 십묘지간2장(十畝之間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07
112 위풍 제6편 벌단3장(伐檀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06
113 위풍 제7편 석서3장(碩鼠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05
113 석서 /위풍
[은자주]시회시의 백미로 꼽히는 이다. 석서는 물론 가렴주구하는 탐관오리이다.http://blog.naver.com/bhjang3/140040145291 113 詩經-魏風-碩鼠(석서)- 큰 쥐 碩鼠碩鼠(석서석서) : 큰 쥐야, 큰 쥐야,無食我黍
kydong77.tistory.com
國風 10 唐風 당풍 114-125
114 당풍 제1편 실솔3장(蟋蟀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04
115 당풍 제2편 산유추3장(山有樞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03
116 당풍 제3편 양지수3장(揚之水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201
117 당풍 제4편 초료2장(椒聊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200
118 당풍 제5편 주무3장(綢繆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99
119 당풍 제6편 체두2장(杕杜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198
120 당풍 제7편 고구2장(羔裘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197
121 당풍 제8편 보우3장(鴇羽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90
122 당풍 제9편 무의2장(無衣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189
123 당풍 제10편 유대지두2장(有杕之杜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188
124 당풍 제11편 갈생5장(葛生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187
125 당풍 제12편 채령3장(采苓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86
125 채령 /당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216563 125 詩經-唐風-采苓(채령)-감초 캐러가세 采苓采苓(채령채령) : 감초를 캐러가세, 감초를 캐러가세. 首陽之巓(수양지전) : 수양산 산 마루로 가세. 人之爲言(인지위
kydong77.tistory.com
國風 11 秦風 진풍 126-135
126 진풍(秦風) 제1편 거린3장(車鄰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82
126 거린/ 진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217661 126 詩經-秦風-車鄰(거린)-수레 소리 有車鄰鄰(유차린린) : 수레소리 덜컹덜컹. 有馬白顚(유마백전) : 이마에 흰 털 난 말이 끄네. 未見君子(미견군자) : 우리 임금
kydong77.tistory.com
127 진풍(秦風) 제2편 사철3장(駟鐵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81
128 진풍(秦風) 제3편 소융3장(小戎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80
129 진풍(秦風) 제4편 겸가3장(蒹葭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79
130 진풍(秦風) 제5편 종남2장(終南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178
131 진풍(秦風) 제6편 황조(黃鳥)3장
http://kydong77.tistory.com/5176
132 진풍(秦風) 제7편 신풍3장(晨風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75
133 진풍(秦風) 제8편 무의3장(無衣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74
134 진풍(秦風) 제9편 위양2장(渭陽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173
135 진풍(秦風) 제10편 권여2장(權輿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172
135 권여 /진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226588 135 詩經-秦風-權輿(권여)-처음처럼- 於我乎(어아호) : 임금께서 나에게 夏屋渠渠(하옥거거) :큰 집에융숭한 대접 하시더니 今也每食無餘(금야매식무여):이젠 끼니
kydong77.tistory.com
國風 12 陳風 진풍 136-145
136 진풍(陳風) 제1편 완구3장(宛丘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65
136 완구 /陣風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249066 136 詩經-陣風-宛丘(완구)-완구에서는- 子之湯兮(자지탕혜) : 그대의 방탕한 놀음이 宛丘之上兮(완구지상혜) : 완구 위에서 일어나네. 洵有情兮(순유정혜) : 정말
kydong77.tistory.com
137 진풍(陳風) 제2편 동문지분3장(東門之枌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64
138 진풍(陳風) 제3편 형문3장(衡門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63
139 진풍(陳風) 제4편 동문지지3장(東門之池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62
140 진풍(陳風) 제5편 동문지양2장(東門之楊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161
141 진풍(陳風) 제6편 묘문2장(墓門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155
142 진풍(陳風) 제7편 방유작소2장(防有鵲巢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154
143 진풍(陳風) 제8편 월출3장(月出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53
144 진풍(陳風) 제9편 주림2장(株林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152
145 진풍(陳風) 제10편 택피3장(澤陂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51
145 택피 /陣風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261079145 詩經-陣風-澤陂(택피)-못뚝- 彼澤之陂(피택지피) : 저 연못 뚝 너머엔 有蒲與荷(유포여하) : 부들과 연잎 있네. 有美一人(유미일인) : 아름다운 님이여, 傷如之何
kydong77.tistory.com
國風 13 檜風 회풍 146-149
146 회풍(檜風) 제1편 고구3장(羔裘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46
146 고구 /회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262742 146 詩經-檜風-羔裘(고구)-염소 갓옷- 羔裘逍遙(고구소요) : 염소 갓옷 입고 노닐다가는, 狐裘以朝(호구이조) : 여우 갓옷 입고 조회에 나오시네. 豈不爾思(기불이
kydong77.tistory.com
147 회풍(檜風) 제2편 소관3장(素冠三章)http://kydong77.tistory.com/5145
147 소관 /회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264311 147 詩經-檜風-素冠(소관)-흰 관 庶見素冠兮(서견소관혜) : 흰 관 쓴 그 이를 보고 싶어라 棘人欒欒兮(극인란란혜) : 병든이 여위고 초췌하네. 勞心慱慱兮(로심단단
kydong77.tistory.com
148 회풍(檜風) 제3편 습유장초3장(隰有萇楚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44
148 습유장초 /회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264804 148 詩經-檜風-隰有萇楚(습유장초)-진펄에 장초 나무 - 隰有萇楚(습유장초) : 진펄에 장초나무 있는데, 猗儺其枝(의나기지) : 무성한 그 가지 아름다워라. 夭之沃沃
kydong77.tistory.com
http://kydong77.tistory.com/5143
149 비풍 /회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265533 149 詩經-檜風-匪風(비풍)-바람이여 匪風發兮(비풍발혜) : 바람이 몰아치는데 匪車偈兮(비차게혜) : 수레를 달리는듯. 顧瞻周道(고첨주도) : 주나라로 가는 큰 길
kydong77.tistory.com
國風 14 曹風 조풍 150-153
150 조풍(曹風) 제1편 부유3장(蜉蝣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42
150 부유 /조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266809150 詩經-曹風-蜉蝣(부유)-하루살이- 蜉蝣之羽(부유지우) : 하루살이의 깃털처럼 衣裳楚楚(의상초초) : 옷이나 깨끝이 입으려하니 心之憂矣(심지우의) : 마음의 시
kydong77.tistory.com
151 조풍(曹風) 제2편 후인4장(候人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140
151 후인 /조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294384 151 詩經-曹風-候人(후인)-호위하는 사람- 彼候人兮(피후인혜) : 저기 저호위하는 사람은 何戈與祋(하과여대) : 어쩐 사연에 긴 창 짧은 창 메고 있는데, 彼其之子(
kydong77.tistory.com
152 조풍(曹風) 제3편 시구4장(鳲鳩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139
152 시구 /조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295208 ◈ 152 詩經-曹風-鳲鳩(시구)-뻐꾸기. 삼벌초군을 이끈 배중손 장군의 사당 뜨락의 소나무 - 진도. ◈ 152 詩經-曹風-鳲鳩(시구)-뻐꾸기. &... blog.naver.com 152 詩經-曹風
kydong77.tistory.com
153 조풍(曹風) 제4편 하천4장(下泉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138
153 하천 /조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305777 153 詩經-曹風-下泉(하천)- 흐르는 샘물- 洌彼下泉(렬피하천) : 저 차가운 샘물 흘러내려 浸彼苞稂(침피포랑) : 가라지 풀 한포기 적셔 주네. 愾我寤嘆(개아오탄) :
kydong77.tistory.com
國風 15 豳風 빈풍 154-160
154 빈풍(豳風) 제1편 칠월8장(七月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137
154 칠월 /빈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307016 154 詩經-豳風-七月(칠월)-칠월- 七月流火(칠월류화) : 칠월이면 대화성이 기울어 흐르고 九月授衣(구월수의) : 구월이면 추워서 날 옷을 준비한다. 一之日觱發(일
kydong77.tistory.com
155 빈풍(豳風) 제2편 치효4장(鴟鴞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136
155 치효 /빈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310680 155 詩經-豳風-鴟鴞(치효)-부엉이- 鴟鴞鴟鴞(치효치효) : 부엉아, 부엉아, 旣取我子(기취아자) : 이미 내 새끼 잡아먹었으니 無毁我室(무훼아실) : 우리 집안 허무는
kydong77.tistory.com
156 빈풍(豳風) 제3편 동산4장(東山 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131
156 동산 /빈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311240156 詩經-豳風-東山(동산) 我徂東山(아조동산) : 내 동산에 가서 慆慆不歸(도도불귀) : 오랫동안 돌아오지 못했는데我來自東(아래자동) : 내 동산에서 돌아올 때 零
kydong77.tistory.com
157 빈풍(豳風) 제4편 파부3장(破斧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30
157 파부 /빈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341222157 詩經-豳風-破斧(파부)-깨져버린 도끼- 旣破我斧(기파아부) : 내 도끼 이미 깨져버리고 又缺我斨(우결아장) : 내 쌈 도끼 날이 다 빠졌으나 周公東征(주공동정) :
kydong77.tistory.com
158 빈풍(豳風) 제5편 벌가2장(伐柯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129
시경 158 벌가(伐柯): 도끼자루 만들다 /빈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341599 158 詩經-豳風-伐柯(벌가)-도끼자루 베려면- 伐柯如何 (벌가여하) : 도끼자루 베려면 어떻게 하나? 匪斧不克 (비부불극) : 도끼 아니면 벨 수가 없네. 取妻如何 (취
kydong77.tistory.com
159 빈풍(豳風) 제6편 구역4장(九罭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128
159 구역 /빈풍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342389159 詩經-豳風-九罭(구역)-촘촘한 그물- 九罭之魚(구역지어) : 촘촘한 그물 속의 물고기, 鱒魴(준방) : 송어와 방어가 걸려 있네. 我覯之子(아구지자) : 우리님을 뵈
kydong77.tistory.com
160 빈풍(豳風) 제7편 낭발2장(狼跋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127
160 낭발 /빈풍
[은자주]15개 나라의 국픙 160작품이 끝났다. 시경은 풍 아 송으로 정리하였는데 풍은 그 나라의 민요를 의미한다. 향가 작품 가운데 도 민요의 의미이다.http://blog.naver.com/bhjang3/140040342818160 詩經-
kydong77.tistory.com
소아(小雅)총 74편
小雅 01 鹿鳴 之什 녹명지십 161-170
161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제1편 녹명3장(鹿鳴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25
161 녹명 / 녹명지십 /소아
http://blog.naver.com/jogaewon/110070927400 161 詩經-小雅 -鹿鳴之什-녹명(鹿鳴)-사슴이 우네 呦呦鹿鳴(유유록명) 기쁜 소리로 사슴이 소리내며 食野之苹(식야지평) 들판의 쑥을 먹는다 我有嘉賓(아유가빈)
kydong77.tistory.com
162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 제2편 사모5장(四牡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124
163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제3편 황황자화5장(皇皇者華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123
164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제4편 상체8장(常棣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122
165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제5편 벌목3장(伐木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21
166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제6편 천보6장(天保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120
167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제7편 채미6장(采薇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119
168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제8편 출거6장(出車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118
169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제9편 체두4장(杕杜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117
169 체두 /녹명지십/소아
[은자주]시는 없고 가락만 있는 것은 생시[생가]라 하는데 하단에 그 설명이 있다. 시경에는 이 생가가 6편이다. 따라서 생가를 포함하면 시경시는 311편이 된다.此는 笙詩也ㅣ니 有聲無詞하야 舊
kydong77.tistory.com
170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제10편 남해(南陔)[笙詩]
小雅 02 白華 之什 백화지십 171-175
171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1편 백화(白華) [笙詩]
172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2편 화서(華黍)[笙詩]
173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3편 어리6장(魚麗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116
173 어리 /백화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696173 詩經-小雅-白華之什 -어리(魚麗) - 물고기 白華之什二之二 毛公이 以南陔以下三篇으로 無辭라 故로 升魚麗하야 以足鹿鳴什數하고 而附笙詩三篇於其後하야 因以
kydong77.tistory.com
174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4편 유경(由庚)[笙詩]
175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5편 남유가어4장(南有嘉魚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115
175 남유가어 /백화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697◈ 175 詩經-小雅-白華之什-남유가어(南有嘉魚)-남넠의 좋은 물고기- [백화지십(白華之什) 제5편 남유가어4장(南有嘉魚四章)] 南有嘉魚하니 烝然罩罩ㅣ로다 (남유가어
kydong77.tistory.com
176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6편 숭구(崇丘)[笙詩]
http://kydong77.tistory.com/5114
176 숭구/백화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697◈ 176 詩經-小雅- 白華之什-숭구(崇丘) - 높은 언덕 [笙歌,笙詩][백화지십(白華之什) 제6편 숭구(崇丘)] 崇丘 說見魚麗라 설명이 어리편에 나타나니라.
kydong77.tistory.com
177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7편 남산유대5장(南山有臺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113
177 남산유대 /백화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698177 詩經-小雅- 南有嘉魚之什-남산유대(南山有臺)-남산엔 향부자[백화지십(白華之什) 제7편 남산유대5장(南山有臺五章)] 南山有臺오 北山有萊로다 (남산유대오 북산유
kydong77.tistory.com
178 小雅- 南有嘉魚之什-由儀-유의 [笙詩]
179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9편 료소4장(蓼蕭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112
179 료소 /백화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699179 詩經-小雅- 南有嘉魚之什-료소(蓼蕭)-길게 자란 다북쑥 [백화지십(白華之什) 제9편 료소4장(蓼蕭四章)] 蓼彼蕭斯에 零露湑兮로다 (료피소사에 영로서혜로다 旣見君
kydong77.tistory.com
180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10편 담로4장(湛露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111
180 담로 /백화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00180 詩經-小雅- 南有嘉魚之什-담로(湛露)-흠뻑 젖은 이- [백화지십(白華之什) 제10편 담로4장(湛露四章)] 湛湛露斯ㅣ여 匪陽不晞로다 (담담로사ㅣ여 비양불희로다 厭厭
kydong77.tistory.com
小雅 03 彤弓 之什 동궁지십 181-190
181 小雅 동궁지십(彤弓之什) 제1편 동궁3장(彤弓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10
181 동궁 /동궁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01181 詩經-小雅- 南有嘉魚之什-동궁(彤弓)-붉은 활 彤弓之什二之三 [동궁지십(彤弓之什) 제1편 동궁3장(彤弓三章)] 彤弓弨兮를 受言藏之러니 (동궁초혜를 수언장지러니
kydong77.tistory.com
182 小雅 동궁지십(彤弓之什) 제2편 청청자아4장(菁菁者莪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109
182 청청자아 /동궁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02182 詩經-小雅- 南有嘉魚之什-청청자아(菁菁者莪)-무성한 다북쑥[동궁지십(彤弓之什) 제2편 청청자아4장(菁菁者莪四章)] 菁菁者莪ㅣ여 在彼中阿ㅣ로다 (청청자아ㅣ여
kydong77.tistory.com
183 小雅 동궁지십(彤弓之什) 제3편 유월6장(六月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108
183 유월 /동궁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03183 詩經-小雅- 南有嘉魚之什-유월(六月)-유월 [동궁지십(彤弓之什) 제3편 유월6장(六月六章)] (1장)六月棲棲하야 戎車旣飭하며 (유월서서하야 융거기칙하며 四牡騤騤
kydong77.tistory.com
184 小雅 동궁지십(彤弓之什) 제4편 채기4장(采芑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107
184 채기 /동궁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04184 詩經-小雅- 南有嘉魚之什-채기(采芑)-고들빼기 뜯기[동궁지십(彤弓之什) 제4편 채기4장(采芑四章)] 薄言采芑를 于彼新田이며 (박언채기를 우피신전이며 于此菑畝
kydong77.tistory.com
185 小雅 동궁지십(彤弓之什) 제5편 거공8장(車攻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106
185 거공 /동궁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05185 詩經-小雅-南有嘉魚之什 - 거공(車攻)- 견고한 수레 [동궁지십(彤弓之什) 제5편 거공8장(車攻八章)] (1장)我車旣攻하며 我馬旣同하야 (아거기공하며 아마기동하야
kydong77.tistory.com
186 小雅 동궁지십(彤弓之什) 제6편 길일4장(吉日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105
186 길일 /동궁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06186 詩經-小雅-南有嘉魚之什-길일(吉日)-좋은 날-[동궁지십(彤弓之什) 제6편 길일4장(吉日四章)] 吉日維戊에 旣伯旣禱하니 (길일유무에 기백기도하니 田車旣好하며 四
kydong77.tistory.com
187 小雅 동궁지십(彤弓之什) 제7편 홍안3장(鴻鴈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04
187 홍안 /동궁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07187 詩經- 小雅-鴻雁之什 -홍안(鴻雁)-기러기- [동궁지십(彤弓之什) 제7편 홍안3장(鴻鴈三章)] 鴻鴈于飛하니 肅肅其羽ㅣ로다 (홍안우비하니 숙숙기우ㅣ로다 之子于征하
kydong77.tistory.com
188 小雅 동궁지십(彤弓之什) 제8편 정료3장(庭燎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03
188 정료 /동궁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08188 詩經-小雅-鴻雁之什-정료(庭燎)-뜰의 횃불 [동궁지십(彤弓之什) 제8편 정료3장(庭燎三章)] 夜如何其오 (야여하기오 夜未央이나 庭燎之光이로다 야미앙이나 정료지
kydong77.tistory.com
189 小雅 동궁지십(彤弓之什) 제9편 면수3장(沔水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02
189 면수 /동궁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09189 詩經-小雅-鴻雁之什-면수(沔水)-넘치는 강물이여- [동궁지십(彤弓之什) 제9편 면수3장(沔水三章)] 沔彼流水ㅣ여 朝宗于海로다 (면피유수ㅣ여 조종우해로다 鴥彼飛
kydong77.tistory.com
190 小雅 동궁지십(彤弓之什) 제10편 학명 2장(鶴鳴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101
190 학명 /동궁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10 190 詩經-小雅-鴻雁之什-학명(鶴鳴)-학이 우네- [동궁지십(彤弓之什) 제10편 학명 2장(鶴鳴二章)] 鶴鳴于九臯ㅣ어든 聲聞于野ㅣ니라 (학명우구고ㅣ어든 성문우야ㅣ니
kydong77.tistory.com
小雅 04 祈父 之什 기부지십 191-200
191 小雅 기보지십(祈父之什) 제1편 기보3장(祈父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100
191 기보 /기보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11191 詩經-小雅-鴻雁之什-기보(祈父)-사마님- 祈父之什 二之四 [기보지십(祈父之什) 제1편 기보3장(祈父三章)] 祈父아 予王之爪牙ㅣ어늘 (기보아 여왕지조아ㅣ어늘 胡轉
kydong77.tistory.com
192 小雅 기보지십(祈父之什) 제2편 백구4장(白駒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099
193 小雅 기보지십(祈父之什) 제3편 황조3장(黃鳥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098
194 小雅 기보지십(祈父之什) 제4편 아행기야3장(我行其野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097
195 小雅 기보지십(祈父之什) 제5편 사간9장(斯干九章)
http://kydong77.tistory.com/5096
196 小雅 기보지십(祈父之什) 제6편 무양4장(無羊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095
197 小雅 기보지십(祈父之什) 제7편 절피남산10장(節彼南山十章)
http://kydong77.tistory.com/5094
198 小雅 기보지십(祈父之什) 제8편 정월13장(正月十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093
199 小雅 기보지십(祈父之什) 제9편 시월지교8장(十月之交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92
200 小雅 기보지십(祈父之什) 제10편 우무정7장(雨無正七章)
http://kydong77.tistory.com/5091
200 우무정 /기보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20200 詩經-小雅-節南山之什-우무정(雨無正)-끝 없는 비[기보지십(祈父之什) 제10편 우무정7장(雨無正七章)] (1장)浩浩昊天이 不駿其德하사 (호호호천이 부준기덕하사 降
kydong77.tistory.com
小雅 05 小旻 之什 소민지십 201-210
201 小雅 소민지십(小旻之什) 제1편 소민6장(小旻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090
201 소민 /소민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21201 詩經-小雅-節南山之什-소민(小旻)-높은 하늘小旻之什二之五 [소민지십(小旻之什) 제1편 소민6장(小旻六章)] (1장)旻天疾威ㅣ 敷于下土하야 (민천질위ㅣ 부우하토하
kydong77.tistory.com
202 小雅 소민지십(小旻之什) 제2편 소완6장(小宛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089
203 小雅 소민지십(小旻之什) 제3편 소변8장(小弁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88
204 小雅 소민지십(小旻之什) 제4편 교언6장(巧言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087
205 小雅 소민지십(小旻之什) 제5편 하인사8장(何人斯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86
206 小雅 소민지십(小旻之什) 제6편 항백7장(巷伯七章)]
http://kydong77.tistory.com/5085
207 小雅 소민지십(小旻之什) 제7편 곡풍3장(谷風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080
208 小雅 소민지십(小旻之什) 제8편 료아6장(蓼莪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079
209 小雅 소민지십(小旻之什) 제9편 대동7장(大東七章)
http://kydong77.tistory.com/5078
210 小雅 소민지십(小旻之什) 제10편 사월8장(四月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77
210 사월 /소민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30210 詩經-小雅-谷風之什-사월(四月)-사월에- [소민지십(小旻之什) 제10편 사월8장(四月八章)] (1장)四月維夏ㅣ어든 六月徂暑ㅣ니라 (사월유하ㅣ어든 유월조서ㅣ니라先
kydong77.tistory.com
小雅 06 北山 之什 북산지십 211-220
211 小雅 북산지십(北山之什) 제1편 북산6장(北山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076
211 북산 /북산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32211 詩經-小雅-谷風之什-북산(北山)-북산에서- [북산지십(北山之什) 제1편 북산6장(北山六章)] (1장)陟彼北山하야 言采其杞호라 (척피북산하야 언채기기호라 偕偕士子
kydong77.tistory.com
212 小雅 북산지십(北山之什) 제2편 무장대거3장(無將大車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075
212 대거 /북산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33212 詩經-小雅-谷風之什-무장대거(無將大車)-큰 수레를 몰지 마라-[북산지십(北山之什) 제2편 무장대거3장(無將大車三章)] 無將大車ㅣ어다 祗自塵兮리라 (무장대거ㅣ
kydong77.tistory.com
213 小雅 북산지십(北山之什) 제3편 소명5장(小明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074
213 소명 /북산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34213 詩經-小雅-谷風之什-소명(小明)-조금이라도 밝아졌으면- [북산지십(北山之什) 제3편 소명5장(小明五章)] (1장)明明上天이 照臨下土ㅣ시니라 (명명상천이 조림하토(
kydong77.tistory.com
214 小雅 북산지십(北山之什) 제4편 고종4장(鼓鍾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073
214 고종 /북산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35214 詩經-小雅-谷風之什-고종(鼓鍾)-울리는 종소리- [북산지십(北山之什) 제4편 고종4장(鼓鍾四章)] 鼓鍾將將이어늘 淮水湯湯하니 (고종장장이어늘 회수상상하니 憂心
kydong77.tistory.com
215 小雅 북산지십(北山之什) 제5편 초자6장(楚茨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072
215 초자 /북산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36215 詩經-小雅-谷風之什-초자(楚茨)-더부룩한 찔레나무[북산지십(北山之什) 제5편 초자6장(楚茨六章)] (1장)楚楚者茨에 言抽其棘은 (초초자자에 언추기극은 自昔何爲오
kydong77.tistory.com
216 小雅 북산지십(北山之什) 제6편 신남산6장(信南山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071
216 신남산 /북산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37 216 詩經-小雅-谷風之什-신남산(信南山)-길게 뻗은 남산 [북산지십(北山之什) 제6편 신남산6장(信南山六章)] (1장) 信彼南山을 維禹甸之로다 (신피남산을 유우전지로다
kydong77.tistory.com
217 小雅 북산지십(北山之什) 제7편 보전4장(甫田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070
217 보전 /북산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38217 詩經-小雅-甫田之什-보전(甫田)-넓은 밭- [북산지십(北山之什) 제7편 보전4장(甫田四章)] (1장)倬彼甫田에 歲取十千이로다 (탁피보전에 세취십천이로다 我取其陳하
kydong77.tistory.com
218 小雅 북산지십(北山之什) 제8편 대전4장(大田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069
218 대전 /북산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39218 詩經-小雅-甫田之什-(大田)-넓다란 밭- [북산지십(北山之什) 제8편 대전4장(大田四章)] (1장)大田多稼ㅣ라 (대전다가ㅣ라 旣種旣戒하야 旣備乃事하니 기종기계하야
kydong77.tistory.com
219 小雅 북산지십(北山之什) 제9편 첨피낙의3장(瞻彼洛矣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068
219 첨피낙의 /북산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40219 詩經-小雅-甫田之什-첨피낙의(瞻彼洛矣)-저 낙수를 바라보니-[북산지십(北山之什) 제9편 첨피낙의3장(瞻彼洛矣三章)] 瞻彼洛矣혼대 維水泱泱이로다 (첨피낙의혼대
kydong77.tistory.com
220 小雅 북산지십(北山之什) 제10편 상상자화4장(裳裳者華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067
220 상상자화 /북산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41220 詩經-小雅-甫田之什-상상자화(裳裳者華)-화려한 꽃-[북산지십(北山之什) 제10편 상상자화4장(裳裳者華四章)] (1장)裳裳者華여 其葉湑兮로다 (상상자화여 기엽서혜
kydong77.tistory.com
小雅 07 桑扈 之什 상호지십 221-230
221 小雅 상호지십(桑扈之什) 제1편 상호4장(桑扈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066
221 상호 /상호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42221 詩經-小雅-甫田之什-상호(桑扈)-청작새- [상호지십(桑扈之什) 제1편 상호4장(桑扈四章)] (1장)交交桑扈여 有鶯其羽ㅣ로다 (교교상호여 유앵기우ㅣ로다 君子樂胥하
kydong77.tistory.com
222 小雅 상호지십(桑扈之什) 제2편 원앙4장(鴛鴦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065
223 小雅 상호지십(桑扈之什) 제3편 기변3장(頍弁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064
224 小雅 상호지십(桑扈之什) 제4편 거할5장(車舝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063
225 小雅 상호지십(桑扈之什) 제5편 청승3장(靑蠅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062
226 小雅 상호지십(桑扈之什) 제6편 빈지초연5장(賓之初筵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061
227 小雅 상호지십(桑扈之什) 제7편 어조3장(魚藻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060
228 小雅 상호지십(桑扈之什) 제8편 채숙5장(采菽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059
229 小雅 상호지십(桑扈之什) 제9편 각궁8장(角弓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58
230 小雅 상호지십(桑扈之什) 제10편 울유3장(菀柳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057
230 울류 /상호지십/소아
http://cafe.daum.net/dur6fks/EKyP/752230 詩經-小雅-魚藻之什 - 울류(菀柳) 무성한 버드나무[상호지십(桑扈之什) 제10편 울유3장(菀柳三章)] 有菀者柳애 不尙息焉가 (유울자류애 불상식언가 上帝甚蹈이시니
kydong77.tistory.com
小雅 08 都人士 之什 도인사지십 231-240
231 小雅 도인사지십(都人士之什) 제1편 도인사5장(都人士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054
231 도인사 /도인사지십/소아
[은자주]소아편의 작품은 아래 사이트가 바탕임을 밝힙니다. 대아와 삼송도 아래 원전을 표기하도록 하겠습니다. 강의 노트를 탑재하고 개방한 이윤숙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국풍도 주
kydong77.tistory.com
232 小雅 도인사지십(都人士之什) 제2편 채록4장(采綠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053
233 小雅 도인사지십(都人士之什) 제3편 서묘5장(黍苗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052
234 小雅 도인사지십(都人士之什) 제4편 습상4장(隰桑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051
235 小雅 도인사지십(都人士之什) 제5편 백화8장(白華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50
236 小雅 도인사지십(都人士之什) 제6편 면만3장(綿蠻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049
237 小雅 도인사지십(都人士之什) 제7편 호엽4장(瓠葉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048
238 小雅 도인사지십(都人士之什) 제8편 점점지석3장(漸漸之石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047
239 小雅 도인사지십(都人士之什) 제9편 초지화3장(苕之華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046
240 小雅 도인사지십(都人士之什) 제10편 하초불황4장(何草不黃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045
240 하초부황 /도인사지십/소아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240 詩經-小雅-魚藻之什-하초부황(何草不黃)-어느 풀 [도인사지십(都人士之什) 제10편 하초불황4장(何草不黃四章)] 何草不黃이며 何日不行이며 何人不將하야 經營
kydong77.tistory.com
대아(大雅) 총 31편
大雅 01 文王之什 문왕지습 241-250
241 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1편 문왕7장(文王七章)
http://kydong77.tistory.com/5035
211 문왕 /문왕지십/대아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241 詩經-大雅-文王之什-문왕(文王)- 詩經卷之六 大雅三 說見小雅(설명이 소아에 나타나니라) 文王之什三之一 [대아(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1편 문왕7장(文王
kydong77.tistory.com
242 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2편 대명8장(大明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34
243 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3편 면9장(緜九章)
http://kydong77.tistory.com/5033
244 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4편 역박5장(棫樸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032
245 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5편 한록6장(旱麓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031
246 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6편 사제5장(思齊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030
247 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7편 황의8장(皇矣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29
248 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8편 영대4장(靈臺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028
249 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9편 하무6장(下武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027
250 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10편 문왕유성8장(文王有聲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26
250 문왕유성 /문왕지십/대아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250 詩經-大雅-文王之什-문왕유성(文王有聲)-문왕 기리는 소리- [대아(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10편 문왕유성8장(文王有聲八章)] (1장)文王有聲이 遹駿有聲이샷
kydong77.tistory.com
大雅 02 生民之什 생민지습 251-260
251 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1편 생민8장(生民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25
251 생민 /생민지십/대아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251 詩經-大雅-生民之什-생민(生民)-백성을 낳으심- 生民之什 三之二 [대아(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1편 생민8장(生民八章)] (1장) 厥初生民이 時維姜嫄이시니
kydong77.tistory.com
252 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2편 행위4장(行葦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024
253 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3편 기취8장(旣醉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23
254 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4편 부예5장(鳧鷖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022
255 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5편 가락4장(假樂四章)
http://kydong77.tistory.com/5021
256 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6편 공류6장(公劉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014
257 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7편 泂酌三장(泂酌三章)
http://kydong77.tistory.com/5013
258 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8편 권아10장(卷阿十章)
http://kydong77.tistory.com/5012
259 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9편 민로5장(民勞五章)
http://kydong77.tistory.com/5011
260 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10편 판8장(板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10
260 판 /생민지십/대아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260 詩經-大雅-生民之什- 판(板)-하늘이 버리시면 -[대아(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10편 판8장(板八章)] (1장)上帝板板이라 下民卒癉이어늘 (상제판판이라 하민졸
kydong77.tistory.com
大雅 03 蕩之什 탕지습 261-271
261 大雅) / 탕지십(蕩之什) 제1편 탕8장(蕩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07
261 탕 /탕지십/대아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261 詩經-大雅-蕩之什-탕(蕩)-위대하심 詩經卷七 蕩之什 三之三 [대아(大雅) / 탕지십(蕩之什) 제1편 탕8장(蕩八章)] (1장)蕩蕩上帝는 下民之辟이시니 (탕탕상제는 하
kydong77.tistory.com
262 大雅) / 탕지십(蕩之什) 제2편 억12장(抑十二章)
http://kydong77.tistory.com/5006
263 大雅) / 탕지십(蕩之什) 제3편 상유16장(桑柔十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005
264 大雅) / 탕지십(蕩之什) 제4편 운한8장(雲漢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04
265 大雅) / 탕지십(蕩之什) 제5편 숭고8장(崧高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03
266 大雅) / 탕지십(蕩之什) 제6편 증민8장(烝民八章)
http://kydong77.tistory.com/5002
267 大雅) / 탕지십(蕩之什) 제7편 한혁6장(韓奕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001
268 大雅) / 탕지십(蕩之什) 제8편 江漢6장(江漢六章)
http://kydong77.tistory.com/5000
269 大雅) / 탕지십(蕩之什) 제9편 상무6장(常武六章)
http://kydong77.tistory.com/4999
270 大雅) / 탕지십(蕩之什) 제10편 첨앙7장(瞻卬七章)
http://kydong77.tistory.com/4998
271 大雅) / 탕지십(蕩之什) 제11편 소민7장(召旻七章)
http://kydong77.tistory.com/4997
271 소민 /탕지십/대아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271 詩經-大雅-蕩之什-소민(召旻)-소공과 하늘이여 [대아(大雅) / 탕지십(蕩之什) 제11편 소민7장(召旻七章)] (1장)旻天疾威라 天篤降喪하사 (민천질위라 천독강상하
kydong77.tistory.com
송(頌) 총 40편
周頌 01 周頌 주송 272-296
周頌 01a -清廟之什 청묘지습 272-282
272 周頌 / 청묘지십(淸廟之什) 제1편 청묘(淸廟)1장
http://kydong77.tistory.com/4994
272 청묘 /청묘지십/주송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272 詩經-周頌-淸廟之什-청묘(淸廟)-깨끗한 묘당 - 詩經卷之八 頌四 頌者는 宗廟之樂歌니 大序에 所謂美盛德之形容하야 以其成功으로 告于神明者也ㅣ라 蓋頌與容
kydong77.tistory.com
273 周頌) / 청묘지십(淸廟之什) 제2편 유천지명1장(維天之命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93
274 周頌) / 청묘지십(淸廟之什) 제3편 유청1장(維淸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92
275 周頌) / 청묘지십(淸廟之什) 제4편 열문1장(烈文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91
276 周頌) / 청묘지십(淸廟之什) 제5편 천작1장(天作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90
277 周頌) / 청묘지십(淸廟之什) 제6편 호천유성명1장(昊天有成命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89
278 周頌) / 청묘지십(淸廟之什) 제7편 아장1장(我將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88
279 周頌) / 청묘지십(淸廟之什) 제8편 시매1장(時邁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87
280 周頌) / 청묘지십(淸廟之什) 제9편 집경1장(執競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86
281 周頌) / 청묘지십(淸廟之什) 제10편 사문1장(思文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85
281 사문 /청묘지십/주송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281 詩經-周頌-淸廟之什-사문(思文)-[송(頌)-주송(周頌) / 청묘지십(淸廟之什) 제10편 사문1장(思文一章)] 思文后稷이여 克配彼天이샷다 (사문후직이여 극배피천이샷
kydong77.tistory.com
周頌 01b -臣工之什 신공지습 282-291
282 周頌) / 신공지십(臣工之什) 제1편 신공1장(臣工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79
282 신공 /신공지십/주송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282 詩經-周頌-臣工之什-신공(臣工)周頌 臣工之什 四之二 [송(頌)-주송(周頌) / 신공지십(臣工之什) 제1편 신공1장(臣工一章)] 嗟嗟臣工아 敬爾在公이어다 (차차신공
kydong77.tistory.com
283 周頌) / 신공지십(臣工之什) 제2편 희희1장(噫嘻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78
284 周頌) / 신공지십(臣工之什) 제3편 진로1장(振鷺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77
285 周頌) / 신공지십(臣工之什) 제4편 풍년1장(豊年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76
286 周頌) / 신공지십(臣工之什) 제5편 유고1장(有瞽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75
287 周頌) / 신공지십(臣工之什) 제6편 잠1장(潛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73
288 周頌) / 신공지십(臣工之什) 제7편 옹1장(雝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72
289 周頌) / 신공지십(臣工之什) 제8편 재현1장(載見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71
290 周頌) / 신공지십(臣工之什) 제9편 유객1장(有客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70
291 周頌) / 신공지십(臣工之什) 제10편 무1장(武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69
291 무 /신공지십/주송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291 詩經-周頌-臣工之什-무(武)[송(頌)-주송(周頌) / 신공지십(臣工之什) 제10편 무1장(武一章)] 於皇武王이여 無競維烈이샷다 (오황무왕이여 무경유열이샷다 允文文
kydong77.tistory.com
周頌 01c -閔予小子之什 민여소자지습 292-302
292 周頌)/민여소자지십(閔予小子之什) 제1편 민여소자1장(閔予小子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67
292 민여소자 /민여소자지십/조송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292 詩經-周頌-閔予小子之什-민여소자(閔予小子)周頌 閔予小子之什四之三 [송(頌)-주송(周頌)/민여소자지십(閔予小子之什) 제1편 민여소자1장(閔予小子一章)] 閔予
kydong77.tistory.com
293 周頌)-민여소자지십(閔予小子之什) 제2편 방락1장(訪落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66
294 周頌)/민여소자지십(閔予小子之什) 제3편 경지1장(敬之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65
295 周頌)/민여소자지십(閔予小子之什) 제4편 소비1장(小毖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64
296 周頌)/민여소자지십(閔予小子之什) 제5편 재삼1장(載芟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63
297 周頌)/민여소자지십(閔予小子之什) 제6편 양사1장(良耜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62
298 周頌)/민여소자지십(閔予小子之什) 제7편 사의1장(絲衣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61
299 周頌)/민여소자지십(閔予小子之什) 제8편 작1장(酌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60
300 周頌)/민여소자지십(閔予小子之什) 제9편 환1장(桓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59
301 周頌)/민여소자지십(閔予小子之什) 제10편 뇌1장(賚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58
302 周頌)/민여소자지십(閔予小子之什) 제11편 반1장(般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57
302 반 /민여소자지십/주송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302詩經-周頌-閔予小子之什-반(般)[송(頌)-주송(周頌)/민여소자지십(閔予小子之什) 제11편 반1장(般一章)] 於皇時周ㅣ 陟其高山과 (오황시주ㅣ 척기고산과嶞山喬嶽
kydong77.tistory.com
魯頌 02 魯頌 노송 303-306
303 魯頌-형지십(駉之什)- 형(駉)4장
http://kydong77.tistory.com/4953
303 형 /형지십/노송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303詩經-(頌)-魯頌-駉之什- 형(駉)魯頌四之四 魯는 少皥之墟니 在禹貢徐州蒙羽之野라 成王이 以封周公長子伯禽하니 今襲慶東平府沂密海等州가 卽其地也ㅣ라 成
kydong77.tistory.com
304 魯頌 제2편 유필3장(有駜三章)
http://kydong77.tistory.com/4952
305 魯頌) 제3편 반수8장(泮水八章)
http://kydong77.tistory.com/4951
306 魯頌 제4편 비궁9장(閟宮九章)
http://kydong77.tistory.com/4950
306 비공 /형지십/노송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306詩經-頌-魯頌-駉之什- 비공(閟宮)[송(頌)-노송(魯頌) 제4편 비궁9장(閟宮九章)] (1장)閟宮有侐하니 實實枚枚로다 (비궁유혁하니 실실매매로다 赫赫姜嫄이 其德不
kydong77.tistory.com
商頌 03 商頌 상송 307-311
307 商頌 제1편 나1장(那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49
307 나 /상송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307詩經-頌-商頌-나(那)商頌 四之五 契爲舜司徒하야 而封於商이러니 傳十四世而湯有天下하시니라 其後에 三宗迭興이러니 及紂無道하야 爲武王所滅하고 封其庶
kydong77.tistory.com
308 商頌 제2편 열조1장(烈祖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48
308 열조 /상송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308詩經-頌-商頌-열조(烈祖)[송(頌)-상송(商頌) 제2편 열조1장(烈祖一章)] 嗟嗟烈祖ㅣ 有秩斯祜하사 (차차열조ㅣ 유질사호하사申錫無疆이라 及爾斯所라 신석무강이
kydong77.tistory.com
309 商頌 제3편 현조1장(玄鳥一章)
http://kydong77.tistory.com/4947
309 현조 /상송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309詩經-頌-商頌-현조(玄鳥)[송(頌)-상송(商頌) 제3편 현조1장(玄鳥一章)] 天命玄鳥하사 降而生商하야 (천명현조하사 강이생상하야宅殷土芒芒이어시늘 택은토망망
kydong77.tistory.com
310 商頌 제4편 장발7장(長發七章)
http://kydong77.tistory.com/4946
310 장발 /상송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310詩經-頌-商頌-장발(長發)[송(頌)-상송(商頌) 제4편 장발7장(長發七章)] (1장)濬哲維商에 長發其祥이로다 洪水芒芒이어늘 禹敷下土方하사 外大國是疆하야 幅隕旣
kydong77.tistory.com
311 商頌 제5편 은무6장(殷武六章)
http://kydong77.tistory.com/4945
311 은무 /상송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311詩經-頌-商頌-은무(殷武)[송(頌)-상송(商頌) 제5편 은무6장(殷武六章)] (1장)撻彼殷武로 奮伐荊楚하사 (달피은무로 분벌형초하사 冞入其阻하야 裒荊之旅하야 미
kydong77.tistory.com
'중국고전 > 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희 / 시경 서문 (0) | 2010.09.12 |
---|---|
풍아송의 개념/ 15國風160편, 小雅(종묘악)74편,大雅(연회악)31편, 頌 40편 (0) | 2010.09.12 |
김학주 / 서한 학자들의 시경해설에 대한 새로운 이해 (0) | 2010.01.11 |
주희 / 시경 서문 (0) | 2010.01.11 |
시경 총정리 (0) | 2010.01.09 |